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고인용, 강태웅(2014). 영국의 DQIfS를 포함한 사용자 참여설계과정(UPDP)의 적용연구: 노량진 초등학교 개축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교육시설, 21(1), 43-53.
|
2 |
교육부(2019). 학교 공간 혁신 사업 가이드라인(안). 세종: 교육부.
|
3 |
김보민, 양혜진, 이경화(2020). 창의융합교육을 위한 물리적 환경에 대한 고찰: 국내외 학교공간혁신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청소년시설환경, 18(2), 15-26.
|
4 |
김성근(2016). 표준설계도 폐지 이후 초등학교 외부공간의 변화가 학생의 공간이용형태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5 |
박성철, 이윤서, 이상민, 유용흠, 황준성, 김진옥(2018). 미래 교육환경에 대응하는 교육시설 연구(I). 진천: 한국교육개발원.
|
6 |
이광수, 류수훈(2019). 학교시설의 사용자 참여설계 프로세스 비교 분석에 관한 연구: 연구 및 사업백서를 중심으로. 교육시설논문지, 26(6), 39-49.
|
7 |
이동국(2019). 미래학교의 교수학습 지원을 위한 공간 설계 방향 탐색. 교육시설, 26(5), 26-31.
|
8 |
이수상(2012). 네트워크 분석 방법론. 서울: 논형.
|
9 |
이정우(2008). 1960-70년대 서울시 초등학교 건축 표준 설계도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9(6), 1718-1725.
DOI
|
10 |
유예림, 백순근(2016). 자동화된 텍스트 분석을 활용한 20 15 개정 교육과정 정책에 대한 언론 보도의 쟁점 분석. 교육과정평가연구, 19(3), 127-156.
|
11 |
정영린(2019). 학교공간혁신. 교육시설, 26(4), 4-5.
|
12 |
최호순(2019). 사용자 중심 디자인 기반 교실 공간 설계. 교육시설, 26(6), 19-27.
|
13 |
Cavnar, W. B., & Trenkle, J. M. (1994). N-gram-based text categorization. In Proceedings of SDAIR-94, 3rd annual symposium on document analysis and information retrieval (Vol. 161175).
|
14 |
Ramos, J. (2003). Using tf-idf to determine word relevance in document queries. In Proceedings of the first instructional conference on machine learning, 242, 133-142.
|
15 |
Snyder, D., & Kick, E. L. (1979). Structural position in the world system and economic growth, 1955-1970: A multiple-network analysis of transnational interactions.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84(5), 1096-1126.
DO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