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무대분장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5초

메이크업 분야별 특성을 반영한 교육 방향성 연구 (Orientation of Makeup Education in Consideration of Characteristics of Makeup Sector)

  • 오서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341-350
    • /
    • 2021
  • 본 연구는 메이크업 분야별 특성을 고려한 메이크업 교육 방향성에 초점을 두었다. 우선, 메이크업 교육의 이론적 근거가 되는 메이크업의 학문적 범주와 속성을 분석하였다. 유사한 메이크업 기술이 필요한 실무 분야를 5가지로 구분하여 각 특성과 핵심자질을 분석하였고, 전문가 심층인터뷰를 통해 그 연구결과를 검증하였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메이크업의 학문적 범주는 예술, 기술, 디자인, 보건, 과학, 의학 인문학 등과 관련되어 있다. 5가지 분야에 대한 분석은 대개 실무와 일치함을 알 수 있었지만, 무대 공연과 패션쇼 분야의 핵심자질은 많은 차이가 있었다. 공통적으로 가장 중요한 핵심자질은 기본 뷰티 메이크업, 기본 무대 분장, 기본 영상 분장 기술이었으며 특히, 헤어스타일링 기술에 대한 요구가 높았음을 알 수 있었다.

관상학에 근거한 성격유형별 무대 분장디자인 모형 연구 -눈썹과 눈 디자인을 중심으로- (Model for stage make-up design by personality types based on Physiognomy - Focused on eyebrows and eyes make-up design -)

  • 전인미;이혜주
    • 디자인학연구
    • /
    • 제20권1호
    • /
    • pp.273-286
    • /
    • 2007
  • 공연예술은 다양한 영역의 예술 분야가 총체적으로 결합된 장르이다. 무대 분장은 이러한 종합 예술기능의 한 요소이며 배우의 모습을 극중 등장인물로 변화시키고 시각적으로 확대 시켜주어 관객들에게 필요한 성격적 사실을 이해시키는 중요한 의사전달 수단의 역할을 한다. 이러한 극의 내용에 부응하는 극중 인물의 창조적인 분장을 위해서는 의도된 성격과 부합되는 시각적 표현을 위한 분장디자인의 입체적 연구가 필요하다. 하지만 아직도 등장인물의 성격 분장디자인 제작 시 보편적인 기준이 되는 성격 유형별 근거가 거의 없으므로 추상적 감각에 의존하거나 주관에 치우친 개인적 기술 능력으로 디자인을 하게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본 논문에서는 특히 분장디자인에서 중요한 "눈과 눈썹디자인"을 중심으로 이론적이고 보편적인 심리학적 성격유형을 극중 인물에 적용시킬 수 있는 성격유형으로 재구성하여 제시하고, 그에 따른 관상학에 근거한 기본적인 외형적 특징을 분석하여, 인물 성격의 표현을 위한 디자인의 틀을 구축함으로써 분장디자인 시 이를 바탕으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창조적이고 구체적인 모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분장디자인 제작 시 극중 인물의 성격을 이해하고 그 성격을 배우의 얼굴형에 맞게 표현하는 데 있어 보편적이고 체계화된 분장디자인 모형을 구축함으로써 실제 분장 디자인에 적용시키는데 그 의의를 가진다.

  • PDF

무대에 적용되는 성격분장에 관한 사례연구 - 연극 <샤이오의 광녀>를 중심으로 - (Case Study of Character Make-up for Stages - With a focus on the drama, Madwoman of Chaillot (La Folle de Chaillot) -)

  • 강은미;오인영
    • 복식
    • /
    • 제59권7호
    • /
    • pp.86-99
    • /
    • 2009
  • The audience of the performing arts enacted on the stage appreciate acting of the characters in a play to understand its plot, identify with the characters, and comprehend the message and subject matters of the play. Stage make-up in particular should assist audience in comprehending the story without overpowering or distracting the script. Stage make-up is a crucial means to visualize occupation, class, personality, and age of the characters. Thus it is an essential means in producing a high quality performance. The aim of the study is to examine character-emphasis make-up for a play by reviewing theories on the concepts and methods of the stage make-up. The methodology of the study was to analyze character make-up of the adopted play The Madwoman of Chaillot (La Folle de Chaillot) translated from the original French, as a case study. The technique and features of the character make-up of the play were examined, and functions of each factor of the character make-up depending on a role were also examin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stage make-up for creating and expressing a distinctive personality of the characters in a play must integrate environmental factors external to a performance such as lighting and scale of a venue. Moreover the stage make-up must adopt and reconstruct internal factors of the play such as interpretation of the original work, subject matters, interpretation of the script, character analysis based on the discussion with a director, and design setting.

뮤지컬 "노트르담 드 파리" - 조명.무대장치, 춤.분장연기 (Notre-Dame de Paris (musical) - Lighting.stage setting, dance.performance makeup)

  • 차영선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4년도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321-322
    • /
    • 2014
  • 원작이 뮤지컬 "노트르담 드 파리"로 변환되면서 관객에게 효과적으로 소구하기 위해 어떤 무대화(Mise en sc$\grave{e}$ne) 과정을 거치는지 관심을 집중해보도록 하겠다.

  • PDF

시대별 영화분장 특성에 관한 트랜드 분석 (Analysis on the Trend of the Characteristics of Film Makeup in Each Period)

  • 임희경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291-296
    • /
    • 2019
  • 영화 시장에서 분장은 산업의 발전에 따라 전문적인 기술의 다양한 분장 방법들이 선보이고 있다. 따라서 영화유형의 변화와 그에 따른 영화분장 트렌드 분석의 필요성이 요구 된다. 무성영화시대의 초기 분장 특징은 스테이지무대 메이크업 분장이 그대로 활용되었다. 유성영화시대의 분장 특징은 리얼리티를 살린 사실적이고 구체적인 분장이 표현되었으며 스트리트 분장, 캐릭터 분장, 특수효과 분장 및 CGI 분장을 볼 수 있다. 4차 산업의 발전으로 CGI특수효과는 영화의 배경뿐만 아니라 분장에서도 정교함과 사실적인 표현이 가능해 졌다. 영화에서 분장은 CGI분장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스트리트 분장, 캐릭터 분장, 특수효과 분장 등이 복합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따라서 다양한 분장 교육이 필요하며 향 후 국내 영화산업에서도 충분한 제정 확보로 특수효과분장 및 디지털 분장 기술부분의 교육 및 개선과 대책이 마련된다면 한국의 영화산업이 국내외 시장에서 더욱 활성화 될 것이라 사료된다.

무대 공연에 있어 성격유형별 분장디자인 모형 구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Model for Stage Make-Up Design in Art Performance by Personality Type)

  • 전인미;이혜주
    • 복식
    • /
    • 제57권8호
    • /
    • pp.99-113
    • /
    • 2007
  • The performing art represents joy, anger, sorrow and pleasure through acting and dance, and is told to be a composite art represented by make-up, setting, costume and props.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make-up is an important medium of stage art. Make-up in stage art is a kind of communication with audiences through understanding personalities of characters as demanded by scenarios. Due to the creative stage make-up which meets the character in the play relevant to these contents of the play, the conceptual study on stage make-up design for visual expression coincide with the intended character is needed. In this study, I investigate theoretical, universal, and psychological personality types by analyzing basic appearance features based on the physiognomy(face-reading) related from the psychological theories. And visualized through illustration according to personality types to apply for the characters in the play.

내부자와 관찰자의 중첩된 시각으로 본 뮤지컬 백스테이지의 다큐멘터리 사진 연구 (The Documentary Pictures on the Back Stage of Musical '42nd Street' from the Insider and Observer Point of View)

  • 박상원;양종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8호
    • /
    • pp.638-645
    • /
    • 2018
  • '브로드웨이 42번가'를 통해 극장과 공연 그리고 뮤지컬의 이면을 조망함으로 실상에 다가서고자 하였다. 관객과 일반인들이 상상할 수 있는 언론이나, 홍보물 또는 무대 위에 나타나는 범위의 피사체의 모습이 아닌 무대 뒤 편(Back Stage)의 모든 것들을 함께 공연하는 배우의 입장으로 접근하여 공연의 무대 세트, 분장실, 스토리의 한 사람의 눈으로 그 무대 뒤 삶의 공간의 모습들을 연출된 모습이 아닌, 사실 그대로의 모습을 기록했다. 본 연구의 공연장 백스테이지의 일상에 대한 다큐멘터리적 접근은 자료에 담긴 현재 이름 없는 뮤지컬 배우나 스태프들이 미래에 대중의 사랑과 관심을 받는 뮤지컬, 방송, 영화의 주인공 또는 스타나 주요 스태프로 성장하게 되면, 한 인물의 역사적인 자료로 많은 대중들에게 관심을 받을 수 있는 귀중한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뮤지컬 산업의 자료 측면에 있어서도 지금까지 홍보물이나 공연사진 등 최종 연출된 산출물로만 남겨지던 다큐멘터리 자료 수집유형에서 벗어나, 보다 사실적인 산업 자료로도 사용 될 수 있을 것이다.

무대분장이 공연자의 심리상태 교 공연수행에 미치는 영향 (The in Fluence of Stage Make-Up to Psychological Condition of Performers and Performance)

  • 류세자;박민여
    • 복식
    • /
    • 제55권7호
    • /
    • pp.51-61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function of make-up as an Important variable in terms of its influence to psychology of performers and outcome of their performance. From June to November 2004 performers in 4 types of fields, i.e., opera, musical, drama and dancing being performed in Seoul and Cheongju were chosen as subjects and totally 450 questionnaires were prepared and distributed and among them 416 were used as data for final analysis. For data analysis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T-test, one-way ANOVA, path analysis, chi-square test were conducted by means of SPS 12.0 and MOS 4.0 statistical programs and as ex post facto checking Duncan's multiful range test was conducted. Make-up is an important element in acting and it has great influence on level of psychological satisfaction of an individual. It was disclosed that psychological factor of concentration and lethargy have direct bearing on acting performance. In order to maximize actor or actresses performance skill perfect make-up is essential and role of make-up specialist can become a critical factor for inducing success in performance. Role and duty of make-up artists in terms of scope of their responsibility should be extended so that they may give their full support to the performers to be most successful in their performance.

공연에서 나타나는 '전이'와 배우의 '심리적 경계'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Performer's Transference and Mental Borderline in a Performance)

  • 김종구
    • 공연문화연구
    • /
    • 제25호
    • /
    • pp.57-89
    • /
    • 2012
  • 일반적으로 공연을 준비하는 배우들은 처음 텍스트(희곡)를 접하면서 배역과 배우 자신과의 경계를 허물려는 노력을 통해 일상의 공간에서 극중의 공간으로 이동하는 심리적 전이과정을 경험하게 된다. 이러한 '전이'는 실제로도 나타난다고 할 수 있는데 무대에 서기전까지 분장실이나 윙(무대에 등장하기 직전의 공간), 그리고 무대(관객을 접하는 공간)라는 물리적 공간이 그것이다. 공연을 하는 배우는 공연기간이 완전히 종료되는 순간까지 끊임없이 반복적으로 심리적 물리적 공간들을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각각의 공간으로 이동하는 것은 '전이'이며, 이 '전이'과정 속에서 배우들이 경험하게 되는 심리적 변화의 지점을 '심리적 경계'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심리적 경계'는 실제 배우들이 각각의 공간에서 전이되는 순간 느끼는 심리적 양상들을 통해 그 존재 자체를 유추할 수 있다. 배우의 '심리적 경계'를 알 수 있는 변화 양상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예가 바로 '긴장', '불안' 등으로 표출되는 '무대공포'인데, 연구에 따르면 가장 많은 수의 배우가 무대에 등장하기 직전의 공간에서 이 같은 심리적 양상을 경험하게 된다고 한다. 즉 회피의 감정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공연을 완성해 무대에서 구현하기까지 과정 중에서 배우가 경험하게 되는 심리적 물리적 공간과 이를 관통하는 전이과정에서 나타나는 '심리적 경계'와 배우의 심리적 변화에 대한 관계를 규명해보고자 한다. 첫째, 선행연구를 통해 심리적 경계개념을 이해하고 이를 기반으로 배우가 경험하는 '공간'과 그 전이에서 나타나는 '심리적 경계'에 대한 개념을 재정립하였다. 둘째, 공연과정에서 나타나는 '전이영역'을 물리적 공간과 심리적 공간으로 재분류하여 개념 정리를 하였다. 셋째, '심리적 경계'를 체험하는 배우들의 실제 사례 분석을 통해 긍정적 요소로 작용가능한 '경계'의 다각적인 활용방안을 모색해 본다. 공연을 하는 배우가 경험하는 심리적 현상은 무대공포 등의 부정적인 측면이외에도 긍정적인 측면도 있음을 부정할 수 없다. 전이 영역에서 일어나는 긴장이 배우에게 긍정적이고 에너지화로 발전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전이'와 '심리적 경계'의 관계에 대한 연구를 통해 공연중 배우가 경험하는 '심리적 경계'에서 실제 배우가 어떤 변화를 일으키며 심리상태가 유지되어 공연의 전 과정을 수행하는 것인지를 분석하여 무대공포, 부끄러움 등으로 발생하는 스트레스와 집중력을 확인하고 이를 기반으로 정체성의 다변화와 방어기제로 활용되는 무대 현존의 긍정적인 요소를 찾아본다.

<수궁가> 공연을 활용한 공연예술박물관 어린이 체험전시 사례 분석 (Analyzes the case of Performing Arts Museum of the children's experience exhibition in relation to the performance)

  • 하을란
    • 공연문화연구
    • /
    • 제36호
    • /
    • pp.473-504
    • /
    • 2018
  • 이 글은 국립극장 공연예술박물관에서 <수궁가> 공연을 활용하여 어린이를 대상으로 기획한 체험전시 사례를 분석한 것이다.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는 전시나 교육프로그램에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부분은 어린이가 프로그램의 진행 '대상'이 아닌 '주체'로서 그 내용 안에서 스스로 사고할 수 있는 힘을 기를 수 있도록 소통 가능한 방식의 프로그램이어야 한다. 이 글은 이러한 점을 염두에 두고 <수궁가> 공연을 전시에 연계하여 공연무대를 만드는 요소 중에서 '분장'이라는 부분을 체험으로 풀어냈던 전시사례를 분석한 것으로 그 사례를 소개하고 공유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이 전시의 주제가 됐던 <수궁가> 공연이 어떻게 전시로 활용되어 어떤 체험내용으로 구성되었는지 그 사례를 살펴보고, 공연과 연계한 어린이 체험 전시의 더 나은 방향에 대해 고민해보는 계기를 마련해보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