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7743/kisee.2016.15.3.015

A Study on Community Space Planning for Pro-social Schools  

Jeong, Jang-Hong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Lee, Yong-Hwan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Publication Information
The Journal of Sustainable Design and Educational Environment Research / v.15, no.3, 2016 , pp. 15-25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process of forming a community in the school and to present the basic data necessary for the establishment of a social sustainable environment and space for future school space. In addition to a new awareness of time, it was carried out to help students understand the community forming space in the schoo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ormation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resting time community in the school.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n the formation of community space in the school, there were many opinions that community space for social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promotion in school is all without difference by gender and grade, and as a space which is considered to be most suitable as community space. A hallway alcove space, a small space adjacent to the classroom, and a multipurpose staircase. In addition, students wanted to make the communication activities such as meeting, communication, relaxation, and social exchange into the hall and corridor space in the corridor as the most desirable community space.
Keywords
School space; Pro-sociality; Sustainability; Community;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이용환, 창의적 융합교육에 의한 교육환경공간 변화에 관한 연구, 교육.녹색환경연구, 2015.
2 강기섭, 자아존중감과 친사회성 증진을 위한 체험학습활동 연구,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3 강기수, 초등학교 공간에 비판적 논의, 2013.
4 곽두환, 헤르만 헤르츠버거의 교육공간에 나타난 전이영역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2011.
5 권지훈, 학교 외부공간의 자연적 감시 취약지역 분석기법에 관한 연구, 2012. 4.
6 김기찬, 네덜란드 구조주의 건축의 기하학적 공간 특성에 관한 연구 : 알 223 - 도 반 아이크와 헤르만 헤츠츠버거의 건축작품을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7 김문덕, 렘콜하스와 네덜란드 근 . 현대건축, 서울: 태림문화사, 2005
8 김정호, 초등학교 교육공간에 대한 교육적 논의,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9 김종영 외 4인, 학교건축의 변혁(열린 학교의 설계.계획), 도서출판 국제, 1995. 학술서
10 김미영,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도시공공공간 특성 분석, 2011.
11 김영이, 사회적 갈등 상황에 대한 또래 토의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해동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12 김지원, 학교공간에 대한 교육 철학적 고찰,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13 대한주택공사, 지속가능한 정주지개발을 위한 정책 및 제도 연구III, 대한주택공사, 2000.
14 박민혁, 초등학교 교실 내 커뮤니티 형성에 관한 연구, 광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15 서윤승, 학교 건축의 경계해체를 통한 지역 커뮤니티 활성화 계획,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16 송기택, 지속가능한 주거단지의 커뮤니티 계획 기법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17 송진석, 공동주택 커뮤니티 계획이 주거문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18 안영길, 커뮤니티 공간 개념 도입을 통한 관광 어촌 활성화 계획,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19 안현정, 네덜란드 구조주의의 건축특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 석론, 1998.
20 이기복, 사회적 지속가능성 측면에서 본 주거단지의 계획기법 연구,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21 이도희, 노인의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도시공간 네트워크 연구,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22 이용환, 교과교실형 고등학교의 건축 평면적 특성 연구, 교육환경연구, 2010.12.
23 이용환, 보편적 소통 가능한 학교 공공디자인의 공공성에 관한 연구, 교육환경연구, 2014. 4.
24 이은미, 교육공간으로서 학교공간의 의미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1994.
25 중등학교 학생의 사회성 확대를 위한 커뮤니티 공간에 관한 연구, 교육환경연구, 2013. 8.
26 임상인, 지속가능 개념을 도입한 주거단지의 계획특성과 '패턴언어' 적용 모델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2.
27 임상진, '건축적 공공성'의 구현에 관한 연구_H. Hertzberger와 F. marki 건축이론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7.
28 임영환, 지속가능 건축의 계획 기준 연구: 지역성을 고려한 지속가능건축 가이드라인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29 임연수, 사회적 소통을 위한 국내 아파트단지 옥외공용공간 계획안,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30 황상주, 사회과 교육에서의 친사회성 교육의 역할과 함양 방안,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2.
31 헤르만 헤르츠버거, 안진이 옮김, 헤르만 헤르츠버거의 건축수업, 서울: 효형출판 ,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