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배합설계 절차

Search Result 11, Processing Time 0.03 seconds

The Exert System Development for Concrete Mixing Design (콘크리트 배합설계를 위한 전문가 시스템 개발)

  • 장승규;권영호;양은익;조철근;박칠림
    •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 /
    • v.3 no.2
    • /
    • pp.105-113
    • /
    • 1991
  • 본 연구는 배합설계시 사용빈도가 높은 CODE를 대상으로 하여 설계기준강도 210∼500㎏/㎠인 보통 및 고강도 콘크리트이 배합설계절차를 정립하였고, 관련 기술정보와 전문가와 경험 및 지식 등을 분석정리하여 전문가 시스템을 위한 지식베이스를 구축하였다. 또한 지식의 표현방법, 결론의 추론방식 및 전문가 시스템 개발도구 등에 대한 비교연구를 수행하여 보다 효율적인 콘크리트 배합설계를 위한 전문가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Mix Design Procedure of Structural Concrete Using Artificial Lightweight Aggregates Produced from Bottom Ash and Dredged Soils (바텀애시 및 준설토 기반의 인공 경량골재를 활용한 구조용 콘크리트의 배합설계 절차)

  • Lee, Kyung-Ho;Yang, Keun-Hyeok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 /
    • v.18 no.2
    • /
    • pp.133-140
    • /
    • 2018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reliable mixing design procedure of concrete using artificial lightweight aggregate produced from expanded bottom ash and dredged soil. Based on test results obtained from 25 mixes, empirical equations to determine water-to-cement ratio, unit cement content, and replacement level of lightweight fine aggregates were formulated with regard to the targeted performance (compressive strength, dry density, initial slump, and air content) of lightweight aggregate concrete. From the proposed equations and absolute volume mixing concept, unit weight of each ingredient was calculated. The proposed mix design procedure limits the fine aggregate-to-total aggregate ratio by considering the replacement level of lightweight fine aggregates, different to previous approach for expanded fly ash and clay-based lightweight aggregate concrete. Thus, it is expected that the proposed procedure is effectively applied for determining the first trial mixing proportions for the designed requirements of concrete.

Mixture Proportioning Approach for Low-CO2 Lightweight Aggregate Concrete based on the Replacement Level of Natural Sand (천연모래 치환율에 기반한 저탄소 경량골재 콘크리트 배합설계 모델)

  • Jung, Yeon-Back;Yang, Keun-Hyeok;Tae, Sung-Ho
    •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 /
    • v.28 no.4
    • /
    • pp.427-434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mixture proportioning approach based on the replacement level of natural sand for reducing $CO_2$ emissions from artificial lightweight aggregate concrete(LWAC) production. To assess the effect of natural sand on the reduction of $CO_2$ emissions and compressive strength of LWAC, a total of 379 specimens compiled from different sources were analyzed. Based on the non-linear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database and the previous mixture proportioning method proposed by Yang et al., simple equations were derived to determine the concrete mixture proportioning and the replacement level of natural sand for achieving the targeted performances(compressive strength, initial slump, air content, and $CO_2$ reduction ratio) of concrete. Furthermore, the proposed equations are practically applicable to straightforward determination of the $CO_2$ emissions from the provided mixture proportions of LWAC.

Mix Design of Lightweight Aggregate Concrete and Determination of Targeted Dry Density of Concrete (경량골재 콘크리트의 배합설계 및 목표 콘크리트 기건밀도의 결정)

  • Yang, Keun-Hyeok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 /
    • v.13 no.5
    • /
    • pp.491-497
    • /
    • 2013
  •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stablish a straightforward mixture proportioning procedure for structural lightweight aggregate concrete (LWAC), and evaluate the selection range of the targeted dry density of concrete against the designed concrete compressive strength. In developing this procedure, mathematical models were formulated based on a nonlinear regression analysis over 347 data sets and two boundary conditions of the absolute volume and dry density of concrete. The proposed procedure demonstrated the appropriate water-to-cement ratio and dry density of concrete to achieve the designed strength decrease with the increase in volumetric ratio of coarse aggregates. This trend was more significant in all-LWAC than in sand-LWAC. Overall, the selection range of the dry density of LWAC exists within a certain range according to the designed strength, which can be obtained using the proposed procedure.

Mixture-Proportioning Model for Low-CO2 Concrete Considering the Type and Addition Level of Supplementary Cementitious Materials (혼화재 종류 및 치환율을 고려한 저탄소 콘크리트 배합설계 모델)

  • Jung, Yeon-Back;Yang, Keun-Hyeok
    •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 /
    • v.27 no.4
    • /
    • pp.427-434
    • /
    • 2015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n rational mixture-proportioning procedure for low-$CO_2$ concrete using supplementary cementitious materials (SCMs) achieving the targeted $CO_2$ reduction ratio as well as the conventional requirements such as initial slump, air content, and 28-day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To evaluate the effect of SCM level on the $CO_2$ emission and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a total of 12537 data sets were compiled from the available literature and ready-mixed concrete plants. The amount of $CO_2$ emission of concrete was assessed under the system boundary from cradle to concrete production stage at a ready-mixed concrete plant. Based on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established database, simple equations were proposed to determine the mixture proportions of concrete such as the type and level of SCMs, water-to-binder ratio, and fine aggregate-to-total aggregate ratio. Furthermore, the $CO_2$ emissions for a given concrete mixture can be straightforwardly calculated using the proposed equations. Overall, the developed mixture-proportioning procedure is practically useful for determining the initial mixture proportions of low-$CO_2$ concrete in the ready-mixed concrete field.

Determination of Dynamic Modulus of cold In-place Recycling Mixtures with Foamed Asphalt (폼드아스팔트를 이용한 현장 상온 재생 아스팔트 혼합물의 동탄성계수 결정)

  • Kim, Yong-Joo Thomas;Lee, Ho-Sin David
    • International Journal of Highway Engineering
    • /
    • v.11 no.1
    • /
    • pp.1-12
    • /
    • 2009
  • A new mix design procedure for cold in-place recycling using foamed asphalt (CIR-foam) has been developed for Iowa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Som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 new mix design parameters were considered and modified to improve the laboratory test procedure. Based on the critical mixture parameters identified, a new mix design procedure was developed and validated to establish the properties of the CIR-foam mixtures. As part of the validation effort to evaluate a new CIR-foam mix design procedure, dynamic moduli of CIR-foam mixtures made of seven different reclaimed asphalt pavement (RAP) materials collected throughout the state of Iowa were measured and their master curves were constructed. The main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provide: 1) standardized testing procedure for measuring the dynamic modulus of CIR-foam mixtures using new simple performance testing (SPT) equipment; 2) analysis procedure for constructing the master curves for a wide range of RAP materials; and 3) impacts of RAP material characteristics on the dynamic modulus. Dynamic moduli were measured at three different temperatures and six different loading frequencies and they were consistent among different RAP sources. Master curves were then constructed for the CIR-foam mixtures using seven different RAP materials. Based upon the observation of the constructed master curves, dynamic moduli of CIR-foam mixtures were less sensitive to the loading frequencies than HMA mixtures. It can be concluded that at the low temperature, the dynamic modulus is affected by the amount of fines in the RAP materials whereas, at the high temperature, the dynamic modulus is influenced by the residual binder characteristics.

  • PDF

Proposals for Revision of Lightweight Aggregate Concrete Specifications Based on In-situ Quality Control on Concrete (현장 품질관리를 고려한 경량골재 콘크리트의 시방서 개정안에 대한 고찰)

  • Lee, Kyung-Ho;Yang, Keun-Hyeok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 /
    • v.18 no.3
    • /
    • pp.211-218
    • /
    • 2018
  • This study examined the reliability and revision necessity of concrete standard specifications based on the comparisons with test data obtained by using domestic artificial lightweight aggregates and the contents specified in different foreign specifications including ACI 211.2, ACI 213, ACI 301, JASS 5 and CEB-FIP. To achieve the continuous particle distribution of domestic fine lightweight aggregates, the partial addition of natural sand with the maximum size of 2.5mm was required. To control the segregation and excessive bleeding in the fresh lightweight concrete, the current limitations on the water-to-binder ratio and unit water content need to be modified using lower values. In particular, a rational mixture proportion approach of lightweight concrete needs to be established for the targeted requirements of initial slump, 28-day compressive strength, air content and dry unit weight. Ultimately, significant revision of the concrete standard specifications is required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domestic artificial lightweight aggregates.

Laboratory Mix Design of C.S.G Method (C.S.G 공법의 실내 배합설계)

  • Kim Ki-Young;Jeon Je-Sung;Kim Yong-Seong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22 no.5
    • /
    • pp.27-37
    • /
    • 2006
  • Cemented Sand and Gravel (C.S.G) method has become increasingly popular in Japan and throughout the world as a construction method and material. This method is favorably used for cofferdam and large dam because a quarry and aggregate plant facility can be diminished. Also, this method can reduce construction cost, work duration and destruction of environment. In this paper, a methodology for C.S.G mix design based on so-called soil mechanics approach is proposed for trapezoid-shaped dam. The methodology consists of selection of a suitable aggregate, introduction of compaction method, processing to prepare standard specimens, and determination of mix portions. Also, unconfined compressive strength tests and large triaxial compression tests are performed. From the results of the test, correlation equation among strength, elastic modulus and unit cement is proposed.

A Evaluation of Manufactural Performance by Applied Quiet Pavement (저소음 포장의 현장 생산성능 평가)

  • Jun, Soon Je;Kim, Wan Sang;Kim, Young Jin;Ryu, Deug Hyun;Lee, Suck Hong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181-181
    • /
    • 2011
  • 도로는 국내 물류를 담당하는 중요한 기반시설로 국내 경제성장의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특히, 1970년대 개통된 경부고속도로는 우리나라의 대동맥으로 산업 성장의 파급효과를 가져오는 기반이 되었고, 공학적인 차원에서도 도로 포장재료를 경험 및 과학적으로 분석하여 적용하는 계기로 도로공학발전의 초석이 되었다. 과거에 적용된 도로 포장재료는 기술자의 경험에 의존하여 배합설계가 진행되었으며, 중차량의 비중이 많은 지역은 강성포장을 적용하고, 상대적으로 중차량이 적은 구간은 연성포장을 적용하는 설계를 따랐다. 하지만, 강성포장을 대표하는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은 시공상의 복잡함과 시멘트 콘크리트 특성상 강도발현을 위해서 일정기간 이상의 양생일수가 필요하므로, 도로건설의 인프라 구축이 시급한 지역에서는 사용의 제약이 따른다. 연성포장을 대표적하는 재료로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을 들 수 있다. 강성포장보다는 상대적으로 시공상의 편리함과 일정기간의 양생이 필요하지 않아 도로 포장재료로서 그 적용성이 우수하다. 과거에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의 종류가 단순화되어 표층, 기층에 대표되는 몇몇 혼합물이 도로 포장재료로 사용되었다. 도로공학의 학문적 발달과 함께 도로포장의 전반적인 기술이 향상되고 있다. 과거의 도로 기능은 국가 경제발전을 위한 산업용 원자재의 운반이 주요 기능을 담당하고 있는 반면, 국민의 경제적 수준이 증대되고 자가용의 보급이 보편화되면서 도로 이용의 주체가 국민 개개인으로 변화되고 있고, 그 요구조건도 다양화되고 있다. 이에 발맞추어 도로공학의 기술적 향상으로 다양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도로포장재료가 개발되고 있으며, 대표적인 제품으로는 배수성 포장, 반강성 포장, 보수성 포장, 탄성 포장, 저소음 포장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 포장의 하나인 저소음 포장의 특성 중 생산성능을 평가하였다. 생산성능이란 저소음포장을 현장 플랜트에서 생산하였을 경우의 특성을 분석하는 과정으로, 실내 실험으로 최적화된 재료의 배합은 이상적인 조건을 적용하여 결정된 것으로 입고된 현장 골재 및 생산 플랜트 조건에 따른 그 배합 및 물성이 변동을 가져올 수 있다. 특히, 저소음 포장은 기존의 아스팔트 포장과 달리 적용되는 골재, 아스팔트의 재료가 고성능을 발휘하기 위하여 특수한 재료를 적용해야 한다. 배합설계에서도 개립도 아스팔트 혼합물에 적용되는 내구성분석 절차를 따라야 하므로, 실내 배합설계 혼합물과 현장 생산 혼합물간의 물리적 특성에 차이를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내 및 현장 혼합물의 전반적인 물리적 특성의 차이를 분석하여 저소음 포장의 현장 생산성능을 확인하였다. 분석요소로는 혼합물의 기초물성면에서는 밀도, 공극률을 분석하였으며, 실내 내구성면에서는 마샬안정도, 잔류안정도를 분석하여 실내 및 현장 혼합물의 물성차이를 분석하였다. 기초물성을 평가할 수 있는 밀도와 공극률에서는 생산 현장 혼합물이 실내 혼합물 보다 높은 밀도와 낮은 공극률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에 상관하여 강도특성을 분석할 수 있는 마샬안정도도 생산 현장 혼합물이 다소 높은 강도를 발휘하였다. 또한, 수분에 대한 안정성을 평가하는 인자인 잔류 안정도에서는 실내 및 현장 혼합물 모두 우수한 성능을 발휘하였다.

  • PDF

건설산업경쟁력 강화와 부실방지대책(안)

  • 한국주택협회
    • 주택과사람들
    • /
    • no.54 s.71
    • /
    • pp.185-206
    • /
    • 1996
  • 1.건설제도의 국제화와 경쟁기반 구축 $\bullet$건설산업을 기획$\cdot$설계$\cdot$시공$\cdot$감리$\cdot$사후관리 등 전 분야에 걸쳐 경쟁력 있는 산업으로 육성-기획$\cdot$설계$\cdot$시공$\cdot$감리$\cdot$유지관리 등 건설산업 전반에 관한 기본사항을 법제화-대규모 공사의 경우 발주자를 대신하여 건설공사의 기획$\cdot$설계$\cdot$발주$\cdot$감리$\cdot$시공관리 등 업무의 전부 또는 일부를 종합적으로 조정$\cdot$관리하는 $\lceil$건설사업관리$\rfloor$제도를 도입 $bullet$건설공사 $\lceil$현장실명제$\rfloor$도입을 통한 하도급제도의 정비-전문건설업자로부터 하도급, 위탁, 고용 등의 형태로 공사에 참여하는 현장근로자를 신고 받아 권익을 보호하고 시공책임도 부과하는 $\lceil$현장실명제$\rfloor$도입 $\bullet$공사완성보증제, 손해배상보증제도를 도입하고, 신용상태 $\cdot$시공능력에 따라 보증 요율 등을 차등화 하여 부실업체를 배제 $\bullet$건설공사관련 각종 계약서와 시방서 등 제기준을 정비하여 발주자$\cdot$시공자 등 건설주체간의 역할과 책임을 명확화$\bullet$건설분쟁을 신속하고 객관적으로 조정$\cdot$중재하기 위하여 $\lceil$건설분쟁중재원$\rfloor$으로 확대 개편 2. 건설인력의 육성과 고용안정$\bullet$경쟁력 제고의 관건인 우수인력 확보를 위하여 대학교육 제도의 개선을 포함한 건설 인력 수급대책을 추진 - 대학의 건설관련 학과 정원을 2000년까지 매년 일정규모로 증원하여 고급기술 인력을 배출 현재 50$\%$에 불과한 건설관련 국가기술자격자를 2000년에 70$\%$까지 제고 - 감리 등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선진외국 감리 회사를 활용하여 국내 업계와의 경쟁을 유도 $\bullet$건설현장의 최일선에서 품질을 담당하고 있는 건설기능공의 고용안정과 복지향상을 위한 획기적인 대책을 마련 - 건설기능공의 자긍심과 사회적 책임의식을 고취하기 위해 기능공이 여러 현장을 전전하여 근무하더라도 경력관리, 공제금 등의 합산 관리가 가능하도록 $\lceil$건설 근로자 복지카드$\rfloor$제도를 도입 *$\lceil$건실시연구단$\rfloor$을 구성$\cdot$구체적인 운영방안을 수립 - 건설 업체 실정에 맞는 현장위주의 기능검정제도 도입 $\cdot$자격증이 현장에서 요구되는 기능수준과 숙련도를 제대로 반영할 수 있도록 검정방법을 현장 실기위주로 개선하고 자격검정업무도 건설협회 등의 자격 검정능력을 향상시켜 위탁$\cdot$시행하는 방안을 검토 3. 공사시행기관의 전문성과 책임성 제고 $\bullet$시장이 개방되어 건설공사가 국제적인 관행에 따라 이루어질 것에 대비하여 시행기관에 계약$\cdot$공사관리 등 전문직공무원을 집중 교육하여 양성 $\bullet$ 조달청이 대행하여 공사계약을 하는 경우라도 설계변경은 발주기관이 자체적으로 할 수 있도록 허용 $\bullet$ 기술직 공무원의 기술향상을 위하여 관련 공무원의 확충, 해외연수, 현장교육 강화 등을 지속적으로 추진 $\bullet$ 충분한 사전조사를 거쳐 사업계획을 수립하도록 $\lceil$건설공사 시행절차$\rfloor$를 규정 $\bullet$ 공사기간 3년 이상의 공사에 대하여는 최대한 계속비사업으로 편성토록 계속비제도의 운영을 활성화 4. 건설현장의 품질관리체제 구축 $\bullet$ 현장배쳐플랜트 설치를 확대하여 레미콘의 품질관리를 일원화하고 현장에서 레이콘을 배합하는 건식공법을 채택 - 현장레미콘생산시설(B/P)설치 확대로 콘크리트 하자에 대한 책임한계 일원화 유도 - 레미콘 재료인 골재$\cdot$시멘트$\cdot$물을 공장에서 혼합하여 공급하는 현행 습식배합 대신에 물만을 현장에서 혼합하는 건식 배합방식을 도입 $\bullet$철강재$\cdot$철구조물의 품질을 보증하기 위하여 일정기술을 갖춘 공장에서만 제작토록 하는$\lceil$공장인증제$\rfloor$를 도입 - 제작시설과 품질관리 등을 심사하여 제작공장을 등급화하고 등급에 따라 철강재 등의 제작업무 범위를 차등화 $\bullet$시설물에 대하여도 시공업체가 제작공장을 등급화하고 등급에 따라 철강재 등의 제작업무 범위를 차등화 $\bullet$시설물에 대하여도 시공업체가 사후관리를 일괄 책임질 수 있도록 $\lceil$시공 및 유지관리 일괄계약제도$\rfloor$를 도입 - 대형교량$\cdot$소각로$\cdot$하수처리장 등 유지관리에 전문성이 요구되는 분야부터 시범적으로 도입 $\bullet$건설자재의 표준화$\cdot$정보화사업을 조속히 추진 5. 건설업체에 대한 지원 강화 $\bullet$일부 공공사업자의 경우 관행화되어 있는 대금일부의 어음 또는 채권지급방법을 단계적으로 축소 $\bullet$매월 감독이나 감리원의 기성확인에 의하여 시공자에게 공사대금을 직접 지급토록 하는 등 대금 지급절차를 간소화 6. 민간 건축물에 대한 안전확보 $\bullet$충실한 설계가 이루어지도록 제도를 개선 - 설계도서 작성기준을 제정하고 다중이용시설에 대하여는 건축심의단계에서 구조검토 등 설계심의를 의무화 $\bullet$대형다중이용시설에 대한 감리 강화 - 감리전문회사 수준의 감리체제로 전환하고 감리대가도 공공수준으로 인상하고 적용요율대로 지도$\cdot$감독 강화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