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21.21.04.473

Effect of Compensation System on Job Satisfaction for Care-Workers -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  

Jang, Seon-Ah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
Ko, Jeong-hoon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n self-efficacy in the effect of the compensation system of caregivers on job satisfaction. The research method was analyzed with SPSS V22.0 on the data of 367 people surveyed of caregivers working at home welfare facilities and elderly care facilities in the metropolitan area.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average monthly salary, satisfaction of compensation treatment, and fairness of compens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in the compensation system of caregivers. Second, in the compensation system for care givers, it was found that monthly average salary, satisfaction with compensation treatment, and compensation process had a positive effect on self-efficacy. Third, it was found that the self-efficacy of caregivers had a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Fourth, in the compensation system of caregivers, it was found that the monthly average salary, compensation treatment satisfaction, and compensation process had an effect on job satisfaction, whereas self-efficacy had a positive mediating effect. It revealed that the higher the average monthly salary, compensation treatment satisfaction, and compensation process in the caregiver's compensation system, the more positively the self-efficacy had, and this self-efficac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job satisfaction of the caregiver.
Keywords
Caregiver; Compensation System; Self-efficacy; Job Satisfaction; Mediated Effect;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이유재, 서비스마케팅, 파주: 학현사, 2004.
2 이상희, "임파워먼트가 직무 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외식업체의 비정규직 종사원을 중심으로," 관광연구저널, 제19권, 제3호, pp.95-108, 2005.
3 양성윤, 김영택, 김기범, "리조트 서비스 스케이프가 종사원의 직무 만족 및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경영연구, 제62권, pp.277-299, 2014.
4 M. Sherer, J. Maddux, S. Mercandante, S. Prentice-Dunn, B. Jacobs, and R. Rogers, "The self-efficacy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Psychological Reports, Vol.51, pp.663-671, 1982.   DOI
5 류해룡, 양로시설 요양보호사의 직무 스트레스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의사소통 능력과 자기효능감의 조절 효과 중심으로, 상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 문, 2017.
6 강은나, 2019년도 장기요양 실태조사,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9.
7 김소정, "재가시설과 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직무 만족과 이직 의도에 관한 연구," 보건사회연구, 제32권, 제1호, pp.115-139, 2012.   DOI
8 오인숙, 요양보호사의 자기효능감과 노인 인식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요양시설과 재가센터의 요양보호사 비교를 중심으로-, 서울기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9 박영희, 요양보호사의 근무환경이 직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자기효능감과 직무 만족을 매개변수로-,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10 금광연, 지방자치단체 공무원의 조직공정성과 직무만족 인식이 행정서비스 품질에 미치는 영향: 경기도 성남시.하남시.광주시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11 장헌문, 개인특성과 조직 공정성이 보상만족과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교직원을 중심으로, 동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12 이종학, 자기효능감이 긍정적 자산 직무 만족 조직몰입 조직 시민 행동에 미치는 영향-서울 시내 특급호텔식 음료 종사원을 대상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13 노금수, 노인요양시설의 요양보호사 요인이 직무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자기효능감과 자아 탄력성을 매개변수로-, 칼빈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9.
14 보건복지부, 요양보호사 양성지침, 보건복지부, 2018.
15 통계청, http://kostat .go.kr/, 2020 고령자 통계,
16 이길자, 요양보호사의 직무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호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17 안은선, 장기요양기관 요양보호사의 직무특성이 직무만족 및 소진에 미치는 영향, 가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18 G. T. Milkovich and Jerry M. Newman, Compensation, McGraw-Hill Inc. US, 2007.
19 김유규, 중소제조업의 성과보상요인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내외동기의 매개 효과와 공정성 민감도의 조절 효과, 한국산업기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20 백종진,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가 인식하는 클라이언트 폭력성과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역할 스트레스의 매개 효과,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21 G. C. Homans, Social Behavior: Its Elementary Forms, Ist ed. NY: Harcourt Brace World, 1961.
22 S. Kerr, Some Characteristics and Consequences of Organizational Reward, In Schoorman, F. D. & Schneider, B, Facilitaing Work Effectiveness, Lexington Books, 1988.
23 황중하, 방문 요양보호사의 직무특성과 직무몰입이 직무 만족에 미치는 영향- 이용자와의 정서적 유대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서울기독교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7.
24 보건복지부, 요양보호사 양성 표준교재, 2013.
25 김광호, 요양보호사의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대한신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26 김현진, 김혜경, "요양보호사의 직무 스트레스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제51호, pp.191-214, 2011.
27 김광례,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공공성 강화방안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28 H. K. Choi, "A comparative study on perceptions and expectations of families and care workers on elder care services in nursing facilities," Family and Culture, Vol.22, No.4, pp.1-31, 2010.
29 장수복, 요양보호사의 자발적 직무외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백석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0.
30 이혜자, 권순호, "요양보호사의 근무환경 특성과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제51호, pp.125-144, 2011.   DOI
31 장인자, 직무환경과 보상체계가 요양보호사의 직무 만족과 조직몰입 및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임파워먼트 매개 효과 -,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32 김정원, "비정규직의 조직몰입에 대한 직무특성과 고용 관계 특성의 영향: 직무만족의 효과검증," 인적자원관리연구, 제14권, 제1호, pp.23-37, 2007.
33 옥장흠,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요인이 직무 만족과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9권, 제2호, pp.175-200, 2009.
34 D. Eden and A. Aviram, "Self-efficacy training to speed reemployment; Helping people to help themselve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78, No.3, pp.352-360, 1993.   DOI
35 R. M. Sterrs, "Antecedents and Outcome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dminietrative Science Quarterly, Vol.22, pp.46-56, 1977.   DOI
36 S. V. Owen and R. D. Froman, "Development of a college Academic Self-Efficacy Scale," The Annual Meeting of the National Councilon Measurementin Education, 1988.
37 A. Bandura,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Vol.84, pp.191-215, 1997.   DOI
38 E. A. Locker, The Nature and Causes of Job Satisfaction. In Marvin Dunnette(1sted.). Handbook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Chicago: Rand Mcnally, 1976.
39 H. C. Smith, Psychology of Industrial Behavior, New York: McGraw-Hill, 1995.
40 이경재, 조직의 안전풍토에 대한 종업원의 인식과 개인의 안전의식이 직무만족.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연구,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41 김원기, 요양보호사 직무만족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경기도 지역을 중심으로, 건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42 김순현, 이미애, "간호사가 지각한 보상과 직무 만족에 관한 연구," 간호행정학회지, 제12권, 제1호, pp.112-130, 2006.
43 A. Bandura,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NJ : Prentice-Hall, 1986.
44 김영수, 호텔의 보상과 조직구조특성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45 이치숙, 요양보호사의 직무교육 만족도가 조직몰입, 자기효능감과 직무 만족에 미치는 영향,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46 길옥석, 요양보호사의 자기효능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노인 이미지의 매개 효과 중심으로, 국제신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47 남성진, 이재모, "재가 장기요양기관에서 근무하는 요양보호사의 업무환경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구광역시를 중심으로," 한국균형발전연구, 제3권, 제1호, pp.93-114, 2012.
48 이광재,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서비스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49 백영란, 호텔조리사의 조직특성이 자기효능감에 따라 조직 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