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무용

검색결과 639건 처리시간 0.03초

무용정보 시스템 구축을 위한 국내 web 무용 정보 및 이용자 분석 (A Study on The Analysis of Web Dance Information and Its Users to Build A Web-Based Dance information System)

  • 이춘실;이선희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2000년도 제7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143-146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국내 무용인들의 정보요구를 수렴한 학술정보 시스템의 구축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현재 운영되고 있는 국내 web 무용정보의 정보량과 품질을 분석하였고, 설문조사를 통해 무용정보 시스템의 실질적인 이용자인 국내 무용인의 정보이용 현황 및 정보요구를 분석하였다. 1999년 8월 현재 국내 무용 web site는 68개이고, 이중 98.6% 가 구축하고 있는 web 문서의 수는 40 페이지 미만이었다. 시스템과 이용자 인터페이스 측면과 정보제공 측면으로 품질을 평가한 결과 대부분이 개략적이고 형식적으로 구축되어 이들로부터 유용한 정보를 입수하는 것은 기대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 국내 무용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대부분의 무용인들은 web에서 무용정보를 이용하는 것을 중요하다고 느끼고 있으나, 국내 web 무용정보가 부실하기 때문에 이용률이 저조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무용인들에게 보다 실질적이고 효과적인 무용정보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 기존 국내 Web 무용정보를 분석하여 문제점과 개선점을 제시하였고, 실질적인 국내 무용인의 구체적인 정보요구를 파악하였다.

  • PDF

무용사회화 주관자가 무용전공대학생의 무용참가 및 무용성취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n Dance Participation and Accomplishment of Dance Socialization's Agent)

  • 김경식;현보람;김정련;윤민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0호
    • /
    • pp.189-199
    • /
    • 2013
  • 이 연구는 무용사회화 주관자가 무용전공생의 무용참가 및 무용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는 2013년 현재 4년제 대학 무용학과에 재학 중인 무용전공생들을 모집단으로 선정한 다음, 유의표집법(Purposive sampling)을 이용하여 265명을 표집 하였다. 타당도 및 신뢰도는 요인분석 및 신뢰도분석을 통해 검증하였으며, 신뢰도는 계수는 .779이상으로 나타났다. 자료처리는 SPSSWIN 18.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회귀분석 등이 활용되었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사회화 주관자인 부친, 모친, 형제자매, 친구, 학교교사는 무용전공생의 무용참가에 영향을 미친다. 둘째, 무용사회화 주관자인 부친, 모친, 형제자매, 친구, 학교교사는 무용성취에 영향을 미친다. 셋째, 무용전공생의 무용참가는 무용성취에 영향을 미친다.

무용지도자의 유형에 따른 지도자 신뢰도에 관한 논의 (A Discussion on Trust in Leaders by Types of Leaders in Dance Major)

  • 강지혜;안병순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8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289-290
    • /
    • 2018
  • 본 연구는 강지혜의 '고등학교 무용전공 지도자의 지도유형과 지도자 신뢰 및 만족의 관계 연구'를 바탕으로 한 무용지도유형과 지도자 신뢰도의 관계에 대한 논의이다. 기존의 연구는 2010년 설문조사를 통해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무용전공생과 무용지도자의 관계를 논의를 통해 탐색하고 분석함으로써 실기 수업에 있어 무용수행 효율성을 높이고 무용지도자 역할을 강화하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연구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논의에 따르면 빠른 속도로 변화하고 있는 융복합 사회 속에서 교육을 받는 학생들에게 무용지도자의 신뢰를 높이며 교육이 획일적인 지도자 중심의 지도보다는 학생들의 의견을 수용하여야 하는 무용지도자야하며, 학생들에 대한 세심한 배려와 상호작용하는 것은 무용전공생에게 지도자에 대한 신뢰와 무용지도자의 지도효율성과 무용수행도 높아질 수 있음과 동시에 무용지도자의 역할이 강화될 것이다.

  • PDF

무용지도자의 교육지원이 지도자신뢰 및 무용애착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ance Instructors' Education Support on Instructor' Trust and Dance Attachment)

  • 김정련;김명주;윤민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1호
    • /
    • pp.145-154
    • /
    • 2012
  • 이 연구는 무용지도자의 교육지원과 지도자신뢰 및 무용애착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 경기 대전 충남지역에 소재한 무용학과 중 한 지역에서 1개교씩 선정하였다. 표본추출방법은 유의표본추출법으로 총 276부의 자료 중 262부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처리 방법은 SPSSWIN 18.0을 이용하여 요인분석과 신뢰도분석, 다중회귀분석, 경로분석 등의 통계기법이 활용되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지도자의 교육지원은 지도자신뢰에 영향을 미친다. 둘째, 무용지도자의 교육지원은 무용애착도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셋째, 지도자신뢰는 무용애착도에 영향을 미친다. 넷째, 무용지도자의 교육지원은 지도자신뢰를 통해서 무용애착도에 영향을 미친다. 특히, 무용지도자의 교육지원이 무용애착도에 미치는 영향보다 무용교육지원이 지도자신뢰를 통하면 무용애착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 즉 지도자신뢰는 무용교육지원과 무용애착도를 매개하는 중요한 변수임을 알 수 있다.

무용전공대학생의 무용사회화 주관자와 무용개입 및 무용성취노력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Dance Accomplishment Effort and Intervention, Dance Socialization Agent Dance Major College Student)

  • 백순기;김현태
    • 산업융합연구
    • /
    • 제19권3호
    • /
    • pp.107-116
    • /
    • 2021
  • 본 연구는 무용전공대학생의 무용사회화 주관자, 무용개입, 무용노력 변수간의 관계를 분석·규명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도 소재 무용전공 대학생으로 하였으며 유의표집방법을 이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사회화 주관자는 무용개입에 영향을 미친다. 둘째, 무용사회화 주관자는 무용성취노력에 영향을 미친다. 셋째, 무용개입은 무용성취노력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무용인들의 적극적인 노력을 통해 세월이 흘러 후손들에게 전해줄 수 있는 문화유산을 위해서 국가적 차원의 지원을 비롯해 산·학을 연계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 마련이 뒤따라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무용사회화 주관자가 무용참가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Dance Socialization's Agent on the Dance Participation)

  • 김경식;현보람;김정련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3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237-238
    • /
    • 2013
  • 이 연구는 4년제 무용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무용사회화 주관자가 무용참가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총171명의 무용전공대학생을 유의표집 하였다. 통계 처리는 SPSSWIN18..0을 활용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무용사회화 주관자인 부모, 형제자매, 친구, 학교교사, 대중매체 등이 무용참가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 PDF

국내 무용영화의 발전 가능성 연구 - '서울무용영화제'와 '댄스필름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Domestic Dance Film's Development - Focusing on 'Seoul Dance Film Festival' and 'Dance Film Project')

  • 이은주;정의숙
    • 트랜스-
    • /
    • 제4권
    • /
    • pp.37-63
    • /
    • 2018
  • 무용과 영상 테크놀러지의 결합으로 시작된 무용영화는 새로운 장르로 자리매김하며 발전되어오고 있다. 해외에서는 이미 1950년대부터 실험적인 무용영화가 창작되었고 댄스필름협회가 조직되었으며 많은 무용영화제가 개최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 무용영화라는 장르에 대한 인식과 창작활동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것은 얼마 되지 않았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서울무용영화제' 개최와 '댄스필름 프로젝트'의 창작적 실험은 국내의 무용영화 발전에 중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무용영화에 대한 개념과 발전과정, 해외 여러 무용영화제와 '서울무용영화제'의 현황과 특징을 살펴보고, '서울무용영화제'와 '댄스필름 프로젝트'의 역할과 기능, 그리고 이들의 협업으로 인한 기대효과를 분석하며 국내 무용영화의 발전 가능성에 대해 논의했다. '댄스필름 프로젝트'는 댄스필름 제작의 교육과 실험의 장으로, '서울무용영화제'는 무용영화 제작자 발굴, 작품 상영, 관객과의 대화, 국제교류, 유통 등의 플랫폼이 된다. 무용영화제는 무용영화의 과거와 현재의 흐름을 인식하고 미래를 전망해 볼 수 있는 살아있는 컨텐츠로서의 가치를 내재하고 있다. 이 두 단체의 상생과 발전은 국내 무용영화 발전에 긍정적인 역할을 다 할 것이라 기대된다.

  • PDF

무용전공 대학생의 자기 관리, 무용활동만족, 공연자신감의 관계 (Relationships between Self-management, Dance Activity Satisfaction and Dance Performance Confidence)

  • 이화석;최재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210-222
    • /
    • 2013
  • 본 연구는 무용전공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자기관리와 무용활동만족 그리고 공연자신감과의 관계를 규명하여 무용지도자나 교육자들에게 학생들의 무용성취 능력 향상과 공연자신감을 고취시키기 위해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자료를 확보하기 위하여 2012년 11월 5일 부터 12월 7일까지 전국 4년제 대학교에서 무용을 전공하고 있는 대학생 1-4학년을 모집단으로 총 350명을 표집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중 동일한 응답이 5문항 이상 반복되거나, 5문항 이상 응답하지 않은 28명의 표본을 제외하고 최종분석은 322명의 자료가 사용되었다. 수집된 설문지는 통계 프로그램인 SPSS Version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은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절차와 자료 분석결과를 기초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자기관리의 훈련관리와 대인관계는 심리적, 환경적, 사회적, 교육적 무용활동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무용활동만족의 심리적, 환경적, 사회적, 교육적 무용활동만족은 무용공연 자신감과 무용활동 자신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관리의 훈련관리와 대인관리는 무용공연 자신감과 무용 활동 자신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용수 직업 능력에 대한 인식 비교 연구 (Study on Comparative Recognition Regarding Professional Dancers' Abilities)

  • 김이경;이재정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6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299-300
    • /
    • 2016
  • 청년실업 문제가 심각한 현대에 특히 무용부분의 사회진출과 취업은 매우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각 대학과 정부차원에서 대학 평가 등을 통해 취업을 장려하고 있는 실정이지만 예능계의 특수한 상황으로 전문적이지만 취업을 하기 위한 발판이나 환경에는 제도적, 환경적인 문제들이 있음을 문제 의식화하여 본 연구는 무용수 직업능력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무용 교수자, 학습자, 전문무용수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각 40명씩 총 120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직업 관련 인식도와 직업 관련 요구도를 조사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18.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를 실시하였고, 빈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취업 어려움에 대한 체감도가 교육가와 무용수는 높았으나 예비무용수들은 낮게 나타났다. 교육가들과 무용수들은 취업을 위해 전공 능력을 발휘하여야 하며, 인턴십 제도의 정착이 중요하다고 응답하였다. 그러나 예비무용수들은 무용 외에도 다양한 능력 개발의 필요성을 느낀다고 응답하였다.

  • PDF

무용공연 관람객의 관람 후 감정과 행동 분석 (An Analysis of the Post-viewing Emotion and Behavior on the Dance Audience)

  • 최청자;김형남;심현화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7호
    • /
    • pp.147-155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무용공연관람객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관람후 감정과 행동의 차이가 어떠한 가를 규명하기 위하여 서울과 경기도에 위치한 무용공연장을 이용하고 있는 관람객을 대상으로 참여자 280명을 표집하여 개인적 특성(직업, 관람횟수, 무용경험, 무용장르), 관람 후 감정(관람감정, 만족도), 관람 후 행동(탐색행동, 재관람 의향)의 변인에 대하여 설문조사 방법으로 SPSS 18.0 을 활용하여 분석되었다. 자료들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무용공연 관람객의 개인적 특성(직업, 관람횟수, 무용경험, 무용장르)에 따른 관람 후 감정(긍정적 감정, 만족도)의 차이가 관람횟수 변인에서 관람횟수가 높을수록 증가현상이 나타났다. 둘째, 무용공연 관람객의 개인적 특성(직업, 관람횟수, 무용경험, 무용장르)에 따른 관람 후 행동(탐색행동, 재관람 의향)의 차이가 모든 변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무용경험이 있는 집단, 관람횟수가 많은 집단, 예술가집단, 현대무용과 한국무용관람 집단에서 증가현상이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