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바느질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17초

초등학교 6학년 때 바느질실습 수업 경험에 대한 중학생의 인식과 요구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s and Needs about the Experience of Sewing Practice Class in 6th Grade at Elementary School)

  • 김상미;권영숙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61-77
    • /
    • 2016
  • 본 연구는 중학교 1, 2학년 남녀 학생 205명을 대상으로 초등학교 6학년 때 경험한 바느질실습 수업에 대한 인식과 현재의 요구를 알아보고, 중학교 바느질실습 수업 개선을 위한 정보를 수집하거나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의 실습내용이나 교수 학습 방법에 대한 만족도는 중간값(3.00)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다. 수업 평가의 하위 영역 중 참여도가 평균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는 흥미도, 난이도, 필요도, 중요도, 활용도 순이었으며 모두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여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바느질실습 수업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따라서 가정교사는 이를 염두에 두고 수업을 설계하거나 성별에 따른 인식 차이의 원인이나 요구를 파악해야 한다. 둘째, 학생들의 바느질실습 수업 평가에 성별, 실습내용, 교수 학습 방법 등이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가정교사는 성별이나 학년에 상관없이 실습내용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학생들이 실습내용을 자유롭게 선정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다양한 실습내용으로 실습하기 위해서는 학생 중심 활동이나 모둠 중심 활동이 이루어져야 한다. 마지막으로 학생들은 생활용품과 장식품을 만들거나 자신이 만들고 싶은 것을 자유롭게 만들기를 희망하였다. 구상한 것을 자유롭게 만들거나 모둠 활동을 통해 모둠 작품을 만드는 새로운 교수 학습 방법에 대한 학생들의 요구는 중간값보다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조사한 요구나 도출한 시사점을 가정교사가 수업을 설계하는데 반영한다면 바느질실습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될 것이다.

고등학생의 바느질실습 수업에 대한 인식 및 요구 분석 (Analysis on Perceptions and Needs of High School Students Regarding the Sewing Practice Class)

  • 김상미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51-65
    • /
    • 2019
  • 본 연구는 고등학교 1학년 학생 185명을 대상으로 바느질실습 수업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조사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은 바느질실습 수업의 목표를 일상생활에서의 활용으로 가장 많이 인식하고 있었다. 학생들의 바느질실습 수업에 대한 인식은 보통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 중 참여도 점수가 가장 높은 반면 이해도 점수는 가장 낮았으며 활용도는 남녀 점수차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활용도 및 수업방법 만족도를 제외한 수업 인식 하위요인과 전체에서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여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수업 인식이 긍정적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바느질실습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요구를 살펴본 결과 실습내용과 관련하여 학생들은 만들기 영역, 본인들이 선정하기, 개별작품 만들기를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학습별 선호하는 수업 방식을 조사한 결과 기술 및 지식의 습득에서는 교사중심수업 방식을, 아이디어 구상 및 교사 역할에서는 학생중심수업 방식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업운영과 관련하여 학생들은 학기당 4~6차시 수업, 모든 차시 50분씩 편성, 모둠 구성 안함 등을 선호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가정과 교사가 바느질실습 수업을 설계하는 데 활용한다면 수업 개선 및 학생들의 인식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전통한지를 활용한 초등학교 바느질 교육방안에 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the Use of Korean Traditional Paper as Sewing Instructional Materials in Elementary School)

  • 최경은;이전숙;김용숙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9-30
    • /
    • 2004
  • 전통한지는 서양의 종이에 비해, 보존성, 유연성, 강도, 통기성, 자외선 차단성 등 여러 우수한 성능 등을 가져 단순히 '종이' 이상의 기능을 하였다. 즉 우리 조상들은 생활 속에서 서적용지뿐 아니라 주거용(창호지, 장판지), 의류 및 생활용품의 소재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하였다. 그러나 현대에 와서는 대량생산되는 새로운 재료들에 밀려 점차 생활 속에서 자취를 감추는 듯했다. 하지만 많은 우수한 물리$.$화학적 성능, 전통미, 환경 친화적인 요소, 뛰어난 공예 활용성 등으로 오늘날 새로이 조명 받고 있어. 21세기 학교교육현장에서 '환경교육'. '창의성교육'. '전통문화교육' 위한 수업소재로서 교육적 활용가치가 충분하다고 본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 실과 바느질 수업에 전통한지를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지의 특성 및 용도. 한지공예의 종류 등에 대해 선행연구 및 참고자료를 통해 고찰해 보았다. 또한 한지를 바느질 소재화 하기 위한 가공처리를 학교교육에서 바느질소재로 활용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과 함께 제시하였다.

  • PDF

조선시대 철릭의 바느질법 연구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 박물관 소장 출토유물을 중심으로-

  • 금종숙;고부자
    • 복식문화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복식문화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25-26
    • /
    • 2003
  • 본 연구는 고려중기이후부터 조선시대에 왕이하 서인에 이르기까지 착용하였던 철릭에 대한 것이다. 철릭의 형태는 상하가 연결되고 허리에 주름이 잡혀 있으며, 소매는 단추로 떼었다 붙였다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연구는 문헌자료를 중심으로 조선시대 착장자의 신분과 용도를 살피고, 단국대학교 석주선 기념박물관에 소장된 출토유물 중 측정이 가능한 68점을 실측하여 바느질법과 특징을 분석하였다. (중략)

  • PDF

바느질실습 수업이 중학생의 창의-인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iveness of a Sewing Practice Class for Cultivation of Creativity and Personality)

  • 김상미;권영숙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51-168
    • /
    • 2019
  • 본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지향하고 있는 창의-인성교육을 교과 교육 차원에서 반영하여 바느질실습 수업과정안의 효과를 살펴보았다. 단일집단 사전·사후 실험설계하여 개발된 과정안을 적용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업 적용 결과 창의성 전체와 창의성의 하위요인인 확산적 사고력, 문제해결력, 개방성, 인내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둠토의를 통한 아이디어의 구상, 모둠활동을 통한 만들기 활동, 창의적 문제해결의 경험 등이 학생들에게 수업의 주체자임을 인식하도록 하여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산출하고 문제를 능동적으로 해결하는 데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바느질실습 수업은 인성 전체와 인성의 하위요인인 책임, 성실, 배려, 의사소통능력, 협업능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수업과정안은 개인활동을 기반으로 하여 모둠활동이 이루어지도록 설계하여 개인의 책무성과 역할뿐만 아니라 모둠작품의 완성을 강조하면서 학생 간 의사소통이나 협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의 인성 함양에 도움을 준 것으로 판단된다.

중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협업 능력 함양을 위한 바느질실습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ewing Practice Program for Improve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and Collaborative Ability)

  • 김상미;권영숙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195-213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바느질실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중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및 협업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 대상은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이고, 연구 설계는 사전-사후 통제 집단 설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의적 문제해결력의 하위 요소인 확산적 사고력과 설득력에서 실험 집단의 학생이 통제 집단의 학생에 비해 사후검사 점수가 유의하게 높게 향상을 보여, 이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이 부분적이나마 중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함양에 미치는 효과를 입증하였다. 질적 분석 결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은 '다양한 아이디어 생성', '창의적 아이디어의 재탄생', '자기주도적 학습', '능동적인 문제 해결', '즉각적인 피드백'의 학습 경험과 연관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실험 집단의 학생이 통제 집단의 학생에 비해 협업 능력에서 사후검사 점수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나 이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협업 능력 함양에 미치는 효과를 입증하였다. 질적 분석 결과 협업 능력은 '긍정적인 모둠 분위기 형성', '모둠원과의 지속적인 상호작용', '함께 활동하기'의 학습 경험과 연관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이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는 데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학생 중심의 바느질실습 수업을 설계하여 수업의 효과를 양적 분석방법과 질적 분석방법을 혼합하여 심층적으로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조선시대 복식에 나타난 바느질기법에 대한 연구 I - 트임 보강을 중심으로 - (A Study on Sewing Methods of the Joseon Period -Focusing on Reinforcing the Opening of Clothes-)

  • 구남옥
    • 복식
    • /
    • 제58권8호
    • /
    • pp.120-136
    • /
    • 2008
  • This study examined sewing methods used to reinforce the opening of clothes of the Joseon period. Through the analysis of a total of 117 clothing items of the Joseon perio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Most costumes of the Joseon period had the opening. The purpose of the opening was to allow one to put on and take off a costume, act comfortably, and turn a costume Inside out. The opening was located on the Side, Conte. Back, fgwi(Side opening of pants), Wristband, Armhole, and Godae(the bark part of the collar). 2. As the opening tended to get easily worn out, it was often reinforced. The 1911owing three methods were used to reinforce the opening of clothing items of the Joseon period: a method to attach a cloth such as Dang, Binding, and Badae; a method using a variety of knots; and a method by sewing stitches such as a sort of cross stitch called Satteugi, Prick stitch, and Loop. 3. The most frequently used reinforcing method was the one that used a knot(34 items), followed by the one by sewing Satteugi(27 items), and the one using Dang(25items). The most frequently detected location of the opening was Side(59 items), followed by Agui(37 items), Wristband(19 items), and Center Back(13 items). 4. The reinforced opening made a costume more endurable and elastic, decorative and neat.

조선시대 장보관(章甫冠)의 보존처리 (Conservation Treatment of Jangbogwan from the Joseon Dynasty)

  • 이혜린;박승원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30권
    • /
    • pp.1-22
    • /
    • 2023
  • 본 연구는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포제 관모인 세마관의 보존처리 기록과 손상된 문화재의 원형 회복에 따른 기존 명칭 재고를 목적으로 하였다. 포제 관모는 홑으로 된 내관에 양이 있고 내관을 감싸는 홑으로 된 외관, 머리둘레를 두르는 겹으로 된 무가 내관과 외관을 결합하는 구조이다. 소색 마직물로 만든 조선시대 남자용 관모로 표면에 오염과 이물질 제거, 부분적으로 열화되어 손상된 직물의 수리를 통한 원형 회복과 안정화 및 전시 활용을 위해 보존처리를 실시하였다. 포제 관모의 바느질 방법은 손바느질과 재봉틀 바느질이 혼합되어 있다. 전체 구성과 양식은 조선시대 동일 유형의 관모와 유사하지만 재봉틀 바느질이 사용되었으므로 제작 시기는 1900년대 초반으로 보았다. 보존처리가 완료된 포제 관모의 전체적인 구성과 형태에 대해 유생들이 평상복을 입을 때 착용하는 남자 관모의 하나인 장보관과의 유사성을 발견하고 문헌의 기록과 도설, 선행연구, 조선시대 초상화에 보이는 장보관의 형태 비교, 현전 실물들과의 특징 비교를 통해 대상품인 포제 관모가 장보관으로 분류되어 명명되기에 적정하다고 판단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