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방제율

검색결과 630건 처리시간 0.038초

시설배추에서 벼룩잎벌레의 경제적 피해수준 설정 (Economic Injury Level of the Striped Cabbage Flea Beetle, Phyllotreta striolata (Coleoptera: Chrysomelidae), on Chinese Cabbage)

  • 이영수;김진영;홍순성;박홍현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93-96
    • /
    • 2014
  • 시설 배추 벼룩잎벌레의 발생밀도와 피해량을 상호 분석하고 요방제 수준 설정을 통해 신속하고 합리적인 방제체계를 확립하고자 본 시험을 수행하였다. 시설 봄배추 생육초기 벼룩잎벌레 성충 접종밀도(X)와 수량감소율(Y) 관계는 Y = 1.3475X + 2.135, $R^2$ = 0.8699이었다. 시설 봄배추 생육중기 벼룩잎벌레 성충 접종밀도(X)와 수량감소율(Y) 관계는 Y = 0.703X - 1.78, $R^2$ = 0.966이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시설 배추 봄 재배시 접종한 성충밀도와 배추 피해지수간의 상관성을 바탕으로, 수량 감소율(gain threshold, 수익역치) 5%로 전제한 벼룩잎벌레 요방제 밀도는 배추 생육초기 발생시 10주당 2.1 마리, 생육중기 발생시 10주당 9.6마리로 분석되었다.

농약방제복 착용율 개선을 위한 조사연구

  • 유경숙
    • 한국복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복식학회 2004년도 제29회 정기총회 및 춘계학술대회
    • /
    • pp.57-57
    • /
    • 2004
  • 대부분의 농약은 인간에게 해를 미치는 화학물질로 구성되어 있어서 반복 노출된 살포자는 다양한 종류의 상해를 받게 된다. 많은 연구결과들에 의하면 농약살포자가 농약에 노출되는 이유로 방제복의 미착용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세계적으로 적지 않은 농민이 경미하든 심각하든 간에 농약중독으로 추정되는 자각증상을 경험한 바가 있다고 답하고 있다. (중략)

  • PDF

차주머니나방 "해충안전지대" 침입 - 은행나무 해충 피해실태와 방제대책 - 천적밀도, 자연폐사율 낮아 피해 계속 늘어날듯 유충 대상으로 약제살포 필요

  • 이범영
    • 농약정보
    • /
    • 제15권6호통권123호
    • /
    • pp.70-73
    • /
    • 1994
  • 최근에 들어 서울, 인천등 도시지역에 ''차주머니나방''이 발생하면서 은행나무도 해충에 대하여 안전한 수종이 아니라는 감을 주고 있다. 은행나무의 해충으로 10여종이 알려져 있으나 차주머니나방과 깍지벌레류 이외는 크게 문제되지 않을 것으로 본다.

  • PDF

Mermithid 선충을 이용한 벼멸구의 생물적방제 (Biological Control of the Brown Planthopper by a Mermithid Nematode)

  • 추호열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07-215
    • /
    • 1994
  • 벼멸구(Nilaparvata lugens)는 아시아의 중요한 벼해충이다. 현재의 방제법은 주로 살충제와 저항성 품종에 의존하고 있다. 한국에서의 가장 중요한 생물적 방제인자는 자연 발생하고 있는 mermithid선충의 한종인 Agamermis unka로 생각된다. 벼멸구에의 기생율이 비록 장소와 해에 따라 변이가 높다하더라도 Mermithid 선충은 기주의 생식력을 감소할 뿐만아니라결과적으로 기주티사를 가져오기 때문에 전망이 밝은 생물적 방제인자이다. Mermithid 선충은 벼멸구가 년 3~4년세대를 경과하는데 비하여년 1세대를 나나 Mermithid선충 암컷은 일시에 산란을 하지 않기 때문에 전세대의 많은 벼멸구가 기생된다. 본 Mermithid선충은 완전기생충으로 대량생산 기술이 아직 개발되지 않아 개체군 억제를위한 증대법을 단지 제한적인 범위에서 가능하다. 그러나 재배적 방법이나 저항성 품종의 이용, 살충제와의 혼용을 통한 자연발생 선충 개체군을 보존함으로서 효과적인 벼멸구의 종합방제를 이룰 수 있다.

  • PDF

솔잎혹파리의 약제방제에 관한 연구 V. 고농도 ULV 엽면살포효과 (Chemical Control of the Pine Gall Midges(Thecodiplosis japonensis UCHIDA et INOUYE) V. Effect of ULV Foliar Spray of Some Insecticides)

  • 최승윤;박형만;정부근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95-98
    • /
    • 1982
  • ULV기에 의한 살충제의 농도(50배희석) 엽면살포를 실시하여 솔잎혹파리의 방제효과를 비교검토하였다. 본 시험은 1980년도 경기도 시흥군 의왕면 의왕읍 일대, 10년생미만 적송림에서 수행되었다. 공시살충제 Salithion(25 EC), Decamethrin$(Decis^{(R)},\;1EC)$, Phenthoate$(Elsan^{(R)},\;47.5\%)$, Diazinon(34 EC), Chlorfevinphos$(Birlane^{(24)},\;24\;EC)$, Phosalone$(Zolone^{(R)},\;25\;EC)$ 및 Methamidophes$(Tamaron^{(R)},\;60\;SL)$를 50배로 희석, 1구 10주당 500ml씩 6월 6일에 건전시용 ULV기(12v, Union Carbide 제)로 일동 엽면처리하였다. 충영엽율은 무처리 $53.3\%$에 비하여 Salithion, Decamethrin, Phenthoate 처리에서 각각 $11.8\%,\;15.4\%,\;15.5\%$로서 가장 낮았으며 다음은 $Diazinon(19.3\%),\;Chlorfevinphos(20.4\%),\;Phoslaone(24.3\%),\;Methamidophos(31.5\%)$ 순으로 방제효과가 낮았다. Salithion, Decamethrin, Phenthoate 처리의 방제 70 이상을 보였으나 그 밖에 살충제들은 비교적이다. 고농도 엽면살포에 의한 솔잎혹파리방제용 살충제 Salithion을 대체할 저독성살충제는 Decamthrin Phenothoate라고 사료된다.

  • PDF

답숙근초 가래의 생태와 방제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Ecology and Control of Bog Pondweed(Potamogeton distinctus A. BENN) in Paddy Field)

  • 이한규;박희철;이돈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58-268
    • /
    • 1976
  • 수도작에 피해를 가장 많이 주고 우리나라의 많은 면적에 분포되어 있는 답숙근초 가래의 생태조사와 제초제에 의한 방제법을 확립하기 위하여 1975년본 시험을 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총 인경의 87%가 토양심도 10∼20cm 사이에 분포되어 있으며 지표로 부터 20cm길이에 강세인경이 형성되어 있다. 2. 인경의 이식심도별 발아율 및 인경형성수는 20cm 깊이에서부터 현저히 낮았다. 3. 가래 피해구는 수량이 16% 감소되었으며 그 최대요인 수수의 격감이었다. 4. 증식기에 적엽의 효과가 가장 높았고 증식기(17 DAT)와 개화기(8일하순경)의 2회 손제초로 인경형성의 방제가 가능하다. 5. 인경이 절단되면 가래발생량 및 인경형성량이 많아진다. 6. 가래는 이에서 약액을 흡수하여 살초된다. 7. 가래의 3∼5엽기 Avirosan처리에서 가래방제 효과가 가장 높았으며 약제살포로 인하여 인경은 표토부근에 이동형성되었다. 8. Avirosan은 수도묘의 발근에 저해하였다. 9. Avirosan처리후에는 수심 3cm로 일주일 정도의 심수가 적합하다. 10. 수수대, 메밀대는 가래 방제에 큰효과가 없었고 소석회는 손제초 정도의 효과가 있었다.

  • PDF

입제의 수면처리에 의한 주요수도해충의 동시방제 (Simultaneous Control of Several Rice Insect Pests by Broadcasting Application of Granulated Insecticides (Terracur P, Lebaycid, and Gamma-BHC))

  • 최승윤;배상희;송유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25-32
    • /
    • 1970
  • 본 시험은 유기인계 살충제인 Terracur P입제 및 Lebaycid 입제와 유기염소계 살충제인 상감마입제$(\gamma-BHC 입제)$를 수면시용 하였을때 수도요해충인 이화명충, 끝 동매미충, 애멸구 및 흰둥멸구에 대한 동시방제가능성과 방제적기를 구명하고 약제간의 방제효과를 비교코저 실시하였다. 얻어진 시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약제처리후 부화직후 이화명충 접종 시험에 있어서 상감마와 Terracur P는 높은 살충율을 보였으나 Lebaycid의 살충율은 낮았다. 約 $50\%$ 살충력 잔효일수에 있어서 상감마는 8-14日이었고 Terracur P는 6일간이었다. 2) 당초 계획된 방제적기에 관한 정보는 얻을 수 없었다. 즉 주어진 일간격이 좁아 유의한 차를 얻을 수 없었다. 3) 1,2화기 이화명충에 대한 방제효과는 Terracur P=상감마>Lebaycid의 순이었다. 4) Terracur P와 Lebaycid 입제의 처리는 끝동매미충의 방제효과가 좋았으나 상감마$(\gamma-BHC 입제)$의 방제효과는 기대할 수 없었다. 끝동매미충에 대한 Terracur P와 Lebaycid입제의 잔효력은 30일 이상이었다. 5) 애멸구와 흰등별구에 대한 시험은 충의 서식밀도가 낮기 때문에 약제간 방제효과를 얻을 수 없었다. 6) 공시약제중 Terracur P와 Lebaycidd입제는 이화명충과 끌동매미충의 동시방제제로서 사용할 수 있을 것 같다.

  • PDF

감귤해충의 종합적방제에 관한 연구(2) 루비붉은좀벌(Anicetus beneficus)도입에 의한 루비깍지벌레 (Ceroplastes rubens)의 방제효과 (Studies on Integrated Control of Citrus Pests (2) Control of ruby states (Ceroplastes rubens) on citrus by introduction of a parasitic natural enemy, Anicetus beneficus (Hymenoptera, Encyrtidae))

  • 김홍선;문덕영;박중수;이승찬;;장영덕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07-110
    • /
    • 1979
  • 기생봉인 루비붉은좀벌(Anicetus beneficus)을 1975년 일본에서 도입하여 제주도에 방사시키고 루비깍지 벌레 방제를 위한 생물학적 방법으로서의 가치를 평가한후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감귤의 주요해충인 루비깍지벌레는 년 1회 발생하였고 부화시류는 6월하순부터 8월초순이었고 부화최성기는 7월 중순이었다. 2. 루비붉은좀벌은 1975년 방사이래 16개 지역에 분포되었다. 3. 루비붉은좀벌의 기생율증가로 루비깍지벌레의 밀도가 현저하게 감소되었고 평균기생율은 1975년 $1.7\%$ 1976년 $14.\%$ 1977년 $31\%$ 1978연에는 $37\%$였다.

  • PDF

아인산염을 이용한 감자 줄기기부썩음병 방제 (Effect of Potassium Phosphonate on the Control of Potato Basal Stem Rot(Pythium myriotylum) in Hydroponics)

  • 홍순영;강형식;강영길;지형진
    • 식물병연구
    • /
    • 제10권2호
    • /
    • pp.142-144
    • /
    • 2004
  • 감자 양액재배에서 발생하는 줄기기부썩음병을 방제하고자 아인산염을 시기별, 농도별로 양액에 처리한 결과 봄재배에서는 아인산염 200ppm 처리구는 90.5%, 100ppm 처리구는 50.5%의 방제가를 나타내었다. 가을재배에서는 200ppm 처리구는 100%, 100ppm 처리구는 69.9%로 아인산염 200ppm이 효과적이었다. 아인산염 200ppm 처리구는 10일 후 8.0%의 이병율을 나타냈으며, 100ppm 처리구는 5일 후 10.0%, 10일 후 20.0%, 무처리구는 5일후 56.7%, 10일 후에는 96.7%의 이병율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