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미세인장 결합 강도

검색결과 85건 처리시간 0.027초

상아질에 적용된 재 습윤제가 미세인장 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EWETTING AGENT ON DENTINAL MICROTENSILE BOND STRENGTH)

  • 강희영;조영곤;김종욱;박병철;유상훈;진철희;최희영;기영재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9권2호
    • /
    • pp.153-161
    • /
    • 2004
  • This study investigated that the effect of rewetting agent on dentinal microtensile bond strength(${\mu}TBS$). Human molars were sectioned to expose the superficial dentin surfaces. Sample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ype of adhesives-Single Bond (S) and One-Step (0)], and again subdivided into five groups by different dentin surface treatment-dry for 15s (D), blot dry (BD) or dry for 15s, and rewet with different rewetting agents [distilled water (DW), Gluma Desensitizer (GD) and Aqua-Prep (AP)] for 30s. After application of adhesive, composite resin was built up on the bonding surface. Each tooth was sectioned to obtain stick with $1\textrm{mm}^2$ cross sectional area and the ${\mu}TBS$ was determined by EZ test. In the S group, the mean ${\mu}TBS$ of GD, AP, and BD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DW and D group (p < 0.05), In the O group, the mean, ${\mu}TBS$ of AP, GD, BD and DW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D group (p < 0.05). The data suggested that Gluma Desensitizer and Aqua-Prep could be successfully used as rewetting agents, and Distilled water could be acceptable in aceton based adhesive system only.

복합레진의 지연충전이 미세인장 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DELAYED COMPOSITE RESIN FILLING ON MICROTENSILE BOND STRENGTH)

  • 박현식;조영곤;박병철;김종욱;최희영;김종진;진철희;유상훈;기영재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9권3호
    • /
    • pp.233-238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immediate or delayed composite resin filling on dentinal microtensile bond strength (${\mu}TBS$) after applied the adhesive. The coronal dentin of human third molars was exposed. Single-Bond or One-Step was applied on the dentin surfaces. and composite resin were constructed immediately (group 1) or 5min., 10min., 15min., 20min. and 30min. (groups 2-6) after an adhesive was applied. The specimens were sectioned and made bar-shaped. Each surface area of them was about $1\textrm{mm}^2$. The ${\mu}TBS$ test was performed by EZ test. The results were analysed by One-way ANOVA and Tukey's test at 95% significance level.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mu}TBS$ of Single-Bond to dentin was decreased when the composite resin was constructed 20min. and 30min. after Single-Bond was applied. But the ${\mu}TBS$ of One-Step was not affected by delayed composite resin filling.

수산기말단 폴리부타디엔/폴리 (프로필렌 글리콜) 혼합물을 이용한 수분산 폴리우레탄의 제조와 물성 (Preparation and Properties of Waterborne Polyurethanes Based on Mixtures of Hydroxy-Terminated Polybutadiene and Poly(propylene glycol))

  • 이선숙;이시호;이대수
    • 폴리머
    • /
    • 제30권2호
    • /
    • pp.152-157
    • /
    • 2006
  • 수산기말단 폴리부타디엔(hydroxy-terminated polybutadiene: HTPB) 폴리올을 이용한 수분산 폴리우레탄(water-home polyurethane: WPU)의 제조에서 HTPB와 poly(propylene glycol)(PPG)을 혼합 사용한 음이온계 WPU와 쯔비터이온계 WPU를 제조하고 이들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WPU 제조 시 HTPB 함량이 증가하면 입자 크기는 커지는 경향을 보이고, 폴리우레탄의 연질부와 경질부의 상분리는 증가하였다. 음이온계 WPU에 비하여 쯔비터이온계 WPU는 건조 필름의 분자간 수소 결합이 강해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음이온계 및 쯔비터이온계 WPU는 공통적으로 건조 필름이 HTPB 함량이 폴리올 중 25 wt%일때 실험 범위에서는 신율과 인장 강도가 최대값을 보였으며, 이러한 특성은 폴리우레탄의 연질부와 경질부 사이의 미세 상분리를 반영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고로슬래그미분말을 혼입한 경화제 무첨가 에폭시수지 모르타르의 물리적 성질 및 자기치유 검토 (Investigation of Physical Properties and Self Healing of Hardener-Free Epoxy-Modified Mortars with GGBFS)

  • 조영국;김완기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4권1호
    • /
    • pp.80-87
    • /
    • 2020
  • 본 연구는 고성능 폴리머 시멘트계 프리캐스트 제품의 개발 및 미세균열 발생 시 자기치유기능을 확보할 목적으로 경화제 무첨가 EMM의 물리적 성질을 검토하고, 그 물성에 영향을 끼치는 시멘트 매트릭스 내의 에폭시수지 경화도와 현미경을 통한 조직구조의 관찰과 함께 자기치유효과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경화제 무첨가 EMM의 폴리머 혼입에 의한 강도 개선 효과는 인장강도, 휨강도, 압축강도의 순으로 나타났다. 접착성은 콘크리트 피착체의 모세관 공극에 폴리머 필름의 형성에 기인한 투묘효과에 기인하여 크게 향상되었다. 투수저항성은 폴리머 결합재비 20% 및 고로슬래그 미분말 치환율 30%를 병용한 EMM에서 보통시멘트 모르타르 대비 97%의 감소율을 나타내 매우 우수하였다. 고로슬래그미분말, 팽창재 및 황산나트륨을 병용한 EMM의 균열 폭은 고로슬래그 치환율이 증가함에 따라 미미하게 감소하였으나, 고로슬래그미분말 치환율 20%에서 수중침지기간의 증가와 함께 서서히 균열부 자기폐색 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다.

산부식형 상아질 접착제의 접착 내구성에 관한 연구 (THE BONDING DURABILITY OF TOTAL ETCHING ADHESIVES ON DENTIN)

  • 정미라;최기운;박상혁;박상진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2권4호
    • /
    • pp.365-376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3종의 전체산부식 상아질 접착 시스템에서 적절한 산부식 시간과 접착제의 침투 능력에 대해 규명하고자 하였다. 우식이 없는 54개의 제3대구치의 상아질 표면을 5, 15, 25초 동안 산부식하고 산부식형 접착제 3종 (Scotchbond multipurpose, Single Bond, One Step) 을 도포한 후 복합레진을 충전하였다. 각 시편은 0회 (대조군) 또는 2000회 열순환 ($5^{\circ}C\;-\;55^{\circ}C$) (실험군) 후 미세인장강도를 측정하고 파단면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결합강도가 감소하였으며, 특히 25초 산부식한 SM 및 SB군에서는 통계학적 유의차를 나타내었다. 2. 열순환 처리한 SM군과 SB군의 경우, 25초 간 산부식한 군이 5초 간 산부식한 군과 15초 간 산부식한 군에 비해 유의성 있게 낮은 결합강도를 나타냈다 (p < 0.05). 3. OS군의 경우, 산부식 시간 및 열순환 여부에 따른 유의성 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p > 0.05). 상아질 접착의 내구성은 접착제의 용매와 산부식 시간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특히, ethanol-based adhesive를 사용할 때 과도한 산부식은 유의해야 한다.

Electro-Micromechanical 시험법과 Acoustic Emission을 이용한 단섬유/시멘트 복합재료의 미세파괴 메커니즘과 비파괴적 평가 (Nondestructive Evaluation and Microfailure Mechanisms of Single Fibers/Brittle Cement Matrix Composites using Electro-Micromechanical Technique and Acoustic Emission)

  • 박종만;이상일;김진원;윤동진
    • Composites Research
    • /
    • 제14권3호
    • /
    • pp.18-31
    • /
    • 2001
  • 인장 및 압축 하중하에서 electro-pullout 시험법과 음향방출법을 이용하여, 표면 처리된 steel fiber. 탄소 그리고 유리 섬유/시멘트복합재료의 계면 물성과 미세파괴구조를 평가하였다. 기계적 interlocking을 증가시킨 steel fiber 복합재료의 계면전단강도가 미처리 또는 neoalkoxy zirconate (Zr) 처리된 steel fiber 복합재료보다 더 향상되었음을 보여주었다. 이것은 존재 가능한 수소결합 또는 공유결합에 비해 기계적 interlocking이 계면 물성에 더 많은 영향을 주기 때문으로 고찰된다. 시멘트복합재료를 경화하는 동안에, 접촉 저항도는 초기에는 급격히 감소하였으나, 이후 증가치가 둔화되는 현상을 보였다. Zr-처리 및 기계적 interlocking을 향상시킨 steel fiber 복합재료의 접촉저항은 미처리의 경우에 비해 더 나중 단계에서 무한대로 증가하였다. 기계적 interlocking이 향상된 steel fiber 복합재료의 계면 파괴에 의한 음향방출 신호의 수가 미처리 또는 Zr 처리된 복합재료에 비해 휠씬 많이 나타났다. 기계적 맞물림이 향상된 복합재료의 pullout과 마찰신호에 대한 응향방출 파형이 미처리에 비해 크게 나타났다. Dual matrix composite (DMC)에서, 압축하중 하에서의 음향방출 에너지와 파형이 인장하중 하에서의 에너지와 파형에 비해 더 크게 나타났는데, 이것은 시멘트 복합재료가 압축응력을 잘 견디는 세라믹 성질에 기인한 것으로 고찰된다. 유리섬유 복합재료의 인장 시험에서는 수직균열이 나타났고, 반면에 압축 시험에서는 buckling 균렬현상이 관찰되었다. Electro-micromechanical 시험법과 음향방출법은 전도성 섬유가 보강된 불투명한 취성기지 복합재료의 계면 물성과 미세 파괴구조를 평가하기 위한 효율적인 비파괴시험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5}$ 이상의 수준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외 다른 나라들의 경우는 $10^{4}$이상의 수준으로 유사한 수준을 나타내었다. 대장균군의 경우 미국산과 한국산, 중국산이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다.다.농도와 세포의 건조질량이 각각 $0.98$\times$10^{6}$ / cell /mL 와 0.2 g/L astaxanthin의 농도는 1.92 mg/L 단위 세포당 astaxanthin 농도는 9.6 mg/g cell 로 관찰되었다결론적으로 질소원과 peptone이 고갈되면 세포의 생장은 억제되나 astaxanthin의 생산은 촉진됨을 알수 있었으며 세포 생장을 촉진하는 광도 60$\mu$E/($\m^2$s)와 HKM 배지 이용의 1단계와 높은 광도와 MBBM배지를 이용한 색소 생산의 2단계 배양을 최적조건으로 수립하였다.내어 생채내의 free radical에 의한 간보호 작용이 있는 생리활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음이 추정되며, 아울러 이 분획물을 더욱 분리하여 물질의 구조와 반응 기전 제시와 함께 간 손상의 예방 및 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물질을 개발할 가치가 있다고 사료된다을 공급한 대조구에 비해 높았다. 어미의 성 성숙 및 산란은 두 번의 실험에서 대조구보다 저염분구에서 원만히 이루어졌다. 암컷 성숙 개체의 경우 1차 실험은 대조구 6마리, 저염분구 12마리였으며, 2차 실험은 대조구 5마리, 저염분구 12마리였으며, 2차 실험은 대조구 5마리, 저염분구 14마리로서 성숙유도에 있어 염분의 조절에 의한 성숙이 이루어진 것을 알 수 있다. 산란 시기는 1차 실험에서 대조구나 저염분구의 산란 개시 시점이 거의 동일한 데 비해, 2차 실험에서는 저염분구가 대조구에 비해 대략 20일 정도 빠르게 나타났다. 또한 산란에 가입한 암컷 어미의 개체수도 두 차례의

  • PDF

상아질 접착제의 용매 증발이 접착 효율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olvent evaporation of dentin adhesive on bonding efficacy)

  • 조민우;김지연;김덕수;최경규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5권5호
    • /
    • pp.321-334
    • /
    • 2010
  • 연구목적: 본 연구는 상아질 접착제의 잔류 용매가 접착 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본 연구에서는 5세대 2단계 산부식형 접착제와 7세대 단일과정 자가부식형 접착제를 사용하였다. 상아질 접착제의 증발률과 전환률, 적용 후 용매의 공기건조 방법에 따른 미세인장결합강도를 측정하였으며 접착 계면을 FE-SEM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결과: 1. 시간에 따라 접착제의 증발률은 증가하나 접착제의 종류에 따라 증가 양상이 서로 달랐다. 2. 대부분 전환률은 증발률에 비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3. 공기건조 방법에 따라 결합강도는 대부분 under군, control군, over군 순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4. FE-SEM에서 아세톤을 용매로 사용하는 접착제는 공기건조 방법에 따라 droplet이나 gap이 관찰되었다. 결론: 상아질 접착제의 잔류 용매는 접착 효율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상아질 접착제의 선택과 사용 시 용매의 종류와 특징에 대한 적절한 이해가 필요할 것이다.

Poly(vinylidene fluoride-hexafluoropropylene)를 이용한 이차전지용 미세다공성 분리막의 제조와 물성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VdF-HFP Microporous Membranes for Li-ion Rechargeable Battery)

  • 남상용;유대현;정미애;임지원;변홍식;유현오;김종만;서명수
    • 멤브레인
    • /
    • 제17권4호
    • /
    • pp.359-368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불소계 고분자인 PVdF (poly(vinylidene fluoride))에 HFP (hexafluoropropylene)가 결합된 공중합체인 PVdF-HFP로 충전용 이차전지의 분리막으로 쓰이는 다공성 막을 상전이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용매인 DMF (N,N-dimethylformamide)에 PVdF-HFP를 단일상으로 녹인 후 깨끗한 유리판에 캐스팅하여 막을 얻었다. 기공은 증류수로 채워진 응고조에서 용매-빈용매 교환으로 형성되어진다. 얻어진 분리막에서 가장 높은 공극률은 60%로 얻어졌다. 시차주사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을 이용하여 분리막의 단면 관찰을 통해 다공성을 확인하였고 UTM (universal testing machine)을 이용하여 측정된 분리막의 인장강도는 PVdF-HFP 30 wt%에서 최대 6.57 MPa의 값을 나타내었다.

상아질 접착제의 성상이 미세인장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DHESIVE PROPERTY ON MICROTENSILE BOND STRENGTH TO HUMAN DENTIN)

  • 김현진;허복;김현철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9권3호
    • /
    • pp.281-287
    • /
    • 2004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effect of adhesive property on microtensile bond strength and to determine the failure mode. Flat occlusal dentin surfaces were prepared using low-speed diamond saw. The dentin was etched with 37% phosphoric acid. The following adhesives were applied to the etched dentin to manufacturer's directions: Scotchbond Multi-Purpose in group SM, Prime&Bond NT in group NT, Scotchbond Multi-Purpose followed by Tetric-flow in group TR. After adhesive application, a cylinder of resin-based composite was built up on the occlusal surface. Each tooth was sectioned vertically to obtain the $1{\;}{\times}{\;}1\textrm{mm}^2$ "sticks". Microtensile bond strength were determined. Each specimen was observed under stereomicroscope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to examine the failure mode. Data were analyzed using one way ANOV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1. The microtensile bond strength value were:group SM ($18.98{\pm}3.01MPa$). group NT ($16.01{\pm}4.82MPa$) and group TR ($17.56{\pm}3.22MPa$). N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s were observed among the groups (P>0.05). 2. Most of specimens showed mixed failure. In group TR, there was a higher number of specimens showing areas of cohesive failure in resin.

혼성층의 두께가 three-step과 self-etching 상아질 접착제의 미세인장결합강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HYBRID LAYER THICKNESS ON MICROTENSILE BOND STRENGTH OF THREE-STEP AND SELF-ETCHING DENTIN ADHESIVE SYSTEMS)

  • 이혜정;박정길;허복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8권6호
    • /
    • pp.491-497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orrelation between hybrid layer thickness and bond strength using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e and microtensile bond strength test of two adhesive systems. The dentin surface of human molars. sectioned to remove the enamel from the occlusal surface. Either Scotchbond Multi-Purpose(3M Dental Product, St. Paul, MN, U.S.A) or Clearfil SE Bond (Kuraray, Osaka, Japan) was bonded to the surface. and covered with resin-composite. The resin-bonded teeth were serially sliced perpendicular to the adhesive interface to measure the hybrid layer thickness by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e. The specimen were trimmed to give a bonded cross-sectional surface area of $1\textrm{mm}^2$, then the micro-tensile bone test was performed at a cross head speed of 1.0 mm/min. All fractured surfaces were also observed by stereomicroscop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nd strengths the materials(p>0.05). However. the hybrid layers of three-step dentin adhesive system, SM, had significantly thicker than self-etching adhesive system. CS(p<0.05).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showed no correlation between hybrid layer thickness and bond strengths(p>0.05). Bond strengths of dentin adhesive systems were not dependent on the thickness of hybrid lay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