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zes the case of Performing Arts Museum of the children's experience exhibition in relation to the performance

<수궁가> 공연을 활용한 공연예술박물관 어린이 체험전시 사례 분석

  • Ha, Eul Lan (National Theater of Korea Museum of Performing Arts)
  • 하을란 (국립극장 공연예술박물관)
  • Received : 2018.01.10
  • Accepted : 2018.02.05
  • Published : 2018.02.28

Abstract

This article analyzes the exhibition of the experience for the children using the performance of the at the National Theater Performing Arts Museum. The important part of an exhibition or educational program for children should be a program that can be communicated so that the child can develop the strength to think for himself / herself as a 'subject' rather than a 'target' of the program.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case of exhibitions that solved the 'make-up' part of the performance stage by linking the performance of the concert with the experience in mind. In addition, I would like to take an opportunity to look at the case of how the performance of , which was the theme of this exhibition, was utilized as an exhibition and what kind of experiences it was composed of, and to think about the better direction of children's experience exhibition in connection with the performance.

이 글은 국립극장 공연예술박물관에서 <수궁가> 공연을 활용하여 어린이를 대상으로 기획한 체험전시 사례를 분석한 것이다.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는 전시나 교육프로그램에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부분은 어린이가 프로그램의 진행 '대상'이 아닌 '주체'로서 그 내용 안에서 스스로 사고할 수 있는 힘을 기를 수 있도록 소통 가능한 방식의 프로그램이어야 한다. 이 글은 이러한 점을 염두에 두고 <수궁가> 공연을 전시에 연계하여 공연무대를 만드는 요소 중에서 '분장'이라는 부분을 체험으로 풀어냈던 전시사례를 분석한 것으로 그 사례를 소개하고 공유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이 전시의 주제가 됐던 <수궁가> 공연이 어떻게 전시로 활용되어 어떤 체험내용으로 구성되었는지 그 사례를 살펴보고, 공연과 연계한 어린이 체험 전시의 더 나은 방향에 대해 고민해보는 계기를 마련해보고자 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