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se Study of Character Make-up for Stages - With a focus on the drama, Madwoman of Chaillot (La Folle de Chaillot) -

무대에 적용되는 성격분장에 관한 사례연구 - 연극 <샤이오의 광녀>를 중심으로 -

  • 강은미 (서경대학교 대학원 미용예술학과) ;
  • 오인영 (서경대학교 미용예술학과)
  • Published : 2009.08.29

Abstract

The audience of the performing arts enacted on the stage appreciate acting of the characters in a play to understand its plot, identify with the characters, and comprehend the message and subject matters of the play. Stage make-up in particular should assist audience in comprehending the story without overpowering or distracting the script. Stage make-up is a crucial means to visualize occupation, class, personality, and age of the characters. Thus it is an essential means in producing a high quality performance. The aim of the study is to examine character-emphasis make-up for a play by reviewing theories on the concepts and methods of the stage make-up. The methodology of the study was to analyze character make-up of the adopted play The Madwoman of Chaillot (La Folle de Chaillot) translated from the original French, as a case study. The technique and features of the character make-up of the play were examined, and functions of each factor of the character make-up depending on a role were also examin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stage make-up for creating and expressing a distinctive personality of the characters in a play must integrate environmental factors external to a performance such as lighting and scale of a venue. Moreover the stage make-up must adopt and reconstruct internal factors of the play such as interpretation of the original work, subject matters, interpretation of the script, character analysis based on the discussion with a director, and design setting.

Keywords

References

  1. 엠브레인 트렌드 모니터(http://www.trendmonitor.co.kr) '영화를 제외한 문화공연 관람 행태와 비용 조사'
  2. 송필석 (2006). 공연예술 관객 만족도에 관한 실증연구, 경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46-60
  3. 김봉천 (2001). 한국 TV드라마의 성격 분장에 관한 연구. 한성대학교 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73-74
  4. <극단 <<숲>> 대표 임경식> 2009.5.29~31 의정부 예술의전당 소극장(254석), 등장인물 총 24명, 16명(서경대학교 연극영화학과 재학생), 그 외 8명(전문배우)
  5. 선인(善人): 60대 여자 주인공 4명, 악인(惡人) : 남자 주인공 4명, 주변 인물: 넝마주의, 벙어리 영감, 흑인청소부, 삐에로, 구조원, 순경 등 24 명의 다양한 직업과 성격을 지닌 연기자가 출연함
  6. 강대영 (2001). 한국 분장예술. 서울: 지인당, pp. 8-9
  7. 박미정 (2003). 한국 분장의 변천과정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4
  8. 강대영. 앞의 책, p. 28
  9. 황윤정 (2002). 무대분장의 캐릭터 표현기법에 관한 연구. 대구카톨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3
  10. 강대영. 앞의 책, p. 30
  11. 김지은 (2003). 한국현대뮤지컬 공연의 분장에 관한 연구. 대구가톨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8
  12. 칼 알렌스워쓰 (1994). 연극만들기. 방태수역. 학고방, p. 323
  13. 김희정 (2004). 인상학적 이미지에 바탕을 둔 뮤지컬분장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25
  14. 돌출되어 보였으면 좋겠다고 생각하는 부위로 기본 베이스 색상보다 1~3단계 밝은 색을 사용하여 그라데이션을 함
  15. 들어가 보이고 싶거나 축소되어 보이고 싶은 부위로 기본 베이스 색상보다 1~3단계 어두운 색을 사용하여 그라데이션을 함
  16. 뚜렷한 콧날을 표현하기 위해서 양 미간 사이에서 코볼까지 Y자형으로 양 눈썹산에 연결하듯 그려주며 배역의 성격에 맞게 코의 길이와 형태는 변형이 가능함
  17. 박희진, 오인영 (2008). '베트맨'과 '다크나이트' 영화 속의 악당 '조커'의 분장요소 비교연구. 한국메이크업 디자인학회지, 4(3), p. 205
  18. 김지은 (2003). 한국 현대뮤지컬 공연의 분장에 관한 연구. 대구가톨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7
  19. 이혜진 (2006). 영화 장르에 따른 배우 캐릭터 이미지 분석.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1-24
  20. 오인영 (2004). 캐릭터 메이크업으로서의 수염분장의 역할과 유형별 기법 및 특징. 한국인체예술학회지, 5(1), pp. 234-241
  21. 임묘진 (2003). 한국영화 속에서 유행을 주도하는 여성의 캐릭터 유형연구.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22-28
  22. 이경자 (2004). 영상코드로 작동하는 분장의 이데올로기적 함의.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4
  23. 40~50대는 전체적으로 주름과 굴곡이 깊어짐, 머리에는 새치가 나기 시작. 50~60대는 얼굴 혈색이 없어지고 피부의 탄력이 약해짐, 머리카락은 반백으로 주름과 굴곡은 강해짐. 60~70대는 머리카락이 흰 반백으로 변하고 입술에 주름이 생기고 근육이 아래로 쳐지게 되며 의치를 하게 되고 얼굴에 반점이 생기기 시작. 70대 이후는 머리가 백색. 숱이 적어지고 전체적인 골격이나 주름, 피부 등이 쇠약해짐. 허리가 굽고 몸에 살이 빠져 병약해 보임
  24. 자료검색일: 2009.6.20, 자료출처: http://image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idetail&rev=5&query=%C7%D2%B8%D3%B4%CF&from=image&ac=-1&sort=0&res_fr=0&res_to=0&merge=0&spq=1&start=1007&a=pho_1&f=tab&r=1007&u=http%3A%2F%2Fcafe.naver.com%2Fa350club%2F89176&thumbnail=http%3A%2F%2Fthumbview02.search.naver.com%
  25. 강대영 (2001). 앞의 책, p. 55
  26. 분장시 흰머리 표현을 하기 위해 바르는 용액으로 템플 화이트라고 불리우며 흰색과 아이보리 색이 있음
  27. 광녀(狂女): 미친여자 http://www.google.co.kr/dictionary, 극중에서 광녀는 예술과 평화를 사랑하며, 열정적이고 자기애가 강한 여성을 빗댄 별칭
  28. 고체화된 제품으로 커버력이 강하고 지속력이 우수하며 광택이 없기 때문에 포트 및 영상, 무대 분장 등 전문가용으로 사용하기 적합한 제품
  29. 선을 긋거나 면을 채울 때 붓이나 스펀지 또는 손으로 펴서 사용하는 유성 컬러로 색상이 선명한 장점이 있지만 투명 파우더로 한번 덧 발라주어야 번짐을 막고 밀착력이 우수해짐
  30. 동일색상에서 명도의 차이만 달리한 배색으로 안정적이고 편안한 느낌을 줌
  31. 머리에 부피감을 주기 위해서 두피를 향해 수직으로 빗질하여 머리를 부풀리는 스타일
  32. 루이 15세의 애첩인 마담 풍파두르 (Madame de Pompadour)가 한 머리형으로서 머리카락을 뒤로 빗어 넘긴 납작한 머리에 레이스로 장식된 작은 캡을 쓰거나 리본을 매어 정식한 스타일
  33. 웨이브가 시작되는 기시점( eD )에서 정상((9, 크레스트)을 지난 융기점(c. 릿지)의 폭, 반바퀴의 웨이브
  34. 단조로운 배색에 대조색을 배색하여 강조하는 배색기법으로 주조색과 대조적인 색상 또는 톤(명도, 채도)을 사용함으로써 강조점을 부여함
  35. 아이라이너의 한 종류이며 번짐 없이 섬세한 작업이 가능하며 오래 지속되며 내수성, 방수성이 강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