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Policy Direction of Space Composition of the Future School in Old High School - Focused on The Judgment of Space Relocation for the Applic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

노후고등학교의 미래학교 공간구성 정책방향에 관한 연구 - 고교학점제 적용을 위한 공간 재배치 판단을 중심으로 -

  • 이재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대학원)
  • Received : 2022.08.12
  • Accepted : 2022.09.24
  • Published : 2022.09.30

Abstract

This study is a case study to identify the spatial composition and structural problems of existing schools for spatial innovation as a future school that can operate a credit system for old high schools and establish a mid-to-long-term arrangement plan as a credit system operating school capable of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future.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problems of the old high schools entailed that there was very poor connectivity between buildings as most of them were arranged in a single, standard design-type unit building and distributed in multiple buildings. In addition, the floor plan of each building is suggested to be a structure in which student exchange and rest functions cannot be achieved during the break period due to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classroom and hallway concepts. Second, in the direction of the high school space configuration for future school space innovation, the arrangement plan should be established by reflecting the collective arrangement in consideration of the shortening of the movement route and the expansion of subject areas due to the movement of students on the premise of the subject classroom system. Moreover, it is desirable to provide a square-type space for rest and exchange in the central area where communication and exchange are possible according to the moving class. Third, as the evaluation criteria for relocating old high schools, a space program is prepared based on the number of classes in the future, and legal analysis of school land use and land use efficiency analysis considering regional characteristics are conducted. Based on such analysis data, mid-to-long-term land use plans and space arrangement plans for the entire school space such as the school facility complex are established.

본 연구는 기존 노후 고등학교에 대해 학점제 운영이 가능한 미래학교로서의 공간 혁신을 위해 기존 학교의 공간 구성 및 구조적 문제점을 파악하고 미래 다양한 교수학습이 가능한 학점제 운영 학교로서의 중·장기 배치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사례 조사를 통해 증.개축 또는 리모델링 판단 준거 도출을 목적으로 실시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 노후 고등학교의 문제점은 대부분 일자형 표준설계도형 단위 건물 중심, 여러 동으로 분산 배치되어 건물 간 연계성이 매우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 건물의 평면 구성 형식은 교실과 복도 개념의 공간 구성으로 휴식 시간대 학생 교류와 휴식 기능이 이루어질 수 없는 구조로 판단된다. 둘째, 미래학교 공간 혁신을 위한 학점제 운영 고등학교 공간 구성 방향으로는 교과교실제를 전제로 학생 이동에 따른 동선 단축 및 교과 영역 확대 등을 고려할 때 집합형 배치를 반영하여 배치 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또한 이동 수업에 따른 소통과 교류가 가능한 중심 지역에 휴식과 교류가 가능한 광장형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학생 중심 공간인 광장과 연계된 도서관이나 스마트학습실 등 체험 활동이 가능한 다양하고 융통성 있는 공간을 배치한다. 셋째, 노후고등학교 재배치 판단 평가 기준으로는 향후 학급 수를 기준으로 스페이스프로그램을 작성하고 학교 토지 활용에 대한 법적 분석 및 지역 특성을 고려한 토지 이용 효율성 분석을 실시한다. 또한 기존 건물의 각 동별 구조적 특성 및 기존 건물의 노후도를 분석하여 건물 동별 내구연수를 파악하고 교육적 기능성과 함께 개축 또는 리모델링 판단을 위한 기준으로 활용한다. 이와 같은 분석 자료를 토대로 학교시설 복합화 등 학교 공간 전체에 대한 중 장기·토지이용계획 및 공간 배치 계획을 수립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한국교원대학교 2021학년도 연구년교수 학술지원비 지원을 받아 수행한 연구의 결과임

References

  1. 교육부(2021). 포용과 성장의 고교 교육구현을 위한 고교학점제 종합추진계획(2021.2.17.).
  2. 교육부(2021). 2025년 일반계고 학점제 전면 적용을 위한 고교학점제 단계적 이행 계획(2021.8.23.).
  3. 교육부(2015).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교육부고시 제2015-80호. 2015. 12.1.[시행 2017.3.1.])
  4. 김경숙(2020). 미래학교 조성을 위한 중학교 공간사용 실태 분석 연구, 교육녹색환경연구, 제19권제4호. 26-39. https://doi.org/10.7743/KISEE.2020.19.4.026
  5. 대통령자문 교육혁신위원회(2007). 미래교육 비전과 전략
  6. 이선영(2020). 학교 학습환경 변화에 따른 학생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시설학회, 제27권제2호. 79-86.
  7. 이재림(2013). 국가재정 운용측면에서의 학교시설 복합화 사업 효과성 분석. 한국교육개발원
  8. 이재림(2013). 중등학교 학생의 사회성 확대를 위한 커뮤니티 공간에 관한 연구. 교육녹색환경연구, 제12권제2호. 43-52. https://doi.org/10.7743/kiss.2013.12.2.043
  9. 이재림(2022). 미래 교수학습방법에 따른 교과교실 교육 환경을 위한 기초 연구. 교육녹색환경연구. 제21권제2호. 11-24. https://doi.org/10.7743/KEGE.2022.21.2.011
  10. 이재림 외3인(2020). 오류중 학교공간 혁신사업 등 타당성 검토 연구. 미래교육환경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