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반 구조화된 면담

검색결과 30건 처리시간 0.026초

Primary care에서 지역사회 건강과 사회적 요구사정을 위한 Rapid appraisal 경험 (Experiences with Rapid Appraisal to Assess Health and Social Needs in Primary Care)

  • 조명숙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299-307
    • /
    • 2001
  • 본 연구의 목표는 rapid appraisal의 사용을 통한 지역사회의 건강과 사회적 요구들을 알아내고 이들의 우선순위를 파악하여 지역주민과 써비스 제공자들 사이에 활동계획을 만들기 위함이다. 자료 수집은 Rapid appraisal의 정보피라미드를 통한 primary care team에 의해 3개의 자원들인 지역사회내 기존자료들과 지역 내에서 많이 사용해왔던 반 구조화된 면담지, 방문과 크리닉을 통한 직접 관찰로 자료수집을 하였다. 반 구조화된 면담지는 pilot study하고 검증한 후 사용하였다. 자료수집 대상은 Northern General hospital내에 등록되어진 100가구의 도시영세민 주택에 거주하는 자로 하였다. 결과로 면담자 들과 focus groups은 지역사회 내 지역건강요구들을 만나고 알아내며 건강뿐만이 아닌 사회적인 많은 변화가 요구되는 건강관련 우선순위를 알아내는 첫단계로써 rapid appraisal의 사용이 유용하다. 결론적으로 Rapid appraisal은 지역사회 내 Primary care에서 muti-displinary approach를 촉진하여 건강에 영향하는 다양한 요인사정의 질적인 방법으로 변화를 위한 행동 계획을 세우는데 좋은 평가 방법으로 확인되었다.

  • PDF

중학교 학생들의 기하 과제 해결을 위한 논증 활동의 특징 탐색 - Verheij의 반박 유형을 중심으로 - (An Investigation on the Properties of the Argumentation for Students' Performing Geometric Tasks in Middle School-Based on the Type of the Rebuttal of Verheij)

  • 황혜정;홍성기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7권4호
    • /
    • pp.701-725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이 스스로 대화에 참여하여 자신과 상대방 간의 생각을 나누는 과정, 즉 반성, 변화 및 설득해 가는 과정에서 논증 활동을 경험하는 기회를 가지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하여 수학 수업 시간에 학생들이 과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이뤄지는 논증 활동을 면밀히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논증 활동 요소 중 하나인 '반박'에 중점을 두어 학생들이 수학 과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반박의 유형이 무엇인지, 또 논증 활동이 일어나는 상황에서 반박이 논증 요소 중 무엇을 목표로 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이때 Verheij(2005)가 제안한 다섯 가지 반박 유형에 기초하여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중학교 3학년 4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두 개의 기하 과제 중심의 토론 수업을 약 50분씩 두 차례 진행하고, 한 차례 반 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학생들의 논증 활동에서 반박 유형에 초점을 두고 논증 활동을 세밀하게 탐색해 봄으로써 논증 활동에 대한 보다 견고한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중요무형문화재 무용전승자의 이수제약 요인 분석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Dance Transfer recipients Constraints Analysis)

  • 김명주;김정련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0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70-172
    • /
    • 2010
  • 본 연구는 중요무형문화재 무용전승자의 이수제약요인을 파악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2010년 현재 중요무형문화재 무용부문 보존회에 등록되어 있고, 전수교육을 3년 이상 받은 사람이다. 구체적으로는 무용부문 보존회 3단체를 선정하여 1단체에 2명씩 총 6명의 참여자를 선정하였다. 자료수집은 반(半)구조화된 심층면담이 적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분류분석하였으며, 전문가 회의를 통한 연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중요무형문화재 전승자의 이수제약요인을 개인적, 구조적, 대인적 제약으로 분석하였고,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중요무형문화재 전승자들의 이수제약 요인 해소를 위한 정책적 배려가 있어야 하겠고 입법에서는 더욱더 세밀하게 다루어져야 할 것이다.

  • PDF

정신과 환자의 낮병원 직업재활 프로그램 참여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Qualitative Study on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gram Participation Experience of Mentally Ill Patients in Psychiatric Day Hospital Care)

  • 엄광진;김정유
    • 산업진흥연구
    • /
    • 제8권4호
    • /
    • pp.209-220
    • /
    • 2023
  • 본 연구는 일반적 질적 연구와 집단 포토보이스(G-Photovoice) 방법을 활용하여 정신과 환자의 낮병원 직업재활 프로그램 참여 경험을 연구하였다. 연구자는 낮병원 직업재활 프로그램 참여 경험이 있는 정신과 환자 5명을 대상으로 2회 이상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낮병원 이용과 외래 진료 이후 추가 면담을 실시하였다. 더불어 사진을 활용한 반 구조화된 집단 면담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연구 참여자들의 낮병원 직업재활 프로그램 참여 경험은 '직업 활동의 어려움을 경험함', '함께 일하는 것에 대한 즐거움', '안정감을 얻음', '자신이 성장했음을 느낌'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반하여 본 연구에서는 낮병원 직업재활을 활성화하고 정신과 환자의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는 함의를 논의하였다.

기후변화의 원인과 결과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선 개념 연구 (High School Students' Preconception about the Causes and Consequences of Climate Change)

  • 한신;정진우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8권2호
    • /
    • pp.430-442
    • /
    • 2014
  • 이 연구의 목적은 기후변화의 원인과 결과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선 개념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질문지를 이용하여 서울과 경기도 소재의 고등학생 196명을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질문지는 개방형 질문 1개 문항과 선택형 질문 6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개방형 질문지는 기후변화의 원인과 정의, 기후변화에 의한 영향을 자유롭게 기술하도록 하였다. 선택형 질문은 온실효과의 주요 원인 기체, 인간 활동에서 기후 변화에 영향을 주는 요소, 기후 변화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산업 활동, 기후 변화가 초래하는 영향, 기후변화에 대한 정보를 얻게 된 경로들로 구성되어 있다. 질문지의 선 개념을 확인한 후, 무작위로 10명의 학생들과 반구조화된 면담 수행하여 선 개념을 심층적으로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 오존 파괴, 지구 온난화, 온실효과의 인과 관계에 대해 정확히 알지 못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선 개념은 학생들의 오 개념 형성에 많은 영향을 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직장암 남성의 성생활 경험에 관한 융합적 연구 (The convergence study on the Sexual life Experience of Rectal Cancer Men)

  • 우상준;이은숙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5호
    • /
    • pp.233-241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직장암 남성들이 경험하는 성생활을 파악하는데 있다. 연구 참여자는 직장암으로 치료를 받고 있는 8명의 남성으로, 반 구조화된 질문을 통한 면담내용을 Downe-Wamboldt의 내용분석 방법(8단계)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3개의 범주와 9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신체적 어려움, 심리적 어려움, 상호역할적 어려움. 이와 같이, 직장암으로 치료를 받는 남성들은 성과 관련된 신체적, 심리적, 상호역할적 어려움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직장암 남성들이 경험하는 성과 관련된 경험을 드러내 주었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추후 성 관련 프로그램 개발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과학자들의 상상력에 대한 인식과 과학적 상상력의 특성 탐색 (Scientists' Perceptions of Imagina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Scientific Imagination)

  • 문지영;문공주;김성원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3권7호
    • /
    • pp.1403-1417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과학자들의 상상력에 대한 인식과 과학 연구 과정에서 나타나는 과학적 상상력의 특성을 탐색하였다. 문헌 연구를 바탕으로 상상력의 개념과 특성을 도출한 뒤, 실제 과학자를 대상으로 상상력에 대한 인식과 연구 과정에서 강조되는 상상력의 특성을 알아보았다. 연구 참여자로는 스노우볼 표집을 통해 국내 과학자 8인을 선정하였으며, 개별 심층 면담을 통해 자료 수집이 이루어졌다. 면담은 주로 60-90분 동안 진행되었으며, 면담 내용은 모두 전사하여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면담 질문은 상상력에 대한 인식과 연구 과정에서 상상력이 발휘되었던 경험과, 상상력의 역할 등을 물어보는 반 구조화된 형식으로 구성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자들은 상상력이 과학 연구 활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상상력에 대하여 긍정적인 관점을 지니고 있었다. 특히 과학자들은 상상력이 인간이 지니고 있는 특성으로 바라보았으며, 상상력의 개념을 폭넓게 이해하는 현대적 관점을 지니고 있었다. 연구 과정에서 강조되는 상상력의 특성은 문헌 연구에서 나타나는 상상력의 특성과 일치하였으며, 크게 세 가지로 분류하였다. 첫째, 과학자들의 상상력은 경험을 통한 지적 호기심과 궁금증이 원동력으로 작용한다는 것이다. 둘째, 과학적 상상력이 발휘되는 과정에서 창의적 특성이 나타난다. 셋째, 과학적 상상력은 과학 지식을 기반으로 현실 가능성을 고려하며, 새로운 것을 산출하는 특성을 지닌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결론에서는 과학적 상상력의 특성을 도출하고, 그 의미와 함께 과학 학습에서의 상상력 활용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중학교 체육교사의 교직 경험 의미 탐색 (Exploring the Meaning of Teaching Experience of Middle 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s)

  • 김승용
    • 산업융합연구
    • /
    • 제22권3호
    • /
    • pp.39-49
    • /
    • 2024
  • 본 연구는 중학교 체육교사의 교직 경험 의미 탐색으로서 체육교사의 교직 정체성을 토대로 교직 경험 관련 심층적인 진술을 듣고 그 안에서 발견되어지는 의미 있는 내용 탐색과 의미 구조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참여자는 현직중학교 체육교사 4명이다. 연구방법은 Colaizzi의 현상학적 방법을 통해 연구 참여자의 심층 면담, 집단 면담, 추가 면담 및 현장 기록 등을 통하여 의미 구조를 분석하였다.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면담은 반 구조화 면담(semi structured interview)으로 진행하였으며 교직 경험과 관련하여 중복 사례나 유사 현상 등의 내용이 더 이상 나오지 않았을 때 개인 면담은 종료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 참여자들과의 면담을 통한 이야기 진술들을 토대로 경험 의미를 구성하였으며 구성된 의미에서 개념을 탐색하여 2개의 항목, 6개의 범주 및 12개의 주제 모음이 추출되었다. 교직으로 향하게 된 이유는 '동기'와 '신념'으로 범주화 되었으며, 교직 수행 경험 의미는 '임무', '관계', '고갈', '극복'으로 범주화 되었다. 결론적으로 연구 참여자들은 수많은 어려움도 있었지만, 학교라는 공동체 안에서 나눔의 기쁨과 가치를 추구하며 도전과 회복을 경험하고 있었다.

성공적인 성취자의 심층 면담을 통한 영재교육의 방향성 탐색 (An Exploration of the Direction of Gifted Education through Deep Interview of Socially Succeeded People)

  • 박경빈;이재호;박명순;이선영;전미란;류지영;안성훈;변순화
    • 영재교육연구
    • /
    • 제25권2호
    • /
    • pp.217-236
    • /
    • 2015
  • 이 연구는 사회적으로 성공한 인사들의 성취에 영향을 준 요인을 조사하고 영재교육의 개선방향을 도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성취자 60명을 대상으로 6개 분야(교육, 전공, 가정 및 부모, 대인관계, 여가시간, 업적 및 성공요인)에 대해 반 구조화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많은 성취자들은 적극적인 학생이었으며, 가정은 화목하고 자율적이었고, 차별화 교육 및 학생 중심의 교육이 중요하다고 생각하였다. 개인적으로는 멘티를 지도하고 있지 않다는 응답자가 많았다. 전공 결정 및 교육은 재능과 흥미의 발견 시기에 맞춰 이뤄져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여가시간 활동으로는 운동, 음악, 독서를 중요시하였으며, 성취의 원동력이 된 것은 호기심, 자신감 등 개인 내적 특성이었다. 영재교육을 수혜한 성취자들은 영재교육의 경험이 성취에 중요한 영향을 준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면담 결과를 영재교육의 개선 방향과 관련지어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야외지질학습에서 '생소한 경험 공간(Novelty Space)'에 대한 초등 예비교사와 중등 지구과학 예비교사들의 인식 탐색 (Exploring the Perception of Elementary and Secondary Pre-service Teachers about 'Novelty Space' in Learning in Geological Field Trip)

  • 최윤성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27-46
    • /
    • 2022
  • 이 연구는 초등 및 중등 지구과학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생소한 경험 공간(Novelty Space)에 대한 인식 조사를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A 교육대학교의 초등 예비교사 38명과 B 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에 재학 중인 31명의 중등 지구과학 예비교사들이 설문에 참여하였다. 또한 연구 참여자 중 추가적인 면담 참여에 동의한 초등 예비교사 3명과 중등 지구과학 예비교사 9명, 총 12명을 대상으로 비대면 면담을 실시하였다. 생소한 경험 공간에 대한 요소를 사전 지식(인지), 사전야외학습 경험(심리), 야외조사지역과의 친숙도(지리)에 덧붙여, 사회적인(social) 요소과 기술적인(technical) 요소를 추가하였다. 초등과 중등, 학년를 기준으로 분류하였을 때 생소한 경험 공간의 요소에 대해 인지적 영역, 심리적 영역, 지리적 영역, 사회적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통계적인 차이는 야외학습과 관련된 경험이나 자본이 중등 지구과학 예비교사들이 초등 예비교사들보다 더 많은 것으로부터 비롯되었을지도 모른다고 해석하였다. 반-구조화된 면담에서 초등 예비교사 및 중등 지구과학 예비교사 모두 가상야외지질학습의 가치나 필요성을 강조하였으며 특히 기술적인 영역에서의 역량을 강조하였다. 이 연구는 초등 및 중등 지구과학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야외지질학습을 실행하기 위한 생소한 경험 공간에 대해 현재의 교육 맥락적인 상황을 고려하여 새롭게 정의할 필요성을 제안할 뿐만 아니라 생소한 경험 공간 요소들을 구체화하였다는 점에서 학술적인 의의를 갖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