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미래학교 공간

검색결과 60건 처리시간 0.023초

초등학교 교사의 미래학교에 대한 공간 요구 탐색 연구 - 서울 공립 A초등학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Needs for Future School Spaces - With a Focus on A Public Elementary School in Seoul -)

  • 이혜진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21권1호
    • /
    • pp.24-39
    • /
    • 2022
  • 본 연구는 미래학교 공간에 대한 교사의 요구를 탐색하여 향후 미래학교를 위한 사회적 합의에 교사의 목소리가 담길 수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현장의 생생한 목소리를 전달하고자 질적 연구를 진행하였고 A초등학교(가명) 교사 10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결과, 1) 시·공간을 초월한 학습의 등장 인식 및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ICT 기반의 정보화 환경의 중요성, 2) '전통성'과 '테크놀로지'를 중심에 둔 미래형 학교 공간의 특성 확인, 3) 학습 커뮤니티 공간의 중요성 인식, 4) 유연한 교수학습활동을 위한 '가변성' 있는 학급교실 강조, 5) 첨단기술 기반 학습환경에서 취약할 수 있는 감성 지원을 위한 자연 친화적인 요소의 도입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교사들에게 '친환경성'이나 '지역사회 연계'와 같은 중요한 미래학교 관련 담론을 충분히 담은 체계적인 교육 및 경험의 기회가 필요하다는 제언을 하며 연구를 마무리하였다.

이용자 인식조사를 반영한 학교도서관의 공간구성 방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atial Composition of School Libraries by Reflecting User Perception Survey)

  • 이세라;차성종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5-33
    • /
    • 2024
  • 본 연구는 고등학생들의 학교도서관 공간에 대한 이용 실태 및 선호도와 중요도 조사를 통해 이용자 인식을 조사 및 분석한 다음, 미래교육을 위한 효율적인 학교도서관 공간구성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경상남도 C시에 위치한 7개 고등학교를 최종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학교도서관 이용 실태 및 공간구성 방향에 관한 이용자의 인식에 대해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학교도서관 공간구성에 대한 방안으로 1) 학생들이 접근하기 용이한 위치 우선 선정, 2) 자료·열람공간 및 교수·학습공간 구성 시 교육과정과 학습 지원을 위한 양질의 자료와 장비 확보, 3) 공간구성 및 배치 시 학교도서관의 역할과 이용자 요구 고려, 4) 미래 환경 및 신기술 영향에 따른 기술력과 장비를 반영한 공간으로 구성하기 위해 노력 등을 제안하였다.

소규모 학교공간혁신 효과성 분석 (Analysis of Effects of Small School Space Innovation)

  • 권순철;이용환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22권4호
    • /
    • pp.1-8
    • /
    • 2023
  • 학령인구의 급격한 감소에 따른 학교의 소규모화가 가속화되고 있으며, 지역 및 학교 소멸에 대한 위기가 고조되고 있는 상황에서 소규모학교에서 미래교육 대응에 대한 필요성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미래에는 유연한 교육과정, 디지털·인공지능 기반의 교실 수업 개선 등과 같은 교육과정을 통해서 학생들의 학교생활 만족도 향상, 창의성 및 인성 함양, 학업성취도 향상, 협력적 소통 역량 강화와 교사들의 교수학습 방법의 변화 등의 교육적 효과가 중요하다고 볼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학교공간혁신 등 학교시설을 미래지향적인 공간으로 변화시킬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소규모 학교에서 미래형 교육체제가 무엇인지를 살펴보았고 학교공간 변화와 학교교육 상관관계, 스마트 환경 등 공간혁신의 교육적 효과와 지속가능성에 대한 인식을 중점적으로 분석하여 향후 소규모학교 공간혁신사업의 바람직한 추진 방향을 제시하였다.

사례분석을 통한 미래지향적 학교의 건축 계획적 특성 연구 - 교육공간구성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Design Feature for Future School - Focusing on the Space Composition of Educational Space -)

  • 이지유;이종국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18권2호
    • /
    • pp.12-21
    • /
    • 2019
  • 제4차 산업혁명을 맞아 시대적으로 현실이 요구하는 인재의 상과 교육의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다. 학교건축 또한 변화된 교육을 수용하는 방향으로 개선되고 있으며 그 움직임으로 국내외에서 학교건축개혁 정책들이 수립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흐름에 따라 미래지향적 학교의 건축계획적 공간구성의 특성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선행연구조사를 통해 미래지향적 학교계획특성을 정리한다. 둘째, 선진사례분석을 통해 앞서 정리한 특성이 건축계획적으로 어떻게 적용되었는지, 활용요소의 실태를 정립하고 계획예시를 제시한다. 이때, 선행연구에서 지향해야 할 학교건축의 명칭을 'Future School', '미래학교'라 정한 것을 참고하여 본 연구는 이를 '미래지향적 학교'라고 명명한다. 본 연구는 미래지향적 학교계획 특성에 있어 건축 계획적 특성을 중심으로 다룬다는 점과 이론의 실제 적용사례에 초점을 맞췄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노후고등학교의 미래학교 공간구성 정책방향에 관한 연구 - 고교학점제 적용을 위한 공간 재배치 판단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olicy Direction of Space Composition of the Future School in Old High School - Focused on The Judgment of Space Relocation for the Applic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

  • 이재림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21권3호
    • /
    • pp.1-13
    • /
    • 2022
  • 본 연구는 기존 노후 고등학교에 대해 학점제 운영이 가능한 미래학교로서의 공간 혁신을 위해 기존 학교의 공간 구성 및 구조적 문제점을 파악하고 미래 다양한 교수학습이 가능한 학점제 운영 학교로서의 중·장기 배치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사례 조사를 통해 증.개축 또는 리모델링 판단 준거 도출을 목적으로 실시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 노후 고등학교의 문제점은 대부분 일자형 표준설계도형 단위 건물 중심, 여러 동으로 분산 배치되어 건물 간 연계성이 매우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 건물의 평면 구성 형식은 교실과 복도 개념의 공간 구성으로 휴식 시간대 학생 교류와 휴식 기능이 이루어질 수 없는 구조로 판단된다. 둘째, 미래학교 공간 혁신을 위한 학점제 운영 고등학교 공간 구성 방향으로는 교과교실제를 전제로 학생 이동에 따른 동선 단축 및 교과 영역 확대 등을 고려할 때 집합형 배치를 반영하여 배치 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또한 이동 수업에 따른 소통과 교류가 가능한 중심 지역에 휴식과 교류가 가능한 광장형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학생 중심 공간인 광장과 연계된 도서관이나 스마트학습실 등 체험 활동이 가능한 다양하고 융통성 있는 공간을 배치한다. 셋째, 노후고등학교 재배치 판단 평가 기준으로는 향후 학급 수를 기준으로 스페이스프로그램을 작성하고 학교 토지 활용에 대한 법적 분석 및 지역 특성을 고려한 토지 이용 효율성 분석을 실시한다. 또한 기존 건물의 각 동별 구조적 특성 및 기존 건물의 노후도를 분석하여 건물 동별 내구연수를 파악하고 교육적 기능성과 함께 개축 또는 리모델링 판단을 위한 기준으로 활용한다. 이와 같은 분석 자료를 토대로 학교시설 복합화 등 학교 공간 전체에 대한 중 장기·토지이용계획 및 공간 배치 계획을 수립한다.

친사회적 학교 커뮤니티 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mmunity Space Planning for Pro-social Schools)

  • 정장홍;이용환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15권3호
    • /
    • pp.15-25
    • /
    • 2016
  • 본 연구는 학교 내 커뮤니티 형성과정과 그 특성을 밝혀 미래 학교공간이 지향해야할 친사회적 지속가능 환경 구축 및 공간 구성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기 위한 것으로 학생들의 휴게 시간을 보다 실증적으로 조사하여 휴게 시간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더불어 학교 내 학생들의 커뮤니티 형성 공간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수행되었다. 이에 학교 내 휴게시간 커뮤니티 형성과정과 그 특성을 밝히기 위하여 연구자가 근무하는 지역의 가장 최근 개교한 미래형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학교 내 커뮤니티 공간 조성에 대한 분석 결과 학교 내 사회적 소통 및 상호작용 촉진을 위한 커뮤니티 공간에 대해서 성별, 학년별 차이 없이 모두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았고, 커뮤니티 공간으로 가장 적합하다고 생각되는 공간으로는 홀 알코브 공간, 복도 알코브 공간, 교실인접 소규모 공간, 다목적 계단 등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생들이 가장 원하는 커뮤니티 공간으로는 홀, 복도 알코브 공간으로 각각 만남, 소통, 휴식, 사회적 교류 등 소통 활동을 가장 하고 싶어 하였다.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학교 공간 혁신' 정책 키워드 분석 - 뉴스 기사를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Keywords on 'School Space Innovation' Policies using Text Mining - Focused on News Articles -)

  • 이동국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19권2호
    • /
    • pp.11-20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하여 한국의 주요 언론 매체를 통해 드러난 학교 공간 혁신 정책의 실행과 관련 이슈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언론에서 발행한 학교 공간 혁신 관련 기사 총 519개를 수집하여 빈도 분석과 네트워크 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학교 공간 혁신의 특징을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학교 공간 혁신은 미래교육에 대한 대응으로 추진되고 있다. 둘째, 사용자가 학교 공간 혁신의 주체로 참여한다. 셋째, 전문가는 협력 체제를 갖추어 학교 공간 혁신을 지원하고 있다. 넷째, 학교 공간 혁신에 지역사회를 적극적으로 참여시키고 있다. 다섯째, 교육부와 교육청의 주요 사업으로, 상향식과 하향식이 조화를 이루어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 결과는 학교 공간 혁신 정책의 주요 이슈를 이해하고, 차후 연구와 실천에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학교교육공간 혁신을 위한 교육기획 절차 모형 탐색 - 교육분야 사용자 참여 설계 사례를 중심으로 - (Exploratory Study on the Educational Planning Process Model for School Space Innovation - Focusing on User Participatory Design Practices -)

  • 홍선주;임지영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23권2호
    • /
    • pp.1-10
    • /
    • 2024
  • 본 연구는 미래형 교육과정을 수립하고, 미래형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교육공간 혁신을 이루기 위한 방법으로 사용자 참여 설계 방법에 기반한 교육기획 절차 모형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교육공간 혁신, 교육기획 절차, 사용자 참여 설계와 관련된 선행연구 및 실천사례를 검토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교육기획 절차 모형의 초안을 마련하였다. 이를 초등학교 1개교의 개축 프로젝트의 교육기획 과정에 적용하고, 그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에 대해 비판적으로 성찰하여 그 결과를 모형의 개선에 반영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도출된 '사용자 참여 설계에 기반한 교육기획 절차 모형'은 총 4단계로 구성된다. 1단계는 사용자 참여를 위한 초기 탐색 단계로, 교육기획가와 사용자가 미래교육을 위한 공유된 관점을 형성하고, 교육기획가는 학교에 대한 충분한 정보를 수집하는데 초점을 둔다. 2단계는 미래교육으로 전환을 위한 구성원간 합의를 도출하는 단계로, 학교수준 교육과정에 대한 전반적인 방향성을 큰 틀에서 설정하고 중점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아이디어 발산을 시작하는 데 초점을 둔다. 3단계는 미래학교 운영방향을 결정하는 단계로, 학교의 교육 비전 및 목표를 설정하고, 교수학습의 방향을 결정하며, 특색 교육공간에 대한 요구를 도출한다. 4단계는 교육기획을 마무리하는 단계이자 공간기획을 시작하는 단계로 기능할 수 있도록, 교육기획가와 공간기획가 간의 긴밀한 상호작용에 초점을 둔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교육기획 절차의 이점과 제한점에 관해 논의하였다.

미래 교수-학습 및 공간의 유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ypes of Future Teaching-Learning and Space)

  • 조진일;최형주;홍선주;안태연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19권1호
    • /
    • pp.13-24
    • /
    • 2020
  • 본 연구는 미래 교수-학습방법 유형과 학습 공간 유형을 분석하여 교수-학습방법 유형에 적합한 공간 유형을 연결(matching)해보고, 공간 유형별 교수-학습방법과 학습양식의 활용정도를 학교급별로 제안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플립 러닝, 디퍼 러닝, 협력 학습, 몰입형 가상현실 학습, 놀이 학습, OER활용 학습 등 6가지의 교수-학습방법 유형과 놀이 및 탐구 공간, 제작 및 거치 공간, 발표 및 전시 공간, 독립된 학습 공간, 학습의 장으로서의 교실, 학습의 내용으로서의 교실 등 6가지의 학습 공간 유형을 도출하였다. 아울러 Table 12와 13과 같이 미래 교수-학습방법 유형에 적합한 공간 유형을 연결해보고, 공간 유형별 교수-학습방법뿐만 아니라 22가지 학습양식의 활용정도를 학교급 또는 학년군별로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