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미생물효소활성도

검색결과 1,155건 처리시간 0.031초

막걸리로부터 분리된 Bacillus amyloliquefaciens 균주의 항균 활성 (Antipathogenic Activity of Bacillus amyloliquefaciens Isolated from Korean Traditional Rice Wine)

  • 심현수;김명동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98-105
    • /
    • 2016
  • 강원도를 비롯한 전국에서 발효식품 44점으로부터 유해균에 대한 생육억제 활성이 우수한 고초균주를 분리 및 동정하였으며, 생육억제 활성이 가장 우수하였던 Bacillus amyloliquefaciens MBE1283로 명명된 균주의 유해균에 대한 생육억제 활성, 전분분해 효소활성 및 생육특성을 조사하였다. Escherichia coli O157:H7 KCCM40406을 비롯한 8종류의 유해균에 대한 생육억제 활성을 평가한 결과, 막걸리에서 분리된 B. amyloliquefaciens MBE1283 균주는 다른 B. amyloliquefaciens 균주들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유해균 생육억제 활성을 나타내었다. B. amyloliquefaciens MBE1283 균주의 ${\alpha}$-amylase 효소활성은 대조구 균주들과 비교하였을 때 현저히 낮았으나 glucoamylase 효소활성은 대조구로 사용한 균주와 유사한 수준이었다. B. amyloliquefaciens MBE1283 균주의 최적 생육온도는 $45^{\circ}C$로서 대조구 균주보다 온도에 대한 내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균체 성장에 적합한 최적 배지는 pH 6이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막걸리로부터 분리된 B. amyloliquefaciens MBE1283 균주는 여러 종류의 유해균에 항균활성을 지니며 높은 온도와 낮은 pH에 대하여 내성을 지닌 것을 알 수 있었다.

전통 장류에서 세포외효소 분비능이 우수한 미생물의 분리 및 생리활성 특성 (Isolation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Microorganisms Producing Extracellular Enzymes from Korean Traditional Soybean Sauce and Soybean Paste)

  • 백성열;윤혜주;최혜선;구본성;여수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379-384
    • /
    • 2010
  • 수집한 전통 장류에서 세포외효소(amylase, protease, cellulase, lipase and fibrinolytic enzyme) 분비능이 우수한 미생물을 분리한 후, 16S rRNA 유전자분석과 생리활성 특성을 조사하였다. amylase와 cellulase 분비능은 모든 선발균주에서 표준균주인 Bacillus subtilis KACC 10114보다 높게 나타났다. Protease 분비능은 D2-14균주를 제외한 모든 선발균주에서 활성이 있었으며, lipase 분비능은 D8-8과 K4-1을 제외한 균주에서 활성이 나타났다. 혈전용해 활성은 D8-2를 제외한 모든 선발균주에서 활성이 나타났으며, D8-8과 K4-1이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선발균주인 K3-2, K4-1, K11-1-4, K11-1-6, K11-7, K12-3 와K14-9은 그람 양성세균과 그람 음성세균 그리고 효모에서도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간장 및 된장에서 분리한 균주들을 동정하기 위해 분자수준에서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거의 Bacillius sp.로 나타났다. 발효과정에서 세포외효소 분비능과 생리활성이 우수한 미생물을 분리, 확보함으로써 전통 장류의 고급화 및 품질향상과 제조공정의 표준화가 가능할 것으로 여겨진다

Pseudomonas aeruginosa에 의해 생성되는 Cephalosporinase의 특성 (Properties of Cephalosporinase Produced by Pseudomonas aeruginosa)

  • 이동준;이호용;최영길
    • 미생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02-307
    • /
    • 1986
  • 내성 P.aeruginosa에 의해 생성되는 항생물질 파괴효소인 cephalosporinase는 cephaloridine을 기질로 하여 효소활성도는 $45^{\circ}C$와 pH 8.5에서 각기 최고의 활성도를 나타내었다. SDS. carbenicillin 빛 cephalosporin계 항생체에 의해 효소의 활성도는 현저하게 억제되었으며 효소의 cephaloridine에 대한 $V_{max}$ 값을 100으로 하였올때 cefo p perazone의 $V_{max}$ 값은 2.8로 나타났다. 측정된 효소의 분자량은 $37.500{\pm}3,000$이었다. 다른 Gram음성셰균이 분비하는 cephalosporinase와 비교해본 결과 균체 자체의 특성에 의해 cepha]osporinase는 서로 다름을 알 수 있였 으며 이로 인하여 각각의 균체가 cephalosporin계 항생제에 대한 내성의 차이를 나타내는 하나의 중요한 원인으로 판단되었다.

  • PDF

Corynebacterium glutamicum의 Glutamate Dehydrogenase의 효소학적 성질과 Kinetics (Properties and Kinetics of Glutamate Dehydrogenase of Corynebacterium glutamicum)

  • Park, Mee-Sun;Park, Soon-Young;Kim, Sung-Jin;Min, Kyung-Hee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552-555
    • /
    • 1989
  • Corynebacterium glutamicum의 NADPH-specific glutamate dehydrogenase를 이용하여 NADPH, NH$_4$Cl, $\alpha$-ketoglutarate의 기질에 대한 kinetics를 고찰하였다. 이들의 kinetic constants를 측정함으로서 정반응에로의 효소반응 기작은 첫번째 효소와 반응하는 기질이 NADPH 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Glutamate dehydrogenase 활성의 조절을 위한 metabolites의 효과를 고찰하여 본 결과 malate와 citrate 만이 효소에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potassium chloride는 효소활성에 가장 많은 영향을 주었다.

  • PDF

다시마를 첨가한 고추장의 숙성 중 효소활성 변화 (Changes of Enzyme Activities in Kochujang Added Sea Tangle Powder During Fermentation)

  • 배태진;김경은;최옥수;김해섭;강동수;김귀식
    • 생명과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393-399
    • /
    • 2001
  • 우리나라의 전통 발효식품의 고추장의 관능성 및 기능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전분질 원료인 찹쌀무게에 대하여 2%, 4%, 6% 및 8%의 다시마 분말을 첨가한 후 대조구와 함께 3$0^{\circ}C$에서 120일간 숙성시키면서 세균수와 효소활성을 검토하였다. 고추장의 세균수는 숙성 초기 $10^4$ cfu/g 수준에서 출발하여 숙성 30일에는 $10^{6}$ cfu/g의 수준을 나타내었고, 60일 이후에는 $10^{8}$ cfu/g의 수준을 유지하여 후반동안 $10^{8}$ cfu/g을 유지하였는데 다시마의 첨가 구별 차이는 없었고 미생물의 생육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 효소활성의 경우 액화효소인 $\alpha$-amylase의 활성은 서서히 감소하여 숙성 후에는 효소의 활성이 거의 실활되었고 당화효소인 $\beta$-amyase의 활성은 숙성 30일까지 큰 폭으로 증가했다가 숙성 60일에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전반적으로 대조고추장에 비하여 다시마 고추장의 $\beta$-amylase의 활성이 약간 높게 나타났다. 단백질 분해효소인 acid protease 및 neutral protease의 활성은 숙성 30일까지는 증가하였으나 그 이후에는 불규칙적인 증감현상을 보이며 120일까지 감소하였다.

  • PDF

양식장 배출수 퇴적층에서 분리된 리파아제 생산 박테리아의 동정 및 배양학적 특성 (Identification and Cultural Characterization of Lipase Production Bacteria Isolated from Pond Effluent Sedimentary Layer)

  • 김만철;장태원;;장익수;여인규;정준범;허문수
    • 미생물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58-62
    • /
    • 2009
  • 제주 연안 양식장 배출수 퇴적층으로부터 미생물 배양 배지를 사용하여 총 200여 균주를 분리하였으며, 분리된 균주를 이용하여 olive oil이 함유된 평판배지에서 투명환을 형성하는 균주를 분리하였고, 이를 LI-68, LI-80로 각각 명명하였다. 분리 균주 LI-68, LI-80의 BIOLOG를 이용한 생화학적 분석 특성 및 16S rDNA의 염기서열 분석 결과 Janibacter anophelis와 99%의 유전적 상동성을 보여 최종적으로 Janibacter sp. LI-68, Janibacter sp. LI-80으로 동정되었다. 분리 균주 Janibacter sp. LI-68과 Janibacter sp. LI-80의 증식을 위한 최적 배양온도를 확인하고 증식온도에 따른 지방분해효소 활성의 변화를 조사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배양 온도를 $20^{\circ}C$에서 $40^{\circ}C$까지 $10^{\circ}C$ 간격으로 배양하여 균체의 증식과 분비되는 지질분해 효소의 활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분리균주 Janibacter sp. LI-68는 $30^{\circ}C$ 배양실험구에서 가장 높은 균 생육도를 나타냈으며, 효소활성은 균 생육도와는 다른 $40^{\circ}C$에서 가장 높은 효소활성을 보였다. 반면 Janibacter sp. LI-80 균주는 $30^{\circ}C$에서 가장 높은 균 생육도를 보였으며, 효소활성은 균 생육도와 반비례하여 $40^{\circ}C$에서 가장 높은 효소활성을 보였다.

약용단자 균류 영지가 생산하는 Amylase의 효소학적 성질 (Properties of Amylase produced from Higher Fungi Ganoderma lucidum)

  • Do, Jae-Ho;Kim, Sang-Dal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73-178
    • /
    • 1985
  • Ganoderma lucidum (영지)의 액체 배양물로부터 전분을 강력하게 분해하는 amylase를 조정제하여 이 효소의 기본적인 성질을 조사하였다. 이 효소의 최적작용 pH와 온도는 각각 5.5, 5$0^{\circ}C$였고 pH 및 열처리에 상당히 불안정한 효소였으며 activation energy는 7.06Kcal/mole이였다. M $n^{++}$, $Ca^{++}$ 및 C $u^{++}$에 의해서 효소활성이 증가되었으나 H $g^{++}$ A $g^{+}$에 의해서 효소활성이 저해되었으며 여러 가지 chemical reagents에 의해서는 영향을 받지 않았다. Soluble starch, amylose, amylopectin 및 glycogen에 대한 Km 치는 0.16, 0.37, 0.19 및 0.16mg/$m\ell$ 였으며 각종기질에 대한 분해능력을 조사한 결과 열처리를 받은 전분류는 분해할 수 있었으나 생전분은 그 분해속도가 느렸다. Maltose에 의해서 효소활성이 저해되었으며 maltose의 저해양상은 competitive inhibition을 나타내었다.

  • PDF

단백질 분해효소를 분비하는 Micrococcus sp. HJ19의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cterization of Micrococcus sp. HJ-19 Secreting Extracellular Protease)

  • 차인태;오용식;노동현
    • 미생물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222-226
    • /
    • 2007
  • 단백질 분해효소는 아미노산간에 존재하는 peptide결합을 절단하는 효소로 산업적으로 많이 사용된다. 이러한 단백질 분해효소의 새로운 공급원을 찾기 위하여 체외 단백질 분해효소를 생산하는 세균을 둥해 심층수로부터 집식배양으로 분리하였다. 이들 중 빠른 성장과 skim milk를 첨가한 배지에서 가장 큰 투명환을 보여준 균주를 HJ19로 명명하였다. 분리균의 형태학적, 생리생화학적 특성과 16S rRNA gene의 염기서열을 조사한 결과 Micrococcus sp.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리된 Micrococcus sp. HJ19는 $10^{\circ}C$에서는 자라지 못하였으며 $20^{\circ}C$부터 생육과 효소활성을 보여주었다. 최적 생육 온도는 $37^{\circ}C$였으며, 효소 활성은 $30^{\circ}C$에서 약 480 unit/ml의 활성을 보여 주었다.

토양 미생물의 2-hydroxypyridine 대사에 미치는 기아상태와 부식산의 영향 (Influence of Starvation and Humic Acid on Soil Microbial 2- Hydroxypyridine Metabolism)

  • 황선형
    • 한국토양환경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3-23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기아상태에 있는 토양 미생물, Arthrobacter crystallopoietes cell의 2-hydroxypyridine대사능력의 변화 와 이 미생물의 대사능력에 대한 부식산의 영향에 대해 다루어졌다. 기질 2-HP에 대한 대수기 세포(exponential phase cell)는 적응기 세포(lag phase cell)와 비교할 때 기아상태에 있어서도 더 높은 2-HP대사능력을 보여 기아상태 3일 후 대수기 세포에서 2-HP반감기는 14시간으로 나타난 반면 적응기 세포의 경우 46.5시간으로 나타났다. 부식산은 기아상태에서 이 미생물 세포의 유도효소, 2-HP monooxygenase의 안정성을 높여주어 기아시간 2일 후 표준조건에서 기아상태에 있던 미생물의 효소활성이 처음의 1.5%로 남아 있는 반면 0.2% 부식산 용액에서 기아상태로 있던 미생물의 효소활성은 12%까지 남아 있었다. 기아시간 14일 후 까지도 부식산 용액 속에서 기아상태로 있던 이 미생물 세포의 2-HP대사능력은 표준 조건의 것에 비해 월등히 높아 2-HP반감기를 비교해 보면 표준 조건의 경우 43시간인 반면 부식산의 경우 1.25시간으로 나타났다.

  • PDF

축산분뇨에서 분리한 세균의 동정 및 효소학적 특성 (Isolation and Enzymatic Characterization of Bacteria from Livestock Manure)

  • 김진선;정소선;이준석;최미영;서승염
    • 미생물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14-220
    • /
    • 2001
  • 축산 분뇨의 퇴비화에 관련되는 세균들을 분리하고 이들이 생산하는 효소들 중 퇴비화에 관련되는 것으로 사료되는 amylase, cellulase, protease 및 lipase의 특성을 연구하였다. 발효 중에 있는 축산 분뇨로부터 24주의 균주를 분리하여 이중 protease, cellulase, amylase, 그리고 lipase의 활성을 모두 가진 6개의 균주들을 선별하였다. 분리한 6개의 균주들을 동정해본 결과 Corynebacterium varibilis, Bacillus spp., Pseudomonas spinosa, Acetobacter calcoaceticus 및 Athrobacter cumminsii 등으로 밝혀졌다. 이들이 분비하는 효소들의 특징은 중성에서 알칼리성에 이르는 광범위한 pH에서 효소들이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cellulase를 제외한 대부분의 효소들의 최대 활성 온도가 $60^{\circ}C$ 정도 였으나, cellulase의 경우 $37^{\circ}C$가 최적 활성 온도였다. 이는 발효가 진행되어 축산 분뇨에 고온의 열이 발생할 때, 이 환경하에서 유기물을 분해함으로써 발효과정을 원활히 진행시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다만 cellulase 생산 세균의 경우 축산 분뇨의 초기 발효시에 관여하여 균주의 성장 및 유기물의 분해에 관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이와같은 결과는 축산분뇨 발효초기와 발효후기의 온도가 상승된 환경에서 작용하는 세균의 균총이 다름을 암시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