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미-중 무역분쟁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초

일대일로와 미·중 무역 분쟁: 글로벌 무역 네트워크에의 함의 (The Belt and Road Initiative and the US-China Trade War: Implications for Global Trade Networks)

  • 현기순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43-258
    • /
    • 2021
  • 본 연구는 미·중 무역 전쟁과 일대일로가 촉발할 세계무역의 변화를 부가가치 기준 무역 통계를 이용하고, 사회연결망 기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일대일로 무역 환경은 제조 허브로서의 중국의 위상을 견고히 하고, 유럽 서비스 산업의 위상을 강화한다. 둘째, 1995년부터 2011년까지 GVC 네트워크 내에서 영향력이 큰 산업인 미국의 R&D 산업과 도소매업 및 독일의 자동차 산업은 미·중 무역 분쟁과 일대일로 무역 환경이 반영된 2049년까지도 그 위상이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셋째, 커뮤니티 수의 증가를 통해 일대일로가 GVC 네트워크의 분화를 심화시킨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끝으로 중국의 전자 산업, 독일의 자동차 산업, 미국의 R&D 산업의 커뮤니티 진화 형태에서 주목할 만한 특성이 발견되는데 이는 각국 서비스 산업의 역량과 밀접하게 연관된다.

미·중 무역분쟁이 글로벌 공급망에 미친 영향 (The Impact of the U.S.-China Trade Dispute on the Global Supply Chain)

  • 김동호;곽카스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2호
    • /
    • pp.285-294
    • /
    • 2023
  • 미국과 중국의 무역분쟁은 코로나 전부터 시작하고 범유행(pandemic) 속에 새로운 변화를 가져와 이때 완화되고 있는데 중국 제조업 산업 발전으로 미중 무역 간 상호의존도가 높아졌다. 하지만 글로벌 전체 무역량이 팬더믹 전보다 적다. 코로나19 팬더믹 이후 미국과 중국 공급망의 변화에 대한 분석한 다음에 그 상황에 대한 한국의 대응 방안에 대한 구체적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하지만, 요즘 새로운 변화가 다시 일어나고 있다. 2022년 하반기에 중국 상하이에서 코로나19가 발생하면서 중국 산업사슬에 새로운 변화가 일어날 것으로 보인다. 중국 정부가 코로나19 방역수치를 엄격하게 작성하면서 업계 중 상당수 공장과 기업들이 당분간 문을 닫을 수밖에 없는 상황이지만 2023년에 현재 전 세계적으로 나라들이 코로나 상황이 좋아지고 있다. 그 변화하는 상황 속에서 중국은 핵심 과학기술의 연구개발 역도를 강화하고, 국제와 국내의 이중 사이클을 통해 혁신 생태계의 활력을 북돋아 글로벌 공급사슬의 상류로 이동시켜야 한다. 이럴 때 한국은 미국과 좋은 무역동반자 관계를 최대한 유지하면서 공급망에서 장점을 발휘하여 자신의 위치가 확고해야 한다.

미·중 무역전쟁과 G2 패권경쟁 전망 - '1단계 합의' 평가와 무역분쟁 타결 전망

  • 이정식
    • 중국학논총
    • /
    • 제65호
    • /
    • pp.235-264
    • /
    • 2020
  • 本文稿旨在就世界经济两大支柱体美国和中国在过去2年间持续的贸易纷争的背景和性质, 发展过程以及对两国经济的影响等进行概括总结。与此同时, 本文还将探索贸易摩擦作为G2之间争夺霸权的战争, 是否会波及到日益紧张的南中国海以及台湾海峡的局势。为此, 本文还将就以2008年世界金融危机为起点飞跃发展的中国, 与在冷战后维持单极体制的美国相对抗进而逐渐确立新两国体制的过程, 以及G2格局出现以后, 美, 中新冷战格局形成的过程等进行研究。

미·중 무역분쟁이 중국의 5G 산업에 미치는 영향 화웨이 사례 중심으로 (The Impact of the US-China disputes on China's 5G Industry focus on Huawei case)

  • 황기식;장새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4권3호
    • /
    • pp.420-427
    • /
    • 2020
  • 미·중 무역 분쟁이 시작된 이래로 전 세계의 관심은 물론이고 각 국의 무역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하지만 미·중 무역전쟁은 전통산업의 경쟁에만 국한되지 않았으며 5G 산업의 경쟁도 갈수록 치열해지고 있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중심으로 미국이 중국의 화웨이 회사에게 제재를 가하게 된 심층적인 원인을 분석하였다. 또한 이에 대한 문제점을 파악하고 해결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미·중 무역 전쟁이 끊임없이 확대되고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중국 산업은 미국의 산업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미국의 제재는 더 강화될 수 있다. 미국의 제재에도 불구하고 중국 5G의 빠른 속도와 효율적인 비용은 중국의 경쟁력을 더욱 높여 주고 있다. 하지만 앞으로 미국의 경제제재 하에서 중국의 5G 산업은 어떻게 생존하고 더욱 발전 할 것인가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미-중 무역분쟁의 경제적 효과와 세계경제 함의 (CGE Analysis of the US-China Trade War and Policy Implications to the World Trade)

  • 송백훈;이창수
    • 무역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47-66
    • /
    • 2018
  • 본 연구는 본 연구는 최근 발생하고 있는 미국과 중국 간의 무역 분쟁이 가져다주는 경제적 효과를 분석한다. (i) 미국이 중국에 관세를 일방적으로 부과하는 경우, (ii) 미국과 중국이 쌍방으로 관세를 부과하는 경우, (iii) 미국이 보호무역주의를 확대하여 한국, 일본, EU의 특정 산업(자동차 및 철강)에 보호무역 관세를 추가 부과하는 경우를 CGE모형을 이용하여 각 국의 거시경제변수 및 산업별 수출입 변화를 추정한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미국과 중국의 무역 전쟁이 발생할 경우 양국의 GDP 및 후생은 모두 감소한다. 그 중에서도 미국보다 중국의 감소폭이 더 크게 나타나, 무역전쟁은 미국보다 중국에게 더 불리한 것으로 평가된다. 무역전쟁의 기간이 길어질수록, 중국의 GDP 및 후생의 감소폭은 더 확대되는 것으로 나타난다. 산업별 분석의 결과에 따르면, 전자산업, 수송기기산업 및 금속산업의 세계 교역량이 크게 감소한다. 무역 분쟁 당사국의 교역량이 크게 감소하는 반면 제3국의 교역량은 크게 변동하지 않아, 결국 무역 분쟁은 부정적 효과는 두 국가에게 돌아가는 것으로 평가된다. 무역 분쟁 밖에 있는 국가들의 GDP와 후생은 오히려 소폭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마지막으로, 미국이 보호무역주의를 한국, 일본, EU로 확대한 경우, 양국의 GDP 및 후생의 감소폭이 더 크게 나타나, 미국이 보호무역 정책을 확대하는 것은 자국 경제에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를 초래한다. 따라서 한국은 보호주의 정책의 부당성과 한국 산업의 피해를 강조하는 것에 우선하여 미국의 중국규제의 정당성 측면에 동조하면서 미국 보호주의 정책에서 벗어나는 전략수립이 필요하다.

수출다변화를 통한 G2 리스크 극복 방안에 관한 연구: 중소기업 수출지원 정책을 중심으로 (A Study on G2 Risk and Export Diversification: Focusing on Export Support System for SMEs)

  • 최돈승;고경일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10호
    • /
    • pp.48-55
    • /
    • 2019
  • 본 연구는 미-중 무역분쟁을 보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G2 리스크'로 정의하고 급변하는 세계무역환경 속에서 중소기업 수출지원제도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개선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중소기업 수출지원제도는 이를 총괄하는 컨트롤 타워가 부재하고, 사업별로 제도가 운용되면서 정책 간 중복으로 인해 행정적 낭비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서 첫째, 중소기업 수출지원제도를 총괄하는 컨트롤 타워를 명확하게 설정해야 할 것이다. 둘째, 컨트롤 타워를 명확하게 설정한 이후 중장기 로드맵을 구축하여 중소기업 수출지원제도의 효율적인 운영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셋째, 개별 수출지원조직의 역할과 책임을 명확하게 한 후 조직 간 협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중소기업 수출지원제도가 잘 수립되고 운영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올바른 성과평가기준과 환류시스템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포스트 코로나와 반도체 산업 : 코로나19로 촉발된 반도체 밸류체인 분리 위험과 한국 반도체 산업의 대응전략 (Post-corona and semiconductor industry: The risk of separation of the semiconductor value chain triggered by Corona 19 and the response strategy of the Korean semiconductor industry)

  • 김기섭;한승헌
    • 기술혁신연구
    • /
    • 제28권4호
    • /
    • pp.127-150
    • /
    • 2020
  • 세계보건기구(WHO)는 홍콩독감과 신종플루 이후 역사상 세 번째 팬데믹을 선언했다. 코로나19의 발생으로 국가 간 교류는 극도로 위축되는 한편 빠른 전염성으로 국가별 경기변동의 시간차를 만들어 냈다. 2020년 1월 미·중 무역 분쟁은 합의국면으로 접어들었으나 코로나19로 발생한 경제 디커플링 현상은 중국이 미국과의 무역균형을 맞추기 어렵게 만들었고 미·중 무역 분쟁 합의 조건을 지키기 어렵게 만들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코로나19 확산의 책임을 중국에 돌렸고 경기 침체의 원인도 중국의 영업비밀 침해, 불법복제품 등으로 지목하면서 보호주의가 대두되었다. 이에 중국은 거세게 반발하면서 미국과 갈등이 깊어졌다. 미국은 중국 반도체 굴기의 핵심기업인 화웨이와 SMIC에 무역재제를 선언했고 미·중 간 반도체 밸류체인 단절 위험을 예고하고 있다. 반도체 산업의 밸류체인 분리는 특정 국가와 기업이 가치사슬에 고도로 전문화되어 독점하는 구조인 반도체 산업에 큰 충격을 줄 가능성이 있다. 본 논문은 코로나19로 인해 재점화된 미·중 간 반도체 밸류체인 단절 위험과 반도체 글로벌 산업 가치사슬의 충격과 변화, 한국 반도체 기업의 대응전략을 다루고자 한다.

미·중 무역분쟁이 한국 수출기업 주식가격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US-China Trade War on Stock Price of Korean Exporting Firms)

  • 원유경;이재득
    • 무역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173-201
    • /
    • 2020
  • As the US's trade deficit with China and China's manufacturing industry has risen rapidly, the US has begun to regulate trade items as part of China's checks. Four rounds of reprisal measures have greatly altered the trade structures of both countries. In particular, Korea, which is highly dependent on the US and China, has been directly affected by US-China trade disput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US-China trade disputes on the stock price of Korean export firms by performing an event study. This study analyzed stock price fluctuations for 7 days before and after entry into forced [Please check] retaliatory tariffs on Korean exporters' export items subject to retaliatory tariff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among companies that produce goods with major tariffs imposed on China by the US, such as electronic appliances, semiconductors, machinery, and automobiles, those producing electronics and semiconductor products were positively affected by the tariff incident. Secondly, among the companies producing steel, chemicals, and machinery, which the main tariffs imposed by the United States, companies producing steel and chemicals were negatively affected by the incident due to the stagnation of trade between China and the U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future trade policy directions for Korea and help to establish an export strategy for major industries.

미-중 무역 분쟁과 2018년 미국 주지사 선거: 주지사 선거는 국제경제 변화에 영향을 받는가? (U.S.-China Trade Dispute and 2018 US Midterm Elections: Does International Economic Environment Affect the Gubernatorial Election?)

  • 장혜영
    • 미국학
    • /
    • 제42권1호
    • /
    • pp.23-55
    • /
    • 2019
  • Do international economic factors affect the result of gubernatorial elections? This research aims to explain the reasons that local elections are not influenced by international economic factors such as US-China trade dispute. Although previous studies show the mixed result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factors and gubernatorial electoral outcome, this research argues at least three explanations can be identified. First, there is a perceived gap between the candidates and local voters on the effect of trade disputes. Local voters do not consider the trade dispute as immediate threats, and candidates only use the trade dispute for attacking rivals. Where the functional responsibilities are unclear among elected officials between federal and local government, voters tend to cast votes based on their party identification. In the case of trade policy, functional responsibility is murky between the president and governor; voters may not judge the governor incumbent or candidates on state economic condition.

새로운 우리나라 불확실성 지수의 작성 (New economic policy uncertainty indexes for South Korea)

  • 이긍희;조주희;조진경
    • 응용통계연구
    • /
    • 제33권5호
    • /
    • pp.639-653
    • /
    • 2020
  • COVID-19 대유행, 미·중 무역분쟁, 글로벌 금융위기 등 대내외 환경변화에 따른 경제불확실성이 증가하고 있다. 경제불확실성은 경제 전반의 성장을 지연·제약하고 있어 정책 수행과 경제분석에서 경제불확실성을 측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Baker 등 (2016) 등은 주요 언론사의 기사의 키워드를 분석하여 우리나라를 포함한 주요국의 경제불확실성(economic policy uncertainty) 지수를 산출하여 공개하고 있다. 그런데 Baker 등의 우리나라 경제불확실성 지수는 키워드 선정, 기사 수집 방법, 대상 언론사의 선정 등에 있어 우리나라 상황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우리나라 상황에 맞게 우리나라 경제불확실성 지수를 수정·보완하여 작성하고, 그 유용성을 거시경제 통계와의 관련성, 예측력과 경제분석 측면에서 비교·검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