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목기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24초

한국전통수공업의 육성과 방향 (In Search of Developmental Strategies for Korean Traditional Handicraft Industry: Forcused on the Woodenware Handicraft)

  • 한홍렬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257-292
    • /
    • 2003
  • 본 연구는 목기 수공업을 통해서 전통 수공업의 현황과 육성정책 및 방향을 모색하였다. 인류는 석기문화를 형성하였고 아울러 목기문화도 병용하였다. 목기문화는 보존이 불가능하여 곧 칠기 출현의 계기가 되었다. 옻칠은 방부, 방수의 역할을 함으로써 해서 오랫동안 보존이 가능하게 되었다. 목기는 삼국시대, 고려, 이조시대를 통하여 상용으로 널리 쓰였으나, 1900년대 이후 스테인 그릇, 플라스틱 그릇 등 저가의 상품이 등장하면서 쇠퇴의 길을 걸었으나 전통산업으로서 목기수공업을 고부가가치의 산업으로 육성할 수 있는 정책과 방향이 모색되어야 한다.

  • PDF

교수요목기 초등수학교과서 『셈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athematics Textbook 'Saembon')

  • 조영미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485-503
    • /
    • 2017
  • 이 논문에서는 교수요목기에 발간된 셈본 교과서가 여러 종류임에 주목하고 셈본을 둘러싼 역사적 배경과 그 변화를 살펴보았다. 셈본교과서는 크게 미군정 시기 셈본 교과서와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의 셈본 교과서로 대별될 수 있었다. 두 종류의 셈본은 외형, 체제, 수학 내용 지도 방식 등에서 차이가 났다. 후자는 전자에 비해 한층 발전된 교과서 체계를 갖추었으며, 수학 내용에 대한 설명도 상당히 더 상세하고 친절하였다. 특히 후기 셈본 교과서는, 제1차 교육과정의 주요 특징이라고 일컬어지는'생활단원학습'을 지향하였다.

  • PDF

교수요목기 초급중학교 수학교과서의 내용 구성과 전개 방식 분석 - '직선' 관련 내용을 중심으로 (Analysis on Korean Middle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Published in the Syllabus Period Centered on the Concept 'Straight Line')

  • 도종훈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95-108
    • /
    • 2011
  • 이 논문에서는 광복 이후 우리나라 현대 수학교과서의 출발점라고 할 수 있는 교수요목 기 수학교과서의 내용 구성과 그 전개 방식을 '직선' 관련 내용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그로부터 60여년이 지난 현행 수학교과서와 비교하여 시사점을 논의한다.

우리나라 교수요목기의 중·고등학교 수학 교과서 실태 연구 (A study on actual state of Korean second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in the period of syllabus)

  • 박교식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175-193
    • /
    • 2019
  • In this study, middle and high school authorized mathematics textbooks which were used in the period of syllabus are traced. Since the first appearance of authorized textbooks in 1947, 11 types of authorized textbooks written by eleven teams of authors have been used in the period of syllabus. Among them, 5 types correspond to today's middle school textbooks, while 6 types correspond to a combination of today's middle and high school textbooks. Nor were all of them used until 1955. There were changes such as suspending publication, changing publishers, or cancelling authorization.

하남 이성산성 출토 목제품의 보존 처리 (Conservation for Wooden Objects excavated from Isong Sansung Fortress in Hanam, Korea)

  • 김수철;손준혁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12권
    • /
    • pp.47-52
    • /
    • 2011
  • 한양대박물관에서 의뢰받은 이성산성 출토 목제품의 보존처리를 실시하였다. 보존처리에 앞서 수종조사를 실시한 결과 소나무류 1점(목제품)과 상수리나무류 11점(목제품 10점, 목기편 1편)이었다. 목기편 1점에 대한 칠도막 분석결과 바깥쪽은 4번, 안쪽은 3번의 칠을 한 것으로 관찰되며, 총 칠의 두께는 100 ㎛정도로 확인되었다. 보존처리는 고분자량의 PEG#3,350 수용액(10~45%까지)에 함침처리하여 물리적 강도를 부여한 후 진공동결건조를 실시하였다.

교수요목기부터 2007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까지 학교 수학 용어의 표현 변화 분석 (Analysis of Changes in Expression of School Mathematics Terminologies from the Syllabus Period to the 2007 Curriculum)

  • 도종훈;박지현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3권4호
    • /
    • pp.491-503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의 초, 중, 고등학교에서 사용되는 수학 용어가 해방 이후 현재까지 어떻게 변해 왔는지 분석한다. 이를 위해 2007 개정교육과정에 제시된 수학 용어를 기준으로 교수요목기부터 현재까지 사용되었거나 사용 중인 수학 용어들을 조사하여 정리한 뒤 수학 용어 표현에 사용된 언어를 중심으로 그 변화를 분석하고, 각 교육과정 시기별 수학 용어의 특징을 살펴본다. 이에 따르면 현행 학교 수학 용어의 표현 방식은 제2차 교육과정과 제3차 교육과정을 거치면서 표준화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드러난 학교 수학 용어 변화의 가장 큰 흐름은 '용어의 한자화'와 '표현의 한글화'인 것으로 보인다.

  • PDF

1950년대 지학의 등장과 지리교육과정의 변화 (The Advent of Earth Science and the Changes of the Geography Curriculum in 1950s)

  • 안종욱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81-98
    • /
    • 2011
  • 해방 이후 현재까지 교육과정의 변화 가운데, 현 지리교육과정의 기본 구조를 결정했다고 판단되는 시점은 교수요목기에서 제1차 교육과정기로 이해되는 기간이라고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면, 제1차 교육과정기에는 이전까지 '자연환경과 인류생활', '인문지리', '경제지리'의 3과목이었던 고등학교 지리과목이 '인문지리'라는 1개의 선택과목으로 줄어들었다. 또한, 과거 지문학의 일부 내용인 천문, 지질, 생물 관련 일부 내용이 교수요목기의 지리영역에는 포함되어 있었지만, 제1차 교육과정기의 '인문지리'에서는 이러한 내용이 사라지게 되었다. 이와 같은 지리영역의 축소는 당시 교육과정에서 '지학' 과목이 신설되었다는 것과 맥을 같이 한다. '지학'은 원래 '자연지리'로 기획된 것인데, 공식적인 시간배당기준표가 공표되기 10개월 전인 1953년 6월에 공개된 문교부 시안에는 '지학' 대신 '자연지리'라는 과목이 나타나 있다는 사실을 통해 이를 확인할 수 있다. 아쉬운 점은 '자연지리'라는 이름을 끝까지 지키지 못하고 과학과의 하위 과목인 '지학'으로 과목명이 변경되었다는 점이다. 현재 지리교육이 당면하고 있는 위기의 기저에는 이러한 제1차 교육과정기 자연지리 영역의 축소 및 지학의 등장이 자리하고 있다. 이러한 현 위기의 극복을 위해서는, 지리가 축적해온 자연 및 인문 환경에 대한 포괄적인 관점과 학문적 소산을 바탕으로, 현재보다 더 많은 교육적 의미를 가진 교과목으로 변화시키고자 하는 지리교육계의 노력이 요구된다.

담배중요병해저항성에 관한 연구 특히 한국재래종에 대하여 (Studies on the disease resistance of tobacco varieties to Black shank, Black root rot Wild fire, Brown spot, CMV-Y and Blue mold -Disease resistance of Korean native varieties-)

  • 허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03-108
    • /
    • 1968
  • 담배 각종병해저항성 품종육성의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우리나라 재래종에 대한 몇가지 병해에 대한 저항성검정을 하였다. (1) 역병에는 우방초, 오심엽초만이 중정도의 저항성이 있으며 수안초, 우설초, 광초 등이 그 다음이고 그 외품종은 모두 나병성이였다. DB 101, $H_2$, BY 4 등은 재래종보다 저항성이였다. (2) 흑근병에는 목기초, 우방초, 오심엽초가 중정도의 저항성이며 우설초, 수안초, 회초가 다음이며 향초는 BY 4만은 못하나 재래종중에서 가장 나병율이 높았다. (3) 야화병에는 대부분 나병율이 높은 편이나 흑초, 회초, 우방초가 약간 저항성이 인정되고 그 외품종은 거의 나병성이다. (4) 적성병에는 오심엽초가 고도의 저항을 엿보이며 우방초, 향초, 목기초 등이 중정도이고 광초, 우설초는 나병성이였다. 대조품종인 BY4나 Beinhart 1,000-1보다는 모두 나병율이 낮았다. (5) CMV-Y에 대하여서는 향초가 고도의 저항성이 인정되고 회초, 가자초가 저도이기는 하나 저항성이 있는 듯하다. (6) Blue mold병에 대에 하여는 공시품종 모두가 고도의 나병성임으로 이에 대한 저항성품종의 발굴이 절실히 요망된다.

  • PDF

대구 동천동 청동기시대 취락유적 출토 목질류 수종 분석 연구 (Study of the Species of Trees Used for Wooden Artifacts Excavated from a Bronze-Age Settlement Site in Dongcheon-dong, Daegu)

  • 이효선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20권
    • /
    • pp.49-60
    • /
    • 2018
  • 대구 칠곡지구 일대 유적은 청동기시대 및 삼국시대 대규모 취락지가 확인된 고고학적 조사로 그 의의가 크다. 특히 대구 동천동 취락유적에서는 청동기시대 수혈주거지, 고상건물지, 석관묘, 우물, 집수기, 집석, 구상유구, 경작지, 환호, 하도 등의 유구가 확인되어 청동기시대 당시 취락의 전모를 알 수 있는 많은 자료가 조사되었다. 본 조사는 대구 동천동 취락유적 내 청동기시대 하도 유구 출토 목기 8점에 대한 수종분석 결과이다. 조사 결과, 침엽수재 수종인 소나무류(Pinus spp.)가 2점, 전나무속(Abies spp.) 수종이 2점, 활엽수재 수종인 상수리나무류(Quercus sp.)가 4점 식별되었다. 용도미상으로 분류된 3점의 목기는 소나무류와 전나무속 수종이였으며, 건축부재 5점은 소나무류가 1점, 상수리나무류가 4점이었다.

목공예품의 이미지제공 및 수종분석(I) - 목기류를 중심으로 - (Image Support and Wood Identification of Wood Crafts (I) - Focusing on Wooden Containers -)

  • 김사익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98-204
    • /
    • 2014
  • Aggravation of natural environment, improvements in income, internet diffusion, spread of five-day work a week, and population aging seem very different from each other. However they boil down to consumption. These culture patterns are changing into environment-friendly and productive housing culture. In other words, people might tend to have frequent contacts with not only environment-friendly housing in bustling cities but also woods that is environment friendly materials in their leisure time. In the period of people young and old alike are in favor of woodcrafts,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giving information to who speicalized in woodcrafts. Furthermore, the study shows that other countries also added grain and figure to woodcrafts for visually appealing.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