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미디어 제도

검색결과 858건 처리시간 0.022초

제스쳐 허용 전자 잉크 에디터의 개발 (Development of Gesture-allowed Electronic Ink Editor)

  • 조미경;오암석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6권6호
    • /
    • pp.1054-1061
    • /
    • 2003
  • 전자 잉크 데이터는 스타일러스 펜을 주된 입력 도구로 사용하는 PDA 등과 같은 펜 기반 컴퓨터의 개발로 출현한 멀티미디어 데이터이다. 최근 들어 펜 기반 모바일 컴퓨터의 발전과 보급은 전자 잉크 데이터 처리 기술에 대한 필요성을 증가시키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펜 제스쳐 (pen gesture)를 허용하는 전자 잉크 에디터개발에 필요한 기술들을 연구하였다. 제스쳐와 잉크 데이터는 펜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가장 큰 특징중 하나이지만 아직 충분한 연구가 되지 않았다. 본 논문에서는 펜 제스쳐 구분을 위한 새로운 제스쳐 인식 알고리즘과 제스쳐 명령을 수행하기 위한 잉크 데이터의 분할 방법이 제안되었으며 제안된 방법들을 이용하여 제스쳐를 허용하는 전자 잉크 에디터 GesEdit를 개발하였다. 제스쳐 인식 알고리즘은 입력된 획의 여덟 가지 특징에 기반하고 있으며 전자 잉크 데이터를 GC(Gesture Components) 단위로 분할하는 방법은 볼록껍질(convex hull)과 입력 시간을 사용하였다. 열 명의 피실험자에 의해 수행된 다양한 실험 결과 아흡 가지 제스쳐들은 평균 99.6%의 인식률을 보여 주었다.

  • PDF

유권자의 제3자 효과 지각 연구 -후보자 이미지와 후보 선택에 미치는 미디어 효과를 중심으로- (Voters' Third-Person Perceptions -based on the Media Effect on the Presidential Candidates Images and Choice-)

  • 설진아;김활빈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42권
    • /
    • pp.79-106
    • /
    • 2008
  • 이 연구는 제17대 대통령선거 과정에서 미디어 정치에 대한 유권자의 인식을 조사하고 대중매체가 유권자의 후보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제3자 효과를 중심으로 온라인 서베이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미디어가 후보자의 이미지 형성에 미친 영향의 정도에서 제3자 효과가 검증되었으며, 신문, TV, 인터넷과 같은 각 매체가 후보자 선택에 미치는 영향에서도 제3자 효과가 다르게 나타났다. 후보자 선택에서는 신문의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고, 후보 이미지 형성에서는 TV가 상대적으로 영향력이 크게 나타났다. 또 다른 주목할 만한 연구결과는 이명박, 정동영, 이회창 후보의 지지자는 후보 이미지 속성에 따라 지지여부와 달리 이미지 속성별로 다른 후보를 높게 평가함으로써 용모와 말솜씨, 도덕성과 같은 일부 이미지 속성이 유권자의 투표행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았음을 시사하고 있다.

  • PDF

한국 소셜 미디어에서 폐기물 순환 관련 동영상 콘텐츠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Video Contents Related to Waste Cycle in Korean Social Media)

  • 신오영;정상규;반영운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1호
    • /
    • pp.229-234
    • /
    • 2021
  • 이 연구는 한국의 소셜 미디어에서 폐기물 순환과 관련된 동영상 콘텐츠의 특성을 규명하였다. 제작주체들 중에서 방송사업자가 제작한 동영상의 인기가 가장 높았고 주로 시사 및 교육 콘텐츠가 인기가 높았다. 동영상에서 폐기물 순환 문제의 해법들 중에서 '제도 및 정책 개선'이 가장 지배적으로 다루어졌다. 방송사업자, 지방자치단체, 비영리민간단체, 중앙행정기관은 해법 전달과 소비자 참여를 위해 소셜 미디어를 적극 활용하였다. 하지만 폐기물에 대한 사회적 책임이 있는 기업이 제작한 콘텐츠는 매우 적었다. 연구의 결과물들은 폐기물 순환 관련 동영상 제작과정에서 소통 중심의 대중 친화형 콘텐츠 개발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이들은 관련 제도 및 정책의 개발과 개선을 지지하는 의사결정에 유용한 지침이 될 것으로 본다.

가로변 미디어폴이 보행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분석 - 서울시 강남 U-street를 중심으로 - (Effect Analysis of Media Pole on Pedestrian Satisfaction for Walking -Focused on Media Pole in Gang Nam U-street-)

  • 조정필;박태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518-528
    • /
    • 2014
  • 본 연구는 서울시 강남구 U-street에 설치된 L.E.D 미디어 폴(Media pole)이라는 통합형 가로시설물이 보행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 이를 위해 가로시설물로서 미디어폴의 구성요소를 보행자 관점에서 탐색적으로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요인분석을 통해 제1요인은 '심미 상징성'요인으로 명명하였고, 제2요인은 '형태 조형성', 제3요인은 '접근 연속성'으로 분석하였다. 제4요인은 '감각 전달성', 제5요인은 '정보 매체성'으로 명명하였다. 요인분석은 이용자 관점에서 사례대상지 보행자에 대한 행태관찰과 심층면접(In-depth Interview)을 실시하였고, 33개 예비변수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예비요인을 전문가 F.G.I(Focus Group Interview)를 통해 최종적으로 요인분석에서 사용할 20개 예비변수를 선정하였다. 요인분석을 통해 선정된 5개의 독립변수와 보행자의 만족도를 종속변수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강남대로 U-street에 설치된 미디어 폴이 보행자의 보행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중 통계학적 유의미한 영향요소는 '심미 상징성'요인으로 분석되었다. U-street에서 미디어 폴은 보행자에게 심미적 감성과 상징성으로 새로운 보행체험에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이용자 편의성을 기반으로한 정보매체로서의 접근성을 강화하고 활용 가능한 콘텐츠 다양화를 유도해야할 것이다. IT 기반형 멀티미디어 매체인 미디어폴은 융합하는 가로환경과 융합하여 보행자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여 보행활성화에 새로운 수단으로서의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제9회 정보문화의 달 행사 개최

  •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센터
    • 디지털콘텐츠
    • /
    • 6호통권37호
    • /
    • pp.108-113
    • /
    • 1996
  • 국가사회 정보화의 중요성에 대한 대국민 인식 제고 및 정보이용의 생활화를 이끌어 내기 위한 제9회 정보문화의 달 행사가 '멀티미디어와 생활'이란 주제로 6월 한달동안 전국에서 다채롭게 펼쳐진다.

  • PDF

실시간 멀티미디어 그룹통신을 위한 전송 시스템 연구 (Research of Real-Time Multimedia Group Comm. System)

  • 강준석;박주영;배진석;김대영
    • 한국멀티미디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상)
    • /
    • pp.449-452
    • /
    • 2003
  • 최근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인터넷 방송과 같은 실시간 멀티미디어 그룹통신 환경의 경우 현 인터넷 망의 기술적 한계로 인해 제대로 된 서비스 제공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는 기존 인터넷의 IP 유니캐스트 전송 기술의 한계성 때문이다. IP 멀티캐스트 전송기술이 보급된다면, 자연스럽게 해결될 문제이지만 현재로서는 이 또한 불가능한 상황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실시간 멀티미디어 그룹통신 환경을 제공해줄 수 있으며, 현 인터넷에 쉽게 보급될 수 있는 대체 멀티캐스트 기술에 대하여 기술한다.

  • PDF

기술계 교과목의 가상강의를 위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개발 방법

  • 김종근;정승필
    • 한국멀티미디어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5-11
    • /
    • 2001
  •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여 많은 가상강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가상강의가 제대로 수행되기 위해서는 해당교과목의 분야 특성을 적절히 반영한 강의용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개발되어야하고, 컨텐츠를 제공하고 교수 및 학생 활동을 지원하고 학습자에게 학습의 동기를 유발할 수 있는 운영환경이 제공되어야 한다. 본고는 대학의 기술계열 교과목에서 수년간에 걸친 가상 강의용 컨텐츠 개발 및 운영의 경험을 바탕으로 하여, 기술계 교육에 적절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유형과 효과적인 개발 방법을 제안하고 개발 예를 보여주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