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문제에 주어진 정보

Search Result 580, Processing Time 0.048 seconds

The smallest intersecting ball of balls (구들과 교집합을 가지는 가장 작은 구)

  • Kim, Sang-Sub;Ahn, Hee-Kap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0.06a
    • /
    • pp.329-334
    • /
    • 2010
  • 구들의 집합이 주어졌을 때, 주어진 구들이 모두 서로 겹치지 않은 경우 이들 모두와 교집합을 가지는 가장 작은 구(SIBB)를 계산하는 문제에 대해 연구한다. 먼저, 점집합에 대한 Welzl의 무작위 알고리즘을 구집합에 적용하였을 때, 계산된 결과가 조건을 만족하는 최소 크기의 구가 아닐 수 있다는 사실을 증명한다. 이와 함께, 선형 기대시간에 SIBB를 계산하는 새로운 무작위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제시된 알고리즘은 구조가 간단하며 구현이 용이하여 실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 PDF

Wavelength Routing using Ants System in the Optical Communication Networks (광 통신 네트워크에서 Ants System을 이용한 파장 라우팅)

  • 문창곤;위규범;예홍진;홍만표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04a
    • /
    • pp.686-688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광 네트워크에서 파장(Wavelength)의 라우팅(Routing)문제와 파장할당 (Wavelength Assignment)문제 해결에 필요한 파장의 개수를 찾아내는데 있어서 Ants System의 적용이 기존의 다른 방법과 유사하거나 일부 더 좋은 결과를 나타냄을 보인다. 또한, 광 네트워크에서 각 링크가 균등하게 사용되도록 함으로써 광경로(lightpath)의 개수를 최소화하여, 주어진 네트워크에서의 파장의 최소 개수를 찾아내는데 Ants System이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보인다.

  • PDF

Blocking Elimination Method Using Graph Clustering In Influence Propagation (그래프 클러스터링을 이용한 영향력 전파에서의 블로킹 제거 방법)

  • Lee, Rich. Chul-Ghi;Lee, Wookey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5.04a
    • /
    • pp.706-709
    • /
    • 2015
  • 영향력 전파 문제는 주어진 네트워크 환경에서 영향력을 최대화 할 수 있는 top-k 노드를 찾는 문제로 데이터 마이닝 분야에서 활발히 연구되어왔다. 본 논문에서는 그래프 클러스터링 기법을 사용하여 영향력을 전파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러한 방법에는 두 가지 이점이 있는데 먼저 서로 다른 시드 사이에 영향력이 중복되는 블로킹 현상을 제거하여 수행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는 유 방향 그래프인 경우 기존의 탐욕 알고리즘보다 더 많은 노드에 전파를 가능하게 한다.

A root finding algorithm of a polynomial over finite fields (유한체 위에서 다항식의 근에 관한 알고리즘)

  • 김창한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 Cryptology
    • /
    • v.7 no.4
    • /
    • pp.73-80
    • /
    • 1997
  • 유한체 위에서 다항식의 근을 구하는 문제는 수학의 오래된 문제중 하나이고 최근들어 암호학과 관련하여 유한체 위서의 다항식 연산과 성질등이 쓰이고 있다. 유한체 위에서 다항식의 최대공약수(greatest common divisor) 를 구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 된다. Rabin의 알고리즘에서 주어진 다항식의 근들의 곱(F(x), $x^{q}$ -x)를 구하는 과정을 c F(p), $f_{c}$ (x)=(F(x), $T_{r}$ (x)-c), de$gf_{c}$ (x)>0인 $f_{c}$(x) s로 대체한 효율적인 알고리즘 제안과 Mathematica를 이용한 프로그램의 실행 결과를 제시한다.

A review on trends of programming(algorithm) automated assessment system and it's application (정보 교육에서 프로그래밍(알고리즘) 자동평가 시스템의 활용 가능성에 대한 고찰)

  • Chang, Won-Young;Kim, Seong-Sik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20 no.1
    • /
    • pp.13-26
    • /
    • 2017
  • The programming(algorithm) automated assessment system is to evaluate automatically the accuracy and time/space efficiency of user's solution to the problem which is provided. This system gives the immediate feedback of the solution, real-time ranking. So, in the course of data structure and algorithm, we can apply the knowledge which we have learned to the problem solving. Especially, in the basic course of learning the syntax of the programming language, the novice student can learn in easy and fun by solving the simple problem. The university students can understand in the easy way the meaning of asymptotic analysis of algorithm in data structure & algorithm course.

InterCom :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n Agent-based Internet Computing Environment (InterCom : 에이전트 기반 인터넷 컴퓨팅 환경 설계 및 구현)

  • Kim, Myung-Ho;Park, Kweon
    • The KIPS Transactions:PartA
    • /
    • v.8A no.3
    • /
    • pp.235-244
    • /
    • 2001
  • Development of network and computer technology results in many studies to use physically distributed computers as a single resource. Generally, these studies have focused on developing environments based on message passing. These environments are mainly used to solve problems for scientific computation and process in parallel suing inside parallelism of the given problems. Therefore, these environments provide high parallelism generally, while it is difficult to program and use as well as it is required to have user accounts in the distributed computers. If a given problem is divided into completely independent subproblems, more efficient environment can be provided. We can find these problems in bio-informatics, 3D animatin, graphics, and etc., so the development of new environment for these problems can be considered to be very important. Therefore, we suggest new environment called InterCom based on a proxy computing, which can solve these problems efficiently, and explain the implementation of this environment. This environment consists of agent, server, and client. Merits of this environment are easy programing, no need of user accounts in the distributed computers, and easiness by compiling distributed code automatically.

  • PDF

Study for the Maximum Bipartite Subgraph Problem Using GRASP + Tabu Search (Maximum Bipartite Subgraph 문제를 위한 GRASP + Tabu Search 알고리즘 연구)

  • Han, Keunhee;Kim, Chansoo
    • KIPS Transactions on Software and Data Engineering
    • /
    • v.3 no.3
    • /
    • pp.119-124
    • /
    • 2014
  • Let G = (V, E) be a graph. Maximum Bipartite Subgraph Problem is to convert a graph G into a bipartite graph by removing minimum number of edges. This problem belongs to NP-complete; hence, in this research, we are suggesting a new metaheuristic algorithm which combines Tabu search and GRASP.

Automatic generation of polynomial orderings in rewrite systems (Rewrite System에서 다항식 순서의 자동생성)

  • Lee, Jeong-Mi;Seo, Jae-Gwon;Wi, Gyu-Beom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 /
    • v.6 no.9
    • /
    • pp.2431-2441
    • /
    • 1999
  • Equations are widely used in representing information. One of the basic questions about equations is to determine whether a given equation follows logically from the set of equations. Rewrite systems are one of the method to answer many instances of this problem. A rewrite system simplifies a given term by applying rewrite rules successively. Hence it is important that the process of simplification does not go on indefinitely. One of the methods to check whether a rewrite system terminates (that is, the rewrite system does not go on indefinitely) is polynomial orderings. A polynomial ordering assigns an appropriate polynomial to each function symbol. However, how to assign polynomials to function symbols is not known. We propose an automatic way of generating polynomial orderings using genetic algorithms.

  • PDF

Reservation scheduling technique for customer preference (고객의 선호도를 고려한 예약 스케줄링 기법)

  • Kim, Jin-Bong;Baek, Cheo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4.05a
    • /
    • pp.553-556
    • /
    • 2004
  • 복합 스케줄링 작업은 탐색 공간이 방대하므로 단순 스케줄링을 통한 방법으로는 최적해를 찾는 것은 쉽지 않다. 복합 스케줄링 문제를 해결하는 기법들 중에서 사용자의 선호도를 고려한 기법은 제약만족문제와 객체지향개념을 스케줄링에 적용하여 복합 스케줄링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은 사용자의 선호도를 고려한 기법을 예약 문제에 적용하여 예약 시에 일어날 수 있는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특히 고객들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 고객들의 선호도를 고려하여 스케줄링을 한다. 고객의 선호도를 고려한 예약 스케줄링 기법은 객체 지향 개념을 기반으로 하여 각 객체들이 사건들을 가지고서, 이 사건들을 주어진 제약들에 만족하도록 보드에 배정하는 기법이다. 각 객체들은 전체적인 만족도를 고려하면서 그 객체들의 우선순위에 따라서 자원을 배정하고, 자원에 대한 객체의 선호도 차이를 가질 수 있게 하였다. 예약 스케줄링을 할 때 제약은 전역제약과 지역제약으로 구성된다. 보드에 대한 정의와 모든 사건들에 대한 정보를 전역제약으로 사용하고, 각 객체가 가지는 보드의 슬롯들에 대한 선호도를 지역 제약으로 사용한다. 사건의 배정을 실패하지 않고 백크래킹을 최소화하도록 앞을 보는(look-ahead) 백트래킹 기법을 사용하여 전체 객체들의 만족도를 높였다.

  • PDF

Planning Capability of Action Selection Network for Generating Optimal Behaviors of Agent (에이전트의 최적 행동 생성을 위한 행동선택 네트워크의 계획 기능)

  • 민현정;김경중;조성배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04c
    • /
    • pp.473-475
    • /
    • 2003
  • 최근 빠른 시간에 행동을 표현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 반응형 시스템과 최적화된 시퀀스를 생성할 수 있는 계획에 기반만 시스템을 통합하기 위한 하이브리드 시스템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행동 네트워크 구조는 센서와 목적에 대한 외부연결과 행동들 사이의 내부연결을 통해 수동적으로 설계되지만. 자동적으로 행동을 생성할 수 있고 복잡한 문제에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동 에이전트의 행동을 생성하기 위한 최적화된 방법을 찾는 문제에 대해 이 행동 네트워크에 계획 기능을 부가함으로 행동 시퀀스를 최적화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행동 네트워크는 입력된 정보와 목적 정보를 가지고 다음에 수행할 행동을 선택하여 각 상황에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가지는 행동만을 선택한다. 이 행동 네트워크에서 선택된 모든 행동들을 몇 단계 앞서 수행시켜 가장 좋은 결과를 가져올 행동으로 다음의 행동을 선택하는 방법을 통하여 복잡하고 불확실한 환경에서 주어진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전체적인 최적 행동 시퀀스를 생성할 수 있다. Khepera 이동 로봇을 이용한 실험을 통해 제안한 행동 네트워크에 계획을 이용한 방법이 행동 네트워크 구조에서보다 더 적은 행동 시퀀스로 목적을 달성함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