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문자 기호

Search Result 117,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Extraction of Vectoring Regions in Color Map Image (칼라지도영상에서의 벡터링 영역 추출 방법)

  • 김성영;유윤주;한영미;허봉식;김민환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1998.10a
    • /
    • pp.266-271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칼라지도영상으로부터 GIS의 벡터링 과정에 사용할 벡터링 영역(도로, 해안선, 등고선 등)을 추출하는 방법에 대해 연구하였다. 입력영상으로는 트루칼라영상을 사용할 경우 추출 영역의 칼라가 비교적 균일하게 분포되지만 데이터량이 방대하여 처리에 어려움이 있어 현실적이지 못하므로 이를 양자화하여 256칼라 영상으로 변환한 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추출 단계에서는 Lab칼라공간에서 mahalanobis 거리 및 방향성 마스크를 사용하여 다양한 칼라 분포를 흡수할 수 있도록 하여 배경 영역을 배제하면서 연결성이 있는 추출결과를 얻을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추출된 결과를 원영상과 중첩해 보면서 기호, 문자 등의 요소로 인해 끊어진 영역이나 추출시 발생되는 피할 수 없는 잡영을 편집하여 제거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였다. 추출된 결과는 벡터링 작업에 직접 사용 가능한 형태로 추출되도록 하였는데 실제 벡터링 작업에 다양한 추출영역을 사용해 봄으로써 이를 검증하였다.

  • PDF

A Study on Vehicle License Plate Segmentation using Iterative Labeling (반복레이블링기법을 이용한 통합차량번호판의 문자영역화에 관한 연구)

  • Koo Kyung-Mo;Jung Ho-Young;Yoon Hee-Ju;Cha Eui-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4.11a
    • /
    • pp.923-926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현재까지 도입된 세 가지 종류의 차량번호판의 구조적 특징을 파악하여 이를 구분하고, 반복레이블링기법을 이용하여 각각의 번호판에서 일련번호를 영역화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또한 차량번호판이 가지는 구조적인 특징을 이용하여 용도기호, 차종기초 및 지역명을 영역화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 PDF

A Study on the Mathematics Textbooks In First Curriculum in South of Korea (제1차 생활 단원 중심 초등학교 수학교과서 재조명 연구 - 1학년 교과서를 중심으로 -)

  • Cho, Young-Mi
    •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 /
    • v.16 no.1
    • /
    • pp.167-183
    • /
    • 2012
  • In this paper I analyzed mathematics textbooks of elementary school in 1st curriculum. I found that they used the natural closed items and children's play. And they also delayed the introduction of the symbol and letters. Finally they had the system to practice what students learned repeatedly.

  • PDF

A Semi-Automatic Recognition System of Hand-written Cable Drawing (손으로 그려진 통신망 관로도의 반자동 인식 시스템)

  • 남지연;김석태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1998.05a
    • /
    • pp.87-91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통신망 관로도상 정보의 자동인식 및 사용자의 반자동 입력으로 전자 통신망 도면을 작성하고 통신망의 설비정보를 관리자에 의해 입력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고 통신망 설비의 관리에 이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한다. 이를 위해 먼저 손으로 작성된 관로도에서 버튼 업(botton up) 처리로 범례정보에 속하는 기호 정보와 선로 정보를 자동인식하고 기타정보는 사용자가 반자동 입력하여 이를 기초로 새로운 전자 통신망 관로도를 작성한다. 또한 통신망 설비의 관리에 기초가 되는 문자정보는 관리자의 요구에 따라 입력하여 통신망 설비의 관리에 사용할 수 있도록 데이터베이스화 만다. 본 방법에서는 통신망 관로도가 갖는 사전정의 충분한 이용과 기타 정보의 반자동 입력으로 도면의 복잡도에 관계없이 자동화된 도면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설비정보는 관리자에 의해 반자동으로 추가되어 관리되므로 통신망 설비를 용이하게 관리하는 기초가 된다. 시스템 구축을 통하여 그 결과를 고찰한다.

  • PDF

전주지역 중학생의 음료 섭취 실태와 식생활 태도에 관한 연구

  • 송문자;안은미;손희숙;김숙배;차연수
    • Proceedings of the KSCN Conference
    • /
    • 2003.11a
    • /
    • pp.1063-1063
    • /
    • 2003
  • 본 연구는 중학생들의 음료기호와 빈도 등에 따른 음료 섭취 실태를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전주시에 재학하고 있는 중학생으로서 남학생 303명, 여학생 276명을 조사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음료섭취의 빈도와 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다음과 같다. 물은 하루 평균 8.55회 섭취하였으며, 우유 및 요구르트 3.01회, 스포츠 음료는 2.13회, 탄산음료는 1.93회, 과일 및 야채 쥬스는 일주일에 1회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탄산음료 및 스포츠음료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물과 우유 및 쥬스와 전통음료에서는 남학생과 여학생이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학생들은 식사시 주로 물을 마시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우유를 마시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 실태에 따른 음료의 섭취는 규칙적인 운동이나 3시간 이상 운동 시 1시간 이하 운동시보다 탄산음료 또는 스포츠음료 및 우유와 요구르트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료를 마시는 때는 주로 운동시였고 그 다음으로 쉬는 시간에 스낵과 함께 마시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잘못된 음료섭취에 대한 학생과 학부모를 대상으로 영양교육이 필요하며 학교차원에서의 정책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PDF

A Machine Learning Approach for Automatic Protein Name Extraction from Journal Articles (기계학습 알고리즘에 근거한 단백질 이름의 자동 추출)

  • 김정호;백은옥;이공주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04b
    • /
    • pp.259-261
    • /
    • 2004
  • 생물학 분야의 문헌으로부터 유전자 및 단백질 이름을 추출하는 기술은 바이오 텍스트 마이닝 분야의 기반 기술로 그 중요성이 점차 증대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생물학 분야 문헌의 초록으로부터 하나의 토큰으로 구성된 single gene name은 물론 여러 개의 토큰으로 이루어진 multi gene name까지 유전자나 단백질의 이름을 자동으로 추출하는 시스템 TagGeN(Tagger for Gene Name)을 제안한다. TagGeN은 기존의 태거와 달리, 문자나 숫자 이외의 기호를 포함한 유전자나 단백질 이름의 품사 처리에 있어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 여러 토큰으로 이루어진 이름의 인식에 있어 나란한 두 토큰이 갖는 태그 정보를 이용한 조건부 확률에 근거하여 Markov 모델을 도입한다. 위와 같은 개선방안을 구현한 TagGeN은 성능면에서 기존의 유사시스템에 비해 recall 20.8%, precision 4.7%의 성능향상을 보임으로써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론의 효과를 입증한다.

  • PDF

Tab sheet recognition system using OpenCV (OpenCV 를 활용한 타브 악보 인식 시스템)

  • Min-Seok Lee;Seung-Woo Kim;Hyeok-Gyu Choi;Seung-Hyun Se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3.05a
    • /
    • pp.743-744
    • /
    • 2023
  • 타브(TAB) 악보는 주로 현악기에서 쓰이는 악보로,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오선보 대신 악기의 줄 수만큼 선을 긋고 그 선 위에 프렛의 위치를 숫자 또는 문자로 표기한 형식의 악보이다. 본 논문에서는 입력된 PDF 형식의 타브 악보에서 OpenCV 를 사용하여 음표 및 악상 기호를 인식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 시스템은 사용자가 인식을 원하는 PDF 형식의 악보를 입력하면 PDF 파일을 PNG 파일로 변경한 뒤, 이를 OpenCV 를 활용하여 음표의 길이, 프렛의 위치 등 연주에 필요한 요소들만 객체 검출한 뒤 Tesseract 로 인식한다.

Research Trends and Approaches to Early Algebra (조기 대수(Early Algebra)의 연구 동향과 접근에 관한 고찰)

  • Lee, Hwa-Young;Chang, Kyong-Yun
    •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 /
    • v.20 no.3
    • /
    • pp.275-292
    • /
    • 2010
  • In this study, we discussed the way to teach algebra earlier through investigating to research trends of Early Algebra and researching about nature of subject involving algebra. There is a strong view that arithmetic and algebra have analogous forms and that algebra is on extension to arithmetic. Nevertheless, it is also possible to present a perspective that the fundamental goal and role of symbols and letters are difference between arithmetic and algebra. And, we could recognize that geometry was starting point of algebra trough historical perspectives. To consider these, we extracted some of possible directions to approaches to teach algebra earlier. To access to teaching algebra earlier, following ways are possible. (1) To consider informal strategy of young children. (2) Arithmetic reasoning considered of the algebraic relation. (3) Starting to algebraic reasoning in the context of geometrical problem situation. (4) To present young students to tool of letters and formular.

  • PDF

The Emotional Expression Character study of Utilizing Advertising Media (문자를 활용한 매체광고의 감성적 표현)

  • Kim, Young-Kook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0 no.3
    • /
    • pp.166-174
    • /
    • 2010
  • As the speed of social change consumers' buying patterns change, with an effective and competitive means of communication is an effort to find ads world. Characters have to maximize its own image, the character font used for the situation fits perfectly expressed in the formative Calligraphy differentiated pay plan as part of Calligraphy is considered. People feel in the hand by writing letters that can not be standardized as a strong symbol and symbolism, and the appeal and beauty, dynamic motion, mystery, and can be expressed. Design disciplines across all areas of Calligraphy extensive coverage, digital coolness of the hard preparation for the soft and warm lyricism analogue availability is required to meet contemporary needs. Media ads that emphasize the use of the Calligraphy emotional representation of the contents of the ads favorable to improve cognitive function, attention, recall of positive affect and, therefore, character-driven emotional expression as an art communications capabilities with one of the media is situated in the heart of the culture.

A study on the humanistic measure about cultural changes of voice recognition technology (음성인식기술의 문화변동에 대한 인문학적 대응에 관한 연구)

  • Yuk, Hyun-Seung;Cho, Byung-Chul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3 no.8
    • /
    • pp.21-31
    • /
    • 2015
  •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This space is for the abstract of your study in English. Recently, advancements in voice recognition technology lead to a new oral cultural era. Text based on new oral cultures, can bring about a cultural revolution. This research is rooted within the humanistic approach, including oral and text. The goal of the research is the humanistic measurements in regards to these cultural issues. Just like the complementary relationship between oral and text for the future. First of all, we will discuss the aspects that have resulted in the change between a text culture to an oral culture. After checking these changes with regards to voice recognition technology, we will be able to discuss the possibilities and problems of this cultural change. We discussed expected outcomes, such as the complementarity of speaking and writing, the expansion from the private culture to the public culture, the possibilities of a simultaneous concurrency. We also discussed the necessity such as a new semiotic approach of the voice and preparation for the expansion of the world of life. Specifically, the necessity for the advancement and control of the Korean culture against the dominance of a global corporation will be explored. In this study, basic research will be undertaken to look at the possibility of the new voice recognition technology and cultural changes, that are expected to be able to be effectively utilized and continue into more detailed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