• Title/Summary/Keyword: 보상 체계

Search Result 377,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An Empirical Study on Motivation Factors and Reward Structure for User Created Contents (사용자 제작 콘텐츠의 제작 및 공유에 영향을 미치는 동기 및 보상 체계에 대한 연구)

  • Yang, Seung-Hwa;Lim, Seong-Tack;Kim, Jin-Woo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2b
    • /
    • pp.565-570
    • /
    • 2008
  • 사용자들이 직접 콘텐츠의 제작 및 공유에 참여하는 패러다임의 변화로써 사용자 제작 콘텐츠(UCC)가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UCC의 제작과 공유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동기와 보상 요인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보다 창의적인 콘텐츠를 제작, 공유하기 위한 UCC 서비스의 보상 체계를 구축하려고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보상과 동기에 관련한 광범위한 문헌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UCC 에서의 보상 체계에 대한 연구 모형을 수립하고 설문조사 방법론을 통해 이를 검증하였다. 총 133 명의 블로그 사용자들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수집된 데이터는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개별 보상 요인들은 사용자들의 UCC 제작과 관련한 내, 외재적 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러한 동기 요인들에 따라서 UCC의 창의성 수준이 달라질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기존에 경영학 분야에서 주로 연구되어 온 보상의 개념을 보다 확장하여 UCC 라는 새로운 서비스에 적용하였다는 데에 그 이론적인 의의를 찾을 수 있으며, 또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UCC 서비스에서의 새로운 보상 체계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실용적 의의를 찾을 수 있다고 판단된다.

  • PDF

Critical Technology Element for Development of Smart Compensation System in Public Sector (공익사업 손실보상체계 스마트화를 위한 핵심기술요소 도출)

  • Seo, Myoung-B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5.07a
    • /
    • pp.329-331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도로, 하천건설, 댐건설 등 공익사업 중에 발생하는 보상업무와 관련하여 보상민원을 감소시키고 투명한 보상체계 수립을 위해 첨단 ICT 기술을 활용한 선진화된 보상체계 개발에 필요한 12개의 핵심요소기술을 도출하였다. 핵심요소 기술도출을 위해 전문가 설문 및 면담 등을 통해 18개의 후보군을 도출하였으며 6개의 체크리스트를 활용하여 12개의 핵심요소기술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주요내용으로는 보상민원을 줄일 수 있는 다양한 의사결정 및 사전검토 기술, 보상물건 측정 및 계측 자동화 기술, 클라우드 기반의 표준화된 보상자료 관리시스템 개발, 보상 민원 처리 및 공개기술 등이 포함되었다. 본 논문에서 도출된 핵심요소기술을 기반으로 보상업무 체계를 개편할 경우 보상업무 스마트화 및 첨단화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Effect of Compensation System on Job Satisfaction for Care-Workers -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 (요양보호사의 보상체계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 매개 효과 중심으로 -)

  • Jang, Seon-Ah;Ko, Jeong-hoo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1 no.4
    • /
    • pp.473-486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n self-efficacy in the effect of the compensation system of caregivers on job satisfaction. The research method was analyzed with SPSS V22.0 on the data of 367 people surveyed of caregivers working at home welfare facilities and elderly care facilities in the metropolitan area.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average monthly salary, satisfaction of compensation treatment, and fairness of compens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in the compensation system of caregivers. Second, in the compensation system for care givers, it was found that monthly average salary, satisfaction with compensation treatment, and compensation process had a positive effect on self-efficacy. Third, it was found that the self-efficacy of caregivers had a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Fourth, in the compensation system of caregivers, it was found that the monthly average salary, compensation treatment satisfaction, and compensation process had an effect on job satisfaction, whereas self-efficacy had a positive mediating effect. It revealed that the higher the average monthly salary, compensation treatment satisfaction, and compensation process in the caregiver's compensation system, the more positively the self-efficacy had, and this self-efficac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job satisfaction of the caregiver.

Development of Land Compensation System Based on GIS for the Regional Construction Management Office (지리정보체계 기반의 지방청 용지보상시스템 구축)

  • Seo Myoung-Bae;Kim Nam-Gon;Kang Eui-Seok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5 no.1 s.17
    • /
    • pp.62-70
    • /
    • 2004
  • The use of private property occurs fatally to achieve public work such as road construction and appropriate compensation for land expropriation must be performed to use private property such as land. Since compensation of land expropriation is complicated and compensation target is various, electronic processing system development for land compensation processing business is required. The land compensation system for Regional Construction Management Office applie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technology to land drawing that becomes basis of compensation business when constructing roads. It can perform the establishment of compensation planning,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state of compensation and the management of compensation business by connecting with land position information on drawings. We also implemented our system so that it can effectively accomplish various kinds of works such as compensation by agreement, expropriation, decision and deposit etc. Development of the land compensation system that can reduce time for processing civil affair administration and decrease costs efficiently to handle land compensation business

The Impact of Wage Scheme and Transparency of Performance Evaluation on the Productivity (기업의 보상체계와 업무평가 투명성의 생산성 효과)

  • Lee, Sangheon
    • Journal of Labour Economics
    • /
    • v.37 no.1
    • /
    • pp.59-85
    • /
    • 2014
  • This paper analyses an impact of wage scheme and transparency of performance evaluation on the productivity. The main findings in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the effect of wage scheme based on seniority system on the productivity is worse off than the performance pay. Second, there i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an incentive and the productivity, but, in the case of firms which individually informs the results of performance evaluation to their workers, it shows the hump-shaped relationship. Third, though the wage scheme is based on the performance, if the evaluation system is not transparent, the impact of incentive on the productivity is disappeared. Consequently, this paper implies that the appropriate incentive and the transparent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are required so as to improve the productivity.

  • PDF

우리나라 과학상을 통해서 본 보상체계의 특성

  • Kim, Dong-Gwang;Hong, Yun-Gi
    • Journal of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 /
    • v.7 no.2
    • /
    • pp.47-90
    • /
    • 2007
  • 과학상은 과학자 사회를 유지하는 중요한 기제인 보상체계의 한 요소로 과학사회학에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전통적으로 보상의 기능은 과학적 업적에 대한 인정의 배분으로 간주되었다. 그러나 머튼 이후 여러 학자들은 과학상을 비롯한 보상이 당대의 인지적 규범에 순응하게 만드는 사회적 통제의 과정이기도 하다는 주장을 제기했다. 이 논문은 우리나라 과학상의 역사적 변천과정과 그 특성에 대한 분석을 통해 과학상이 인정의 적절한 배분으로 과학자 사회 내에서 작동했는지 살펴본다. 분석을 통해 드러난 우리나라 과학상의 특성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우리나라 과학상은 정부에 의해 주도되었고, 상의 가시성의 원천은 정부 또는 국가에서 나온다. 둘째, 과학상은 과학자 사회 내부의 인정 배분이라는 전통적 기능보다 정부의 정책 목표달성을 위한 통제 방식으로 기능하는 경향이 있다. 셋째, 최근 과학상은 연구비와 결합되면서 과학엘리트를 형성하고 그 구조를 강화시키는 하나의 통로가 되고 있다.

  • PDF

Method of Transparency Guarantee for Compensation Budget expenditure using Connection of Construction CALS and dBrain (건설CALS와 국가재정정보시스템 연계를 통한 보상비 집행의 투명성 확보 방안)

  • Seo, Myoung-Bae;Kim, Nam-G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04a
    • /
    • pp.1608-1609
    • /
    • 2011
  • 국토해양부에서는 건설사업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건설사업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 건설기술관리법 제15조의 2에 따라 건설공사지원통합정보체계의 구성.운영에 관한 법률을 마련하고 1998년부터 건설사업정보화(Continuous Acquisition Life-Cycle Support : CALS)를 추진중에 있다. 건설사업정보화의 일환으로 건설공사비의 상당부분을 차지하고 개인의 소유권과 관계되어 있어 민원 소지가 많은 보상자료를 관리하기 위해 용지보상시스템이 기 개발되어 운영중에 있으나 보상비 지출의 핵심과정인 지급단계가 국가재정정보시스템과 별도로 운영중에 있어 체계적인 보상자료 관리 및 보상비 지급의 이력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 지고 있지 않다. 이는 곧 부적절한 보상비 집행으로 인한 국고예산 낭비의 소지가 있고 보상비 집행에 대한 대민 신뢰도 저하로 인해 다수의 소송으로 이어질수 있다. 이에 기존의 보상비 집행업무 프로세스 개선 및 건설CALS 용지보상시스템과 디지털예산회계시스템의 연계를 통해 보상비 집행의 투명성을 확보하고 민원인들에게 대민행정에 대한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과학부정행위의 구조적 원인

  • Kim, Hwan-Seok
    • Journal of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 /
    • v.7 no.2
    • /
    • pp.1-22
    • /
    • 2007
  • 서구 과학의 역사에서 그러하였듯이 국내에서도 비단 '황우석 사태'만이 아니라 크고 작은 과학부정행위 사건들이 이미 발생했고 또 앞으로도 발생할 것이라고 보는 것이 현실적인 판단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황우석 사태' 2주년이 지난 지금 요청되는 일은 과학부정행위 일반의 원인에 대한 좀 더 체계적인 이해를 통하여 이를 예방할 수 있는 길을 모색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 글은 바로 이러한 문제의식 위에서 과학 부정행위의 원인과 처방에 대한 이론화를 모색하려는 시도의 하나다. 이 글에서는 과학부정행위가 외적 보상이 지배하는 과학자사회의 보상체계와 경쟁구조에 그 근본적 원인이 있다고 진단한다. 또한 최근 전개된 '과학의 상업화'는 외적 보상에 대한 과학자간 경쟁을 훨씬 강화하는 동시에 과학자사회 내의 아노미와 소외 착취를 심화시켜 결국 과학부정행위의 증대를 초래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고 분석한다.

  • PDF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Sharing of Research Data of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ers (과학기술분야 연구자의 연구데이터 공유의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

  • Kim, Moonjeong;Kim, Seonghe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49 no.2
    • /
    • pp.313-334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actors affecting the sharing of research data of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ers. Data was collected through a survey of 198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ers. Independent variables in this study included perception, openness in communication, collaboration, and trust. Latent variable was selected as reward system and dependent variable was research data sharing. The results of analysi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howed that perception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reward system for data sharing for research. Other factors such as trust, openness in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ir affect on reward system for data sharing. Finally, reward system was identified as the influential factor on research data sharing.

Current Status of the Reimbursement for Pharmacist-provided Health Care Services in Japan, the United States, and the United Kingdom (국외 약사서비스 지불보상체계 현황 : 일본, 미국, 영국을 중심으로)

  • Park, Ji Hyu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2 no.6
    • /
    • pp.712-728
    • /
    • 2022
  • World-widely, there has never been a greater need for people to access high-quality expertise about the effective and safe use of medications. Therefore, the profession of pharmacy should meet these needs of the times, as the demographic shifts have led to a situation where older adults now outnumber children, and polypharmacy is also a commonplace. However, the reimbursement system covered by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NHI) in Korea is still limited to the traditional dispensing and compounding role of pharmacist. To provide a take-home message to Korean pharmacy reimbursement system, we aimed to review and analyze the international trends in pharmacy remuneration systems. This is a comparative study between Korea, Japan, the United Kingdom, and the United States. Comparison was conducted by reviewing each country's policy and enforcement programs, as well as the related literature. Japan, the UK and the US systems remunerate diverse patient-centered pharmaceutical care services. The Korean pharmacy service fee is, however, narrowly focused on the traditional product-oriented pharmacy services. This study discussed the future direction of improving pharmacist reimbursement systems in Korea, by expanding professional pharmacy service coverage and diversifying fee schedu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