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반수치사농도

검색결과 112건 처리시간 0.024초

천해역 먹이망 생태계에 대한 무기부유입자와 카드뮴의 영향 II. Tigriopus japonicus에 대한 카드뮴의 급성 및 만성독성 (Effects of Suspended Solid and Cadmium on the Shallow-sea Ecosystem II. Acute and Chronic Toxicity of Cadmium to a Herbivorous Copepod, Tigriopus japonicus)

  • 정의영;신윤경;이원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24-133
    • /
    • 1996
  • 초식성 요각류인 Tigriopus japonicus를 대상으로 사망률과 반수치사농도$(LC_{50})$ 및 호흡대사에 미치는 카드뮴의 급성 및 만성독성영향을 조사하였던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염분 32, 26 및 $18\%_{\circ}$에서 T. japonicus에 대한 카드뮴의 96시간 반수치사농도$(96hr.-LC_{50})$$20^{\circ}C$에서 각각 15.1, 13.7 및 9.9 ppm이었고, $10^{\circ}C$에서는 각각 21.6, 15.0 및 11.0ppm으로 나타나 수온의 감소와 염분의 증가에 따라 반수치사농도는 증가되었다. 96시간동안 카드뮴에 노출시킨 후 산소소비율은 $10^{\circ}C$에 비해 $20^{\circ}C$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카드뮴농도의 증가에 따라 보다 크게 감소되었다. 염분 $32\%_{\circ}$ 및 Cd농도 4ppm에서 T. japonicus의 생존률과 25일동안의 반수치수농도$(25days-LC_{50})$$10^{\circ}C$의 경우 각각 $5\%$와 0.05ppm이었고, $20^{\circ}C$에서는 $0\%$와 0.28ppm을 나타내었다.

  • PDF

곤충병원성 선충을 이용한 느타리버섯해충, 긴수염버섯파리 (Lycoriella mali)의 생물적방제 (Biological Control of Lycariella magi(Diptera: Sciaridae), a Pest of Oyster Mushroom, Pleurotus ostreatus Using Entomopathogenic Nematodes)

  • 김형환;추호렬;이흥수;박정규;이동운;진병래;추영무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59-67
    • /
    • 2001
  • 긴수염버섯파리 (Lycoriella mali)에 대한 곤충병원성 선충 Steinernema carpocapsae 포천계통과 Heterorhabditis bacteriophora함양 계통의 병원성을 실내와 포장에서 실험하였다. 곤충병 원성 선충에 의한 긴수염버섯파리의 치사율은 선충의 종, 농도, 온도 및 긴수염버섯파리의 발육단 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S. carpocapsae가 H. bacteriophora보다, 긴수염버섯파리 2령충보다는 3령충과 4령충에서 효과가 높았다. 그리고 온도에 따른 긴수염버섯파리의 치사율은 $20^{\circ}C$보다는 $25^{\circ}C$에서 높았다. 반수치사농도가 가장 낮았던 값은 $25^{\circ}C$에서 S. carpocapsae의 긴수염버섯파리 2령 충에서 20.0마리, 3령충에서 27.5마리였다. S. carpocapsae에 의한 긴수염버섯파리의 치사율은 알과 1령충을 제외한 전 발육단계에서 병원성이 높았으며, 가장 치사율이 높았던 것은 암컷 성충으로 2$0^{\circ}C$에서 74.0%, $25^{\circ}C$에서 80.0%였다. S. carpocapsae는 긴수염버섯파리 암컷의 산란수를 감소시 켰고, 긴수염버섯파리의 성충에 의하여 감염이 된 후 전파가 되었다. 포장실험에서 S. carpocapsae를 $1.5\;\textrm{m}^2$$2.25{\times}10^{5}마리와\;4.5{\times}10^{5}$ 마리로 처리한 14일째 유충감소율은 42.2%와 81.6%였으며 ,버섯재배사에서 곤충병원성 선충은 14일까지 지속되고 있었다. 곤충병원성 선충은 느타리버섯의 생장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 PDF

빙어(Hypomesus olidus)의 폐사에 미치는 시멘트의 급성독성 (Acute Toxicity of Cement on Mortality of Pond Smelt (Hypomesus olidus))

  • 이정열;허준옥
    • 환경생물
    • /
    • 제23권1호
    • /
    • pp.89-92
    • /
    • 2005
  • 빙어(Hypomesus olidus)를 사용하여 시멘트 농도에 따른 반수치사농도 (LC/sub 50/), 안정농도 (safe concentration) 및 적용계수 (application factors of pollutant)를 조사하였다. 실험어는 평균체장 8.6±1.2cm의 성어를 사용하였으며, 1주일 이상 안정시킨 후에 50L의 FRP 사각수조를 이용하여 시멘트 농도를 0 (대조구), 10, 25, 50, 100, 250, 500 및 1,000ppm로 설정하고 각 실험구에 30마리씩 수용하였다. 시멘트에 대한 빙어의 급성독성은 500ppm 이상의 농도에서 4시간 이내에 전량 폐사하였다. 그리고 시멘트 독성에 대한 반수치사농도(LC/sub 50/)는 48h-LC/sub 50/은 123.03 ppm, 72 h-LC/sub 50/은 91.20 ppm 및 96 h-LC/sub 50/은 58.88 ppm으로 각각 조사되었다. 또한 안정농도는 2.64∼9.14 ppm (평균 5.88 ppm), 적용계수는 0.045∼0.155(평균 0.100)로 각각 조사되었다.

넙치의 초기 생활사에 미치는 해양 독성물질들의 급성독성 영향 (The effect of acute toxicity of marine toxicants on early life of coastal olive flounder)

  • 탁건태;김중균
    • 생명과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247-253
    • /
    • 2000
  • 넙치의 초기생활사에 있어서의 해양 오염물질의 급성독성을 알아보았는데, 수정란 및 부화 직후의 넙치 자어에 미치는 급성독성 영향은 Aroclor 1254> 제초제 바스타액>HgCl2>CdCl2 순이었으며, 수정 란보다는 자어에 대한 영향이 더 크게 나타났다. 이때, 넙치 수정란에 독성물질을 처리하였을 때의 부화 율은 처리 농도에 의존적인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높은 처리 농도에서 부화하여 기형으로 발생한 개체 는 곧 죽었고, 난황 흡수율도 독성 물질의 처리 농도가 높을수록 낮은 경향을 보였다. Aroclor 1254, 바 스타액, HgCl2 및 CdCl2의 72시간 반수치사농도는 넙치 수정란에 대하여 각각 15.5 ng/L, 21 nL/L, 17 $\mu\textrm{g}$/L 및 29 $\mu\textrm{g}$/L이었으며, 부화 직후의 자어에 대해서는 각각 3.5 ng/L, 16.0 nL/L, 10.5 $\mu\textrm{g}$/L 및 15.0 $\mu\textrm{g}$/L 이었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해양오염물질의 반수치사농도는 어패류의 성체를 대상으로 조사한 경 우가 많은데, 실제 해양 환경에 있어서는 수산생물의 초기 생활사에 미치는 해양 독성물질의 영향을 조 사하여 해양 독성물질의 규제 농도를 정해야 할 것이다.

  • PDF

수인성 아연 급성 노출이 붕어, Carassius carassius의 반수치사농도, 혈액학적 성상 및 혈장 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n Lethal Concentration 50%, Hematological Parameters and Plasma Components of Crucian carp, Carassius carassius Exposed to Waterborne Zinc)

  • 정지호;주창훈;조아현;홍수민;유연아;조석원;김준환
    • 한국해양생명과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29-138
    • /
    • 2022
  • 붕어(무게 42.4±9.0 g, 길이 15.0±1.0 cm)를 96시간 동안 0, 5, 10, 20, 40 및 80 mg Zn2+/l의 수인성 아연에 노출시켰다. 수인성 아연에 노출된 붕어의 96시간 반수치사농도(LC50)는 51.58 mg Zn2+/l였다. 혈액학적 지표에서 48시간에 40 mg Zn2+/l 농도에서 RBC 수치가 유의하게 감소한 반면, 헤마토크릿은 아연 노출에 의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MCV (µl)와 MCH (pg)는 40 mg Zn2+/l 농도에서 48시간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칼슘, 마그네슘, 포도당, 콜레스테롤, 총 단백질 및 ALT와 같은 혈장 성분은 아연 노출에 의해 크게 변화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붕어에 대한 아연 노출이 독성으로서 혈액학적 매개변수 및 혈장 성분의 유의한 생리학적 변화를 유발함을 시사한다.

비스페놀 에이와 에티닐에스트라디올에 노출된 키로노무스 4기 유충의 치사, 아치사 독성연구 (Lethal and Sublethal Toxicities of Bisphenol A and Ethynyl Estradiol Exposure on the 4th Instar Larvae of Chironomus riparius (Diptera, Chironomidae))

  • 이세범;최진희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21권4호
    • /
    • pp.301-310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내분비계장애물질로 잘 알려진 Bisphenol A와 Ethynyl estradiol(이하 BPA, EE)이 Chironomus riparius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수생생태계에서 Chironomus의 생태학적 중요성을 고려하여 연구한 반수치사농도(LC50),효소 활성, 성장/발달 등의 생화학적, 생리학적 독성에 대한 연구는 이들 물질에 대한 잠재적인 생태학적 중요성을 이해하는데 있어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 결과 BPA와 EE에 노출된 후 C. riparius게서 CAT와 GST활성이 증가하였고, EE에 고농도로 노출된 후 성충까지 충분히 성장하지 못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C. riparius에서 BPA, EE에 대한 중요한 독성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 그러므로 앞으로 BPA와 EE의 생화학적 효과와 C. riparitis의 개체수준 이상에서의 생리학적 실험을 통한 검증이 필요할 것이다.

꽃매미(Lycorma delicatula) 약충과 성충에 대한 약제방제 효과 (Chemical Control Effect Against Spot Clothing Wax Cicada, Lycorma delicatula (Hemiptera: Fulgoridae) Nymphs and Adults)

  • 김선국;이기열;신윤호;김길하
    • 농약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440-445
    • /
    • 2010
  • 본 연구는 꽃매미(Lycorma delicatula)의 방제약제 선발을 목적으로 시판되고 있는 5종 살충제에 대한 침투이행성, 잔효성 및 방제효과를 평가하였다. 꽃매미 3령약충과 성충에 대해서 chlorpyrifos, etofienprox+diazinon, etofenprox, dinotefuran, imidacloprid 모두 100% 살충활성을 보였다. 5종 약제의 배수, 반수, 추천농도에 대한 실험결과 뿌리의 침투이행성 실험은 dinotefuran, etofenprox+diazinon의 반수농도에서 각각 82.2%와 84.4%의 성충 치사율을 보였으며, chlorpyrifos는 추천농도에서 86.0% 치사율을 나타냈다. 엽면적 침투이행은 반수농도와 추천농도에서 dinotefuran을 제외하고 치사율이 모두 65%이하로 낮았으나, 배수농도에서는 ch1orpyrifos, dinotefuran, etofenprox에서 82% 이상의 치사율을 보였다. 약제 간 잔효성 비교는 dinotefuran, etofenprox+diazinon의 배수와 추천농도에서 14일 동안 100%의 살충효과를 보였으며 나머지 약제는 효과가 낮았다. 노지 포도원에서 실시한 방제실험 결과 약충은 14일까지 4약제 모두 87%의 방제가를 보였고, 성충은 dinotefuran, etofenprox+diazinon에서 96%이상 치사율을 보인 반면, 나머지 약제는 각각 59.1%와 61.2%로 낮았다. 따라서, 뿌리와 잎에 침투이행이 높고 잔효성이 우수한 dinotefuran, etofenprox+diazinon이 야외 포장에서의 방제효과도 높았다.

대하의 초기생활사에 있어 아질산, 암모니아 및 황화수소의 급성독성 (Acute Toxicity of Nitrite, Ammonia and Hydrogen Sulfide for Early Developmental Stages of Fenneropenaeus chinensis)

  • 지정훈;강주찬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99-205
    • /
    • 2004
  • 우리나라 갑각류의 대표적인 양식종인 대하의 초기생활사 동안의 아질산, 암모니아 및 황화수소에 대한 급성독성 수준을 파악하여 각 발달단계에 따른 독성차이를 검토하였다. 아질산에 대한 대하의 mysis, post larva 및 juvenile기의 96시간 반수치사 농도는 각각 18.4, 32.3 및 39.8 mg/L이었고, 암모니아에 대한 대하의 mysis, post larva 및 juvenile기의 96시간 반수치사 농도는 각각 1.43, 3.45 및 3.35 mg/L이었다. 황화수소에 대한 대하의 mysis, post larva 및 juvenile기의 96시간 반수치사 농도는 각각 13.5, 22.7 및 28.5 $\mu{g}/L$이었다. 이들 오염물질에 대한 독성순위는 황화수소>암모니아>아질산 순으로 나타났다. Post larva에 대한 mysis기의 독성수준은 모든 오염물질에서 1.5배 이상을 나타냈고, juvenile에 대한 mysis기의 독성수준은 2배 이상을 나타내어 가장 큰 차이를 보였다. 한편 juvenile에 대한 post larva기의 독성차이는 1.5배 이하를 나타내어 가장 작은 차이를 보였다.

점곤쟁이, Neomysis awatschensis에 대한 수종 중금속의 96시간-반수치사농도와 성장률과의 관계

  • 진평;이정아;김경선;강주찬;이정열;박기영;김흥윤;신윤경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2년도 추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228-229
    • /
    • 2002
  • 환경오염원의 단기독성 생물검정 시험 결과로부터 중장기적인 생리적 저해영향을 파악하는 것은 검정해야 할 중요한 과제의 하나다. 효율성 때문에 단기독성시험을 위주로 하지만, 생산량에 관련되는 중ㆍ장기적 피해를 예측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문제다. Tabata(1979)는 수산생물에 대한 각종 수질오염물질을 반수치농도와 성장에 미치는 장기영향한계농도와의 관계를 개관하여 단기와 장기간에 0.1∼0.001의 적용계수를 제시하였다. (중략)

  • PDF

물벼룩을 이용한 일부 염색폐수의 만성 수질독성 특성 연구 (Chronic Toxicities of Effluents from Dye Industry using Daphnia magna)

  • 김영희;이민정;어수미;유남종;이홍근;최경호
    • 환경생물
    • /
    • 제23권2호
    • /
    • pp.146-151
    • /
    • 2005
  • 본 연구를 통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5개의 염색폐수배출업소에서 각각 3회씩 채취한 최종 방류수를 대상으로 한 생물독성시험 결과 미생물독성시험에서는 B시료와 E시료에서 독성이 관찰되었고 급성 물벼룩시험에서는 반수치사농도가 C시료에서만 관찰되어 염색폐수의 독성이 시험 생물종별로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동일 생물종을 대상으로 실시한 급성 및 만성시험에서는 급성반수치사가 5개 방류수 중 C시료에서만 비교적 낮은 농도에서 관찰이 된 것에 비해 만성반수치사는 3개 방류수에서 나타났고 $EC_{50}$도 급성영향의 $1/2\~1/5$ 수준에서 결정되었다. 특히 만성노출에 의한 생식 및 성장에 미치는 영향은 치사에 미치는 영향농도보다 더 낮은 농도에서 나타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방류수가 연속적으로 수계에 배출되는 특성을 고려하면 만성노출에 의한 영향을 평가하는 것이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한편 염색폐수의 경우 동일업종 또는 동일한 시료에서도 독성평가방법에 따라 서로 다른 정도의 독성이 관찰되는 등 독성발현이 매우 다양하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염색폐수가 수중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제어하기 위해서는 물고기나 조류 등 다른 영양단계에 있는 생물종에 미치는 영향 등의 연구가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