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문화연구

Search Result 21,003, Processing Time 0.053 seconds

Sociological Approach of Wood Culture (사회학적 측면에서의 목재문화에 관한 연구)

  • Hur, Gyongtae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33 no.1 s.129
    • /
    • pp.63-76
    • /
    • 2005
  • Wood-culture is new paradigm which is substituted for the cement culture, and the study of wood-culture should keep pace with not only the study of a engineering science but also a sociological study to form a theory syst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method of sociological approach of the wood culture which have not yet tried at home and abroad; in view of structural-functionalism, systemical-functionalism, conflict theory, social-change theory by analyzing cases in Korea. In view of structural-functionalism, social system consists of cognition system, institution system, life system and technology system. These sub-systems fulfill the function of what-should-be, reasonability, reality and development. In view of systemical-functionalism, according to the acknowledgment and spreading proccess of the wood usefulness, wood culture system consists of the individual system, organizational system and the social system. In view of conflict theory, the society which has the wood culture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The one is society which the traditional wood culture is declining and the cement culture is spreading. The other one is society which the cement culture is declining and the traditional wood culture is spreading. Another is Finally the society which the two type balance with. In view of social-change theory, the society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The one is society which the wood culture is proceeding to the cement culture. The other is society which the cement culture is proceeding to the wood culture. Another is society which the wood culture changes itself. Finally, from a view of changing level, the society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the micro-change, the middle-level-change, and the macro-change. It's need to study wood culture systemically in view of engineering and sociological science. And then it will be possible to make 'wood culture theory system'.

A Study on the Cultural Contents Planning Model (문화콘텐츠기획 모형 연구)

  • Kim, Cheon-Young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4 no.1
    • /
    • pp.75-84
    • /
    • 2018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cultural contents planning model by 'The Relation-Approach'. For this, I established conceptual framework of cultural contents, and suggested the General Model of Cultural Sentence Contents Planning: Concept Planning Model(CPM), Signifier Development & Choice Planning Model(SDCPM), Signifier Arrangement Planning Model(SAPM). The importance of culture is found in the importance of perceiving culture derived from the perception of importance of life. As culture is represented way of life constituted in the order of life, perceiving culture is regarded as perception of life in the view of that of cultural contents. Thus, cultural contents planning has not only its necessity and importance but also the meaning of existence in the aspect of being situated at the healthy order of life. Accordingly, A Study on the Cultural Contents Planning Model has usefulness in theory and practice, further more the possibility of attempting for the legitimacy and value contribution to the study of this realm will be accomplished.

Development of Design Methodology for Cultural user-Interface Design: with the Emphasis on the Application of web-browser (문화적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위한 방법론 개발에 관한 연구-웹 브라우저의 활용을 중심으로-)

  • 이건표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1 no.1
    • /
    • pp.73-80
    • /
    • 1998
  • Recently, the importance of cultural design has been increasing due to the globalization. However the cultural design is mainly focusing on the shape or color stereotype of different cultures, ignoring another important aspects of cultural design: the way of peoples' interacting with product. The study aims to develop usability test program for cultural user-interface design that operates in the world wide web. The study begins with discussing the nature of culture through defining culture and reviewing the depth and variables of culture. Based on the findings the structure of the usability testing program on the WWW design methods is identified. The usability testing program on the WWW comprises of five different modules: module for identifying user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module for cultural variables, module for population stereotype, module for usability testing, and module for data storage and analysis. Finally findings are summarized and further research prospects are outlined.

  • PDF

Research on the National Culture Characteristics Embodied in the Design of Chinese Paper-cut Animation Characters (중국 전지 애니메이션 캐릭터 디자인에서 나타나는 민족문화 특성 연구)

  • Cai, Yingdi;Kim, Hea-Y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389-390
    • /
    • 2018
  • 중국의 전통민족 문화는 유구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중국의 문화 저력은 전지 애니메이션 디자인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중국 전통 문화를 전지 애니메이션 디자인에 활용하는 것은 이미 오늘날 중국 전통 애니메이션 발전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전통 문화에 대한 학습과 중국 문화와 민간 예술 연구를 기반으로 애니메이션 예술 디자인을 진행해야만 중국 문화의 특성을 갖춘 애니메이션 영화를 연구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본 논문은 중국의 문화 특성으로부터 시작하여 전지 애니메이션 캐릭터 이미지 디자인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Video Quality Improvement of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Documentary Film (국가무형문화재 기록영상 화질 개선에 관한 연구)

  • Kwon, Do-Hyung;Yu, Jeo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0.07a
    • /
    • pp.439-441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국가무형문화재 기록영상의 화질 개선에 관한 연구를 진행한다. 기록영상의 화질 개선을 위해 SRGAN 기반의 초해상화 복원영상 생성 프레임워크의 적용을 제안한다. Image aumentation과 median filter를 적용한 데이터셋과 적대적 신경망인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GAN)을 기반으로 딥러닝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입력된 Low-Resolution 이미지를 통해 High-Resolution의 복원 영상을 생성한다. 이 연구를 통해 국가무형문화재 기록영상 뿐만 아니라 문화재 전반의 사진 및 영상 기록 자료의 품질 개선 가능성을 제시하고, 영상 기록 자료의 아카이브 구축을 통해 지속적인 활용의 기초연구가 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PDF

A Critical Review of Body Contents in Cultural Study (문화연구에서의 몸의 문화: 콘텐츠화된 몸의 비판적 검토)

  • Kwon, su-bin;Kim, jin-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91-92
    • /
    • 2016
  • 문화연구에서 몸은 사회현상의 담론 주제로 성, 젠더, 섹슈얼리티, 이미지 등을 중심으로 다루어져왔다. 신자유주의 시대 몸은 점차 세분화되고 기능적으로 구획화되어 단절되었다. 콘텐츠화된 몸은 몸을 둘러싼 권력을 내재화하며 왜곡하고 길들여진다. 본 연구는 한국 문화연구에서 몸에 대한 연구내용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몸에 대한 연구영역의 혼종성을 제기하고자 한다. 나아가 본 연구의 목적은 몸의 담론들마저 인위적으로 콘텐츠화되어 정체해 있음을 비판하는데 있다.

  • PDF

현대 남성 패션에 표현된 문화 꼴라쥬 현상

  • 이민선
    • Proceedings of the Costume Culture Conference
    • /
    • 2004.04a
    • /
    • pp.92-94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이상 제기한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미학 및 사회학 등에서 논의되어 온 문화 꼴라쥬 현상에 대한 개념과 사회적 등장 배경 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문화 꼴라쥬 현상에 대한 내적 가치를 파악하고자 한다. 남성 패션에 표현된 문화 꼴라쥬 현상의 외적 조형성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시각적 자료로 남성 패션 스타일 선도자로서의 역할을 해온 The Face, i-D, view와 해외 collection 지 등의 잡지를 분석한다. (중략)

  • PDF

등대해양문화공간 스토리텔링에 따른 실질적 적용과 활성화방안 연구

  • Kim, Seo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10a
    • /
    • pp.443-447
    • /
    • 2013
  • 홍보관, 영상관, 야외공연장 등 체험하며 소통할 수 있는 해양문화공간으로 조성하여 지역의 체계적이고 독자적인 문화콘텐츠를 연구하며, 지역 특성에 맞는 스토리텔링을 개발하고 지역경제 활성화와 등대만의 고유한 해양문화 관광 콘텐츠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PDF

문화부 선정 '이달의 문화인물' 우현 고유섭

  • Korean Publishers Association
    • The Korean Publising Journal, Monthly
    • /
    • s.112
    • /
    • pp.4-5
    • /
    • 1992
  • 문화부가 이 달의 문화인물로 선정한 우현 고유섭은 미학을 바탕으로 미술사를 연구한 우리나라 최초의 미술사가이다. 그는 1905년에 태어나 1944년 작고할 때까지 일제강점기라는 불운의 근대사를 살며 그 길지 않은 생애를 한국미술사연구에 바침으로써 우리나라 미술사학의 초입에 가장 높은 봉우리로 우뚝 서있다.

  • PDF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등대해양문화공간의 활성화방안 연구

  • Hong, Gwan-S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2.10a
    • /
    • pp.328-331
    • /
    • 2012
  • 등대 시설을 홍보관, 전망대, 소공원 등을 갖춘 해양문화공간으로 조성하며 지역의 체계적이고 독자적인 문화콘텐츠를 연구하여 지역 특성에 맞는 스토리텔링을 개발하고 지역경제 활성화와 등대만의 고유한 해양문화 관광 콘텐츠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