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y of the Species of Trees Used for Wooden Artifacts Excavated from a Bronze-Age Settlement Site in Dongcheon-dong, Daegu

대구 동천동 청동기시대 취락유적 출토 목질류 수종 분석 연구

  • Lee, Hyosun (Curatorial Affairs Division, Gwangju National Museum)
  • 이효선 (국립광주박물관 학예연구실)
  • Received : 2018.10.10
  • Accepted : 2018.11.21
  • Published : 2018.11.30

Abstract

Archaeological investigations carried out in the Chilgok Housing Land Development Area have identified large-scale settlements from the Bronze Age and Three Kingdoms periods. The settlement site in Dongcheon-dong, Daegu was found to include sites of pit dwellings, buildings with elevated floors, stone coffin tombs, wells, catchment basins, stone mounds, furrows, cropland, moats, and river channels. These findings offer insight into diverse aspects of settlements during the Bronze Age. This study analyzed the species of trees that produced the materials for eight wooden artifacts excavated from a Bronze-Age river channel site. The analysis identified two examples of Pinus spp., two examples of Abies spp., and four examples of Quercus sp. The three artifacts of undetermined use were made using wood from Pinus spp. and Abies spp. Among the five artifacts identified as building components, one was made from Pinus spp. and four were made from Quercus sp.

대구 칠곡지구 일대 유적은 청동기시대 및 삼국시대 대규모 취락지가 확인된 고고학적 조사로 그 의의가 크다. 특히 대구 동천동 취락유적에서는 청동기시대 수혈주거지, 고상건물지, 석관묘, 우물, 집수기, 집석, 구상유구, 경작지, 환호, 하도 등의 유구가 확인되어 청동기시대 당시 취락의 전모를 알 수 있는 많은 자료가 조사되었다. 본 조사는 대구 동천동 취락유적 내 청동기시대 하도 유구 출토 목기 8점에 대한 수종분석 결과이다. 조사 결과, 침엽수재 수종인 소나무류(Pinus spp.)가 2점, 전나무속(Abies spp.) 수종이 2점, 활엽수재 수종인 상수리나무류(Quercus sp.)가 4점 식별되었다. 용도미상으로 분류된 3점의 목기는 소나무류와 전나무속 수종이였으며, 건축부재 5점은 소나무류가 1점, 상수리나무류가 4점이었다.

Keywords

References

  1. 영남문화재연구원 학술조사보고서 제43책, 대구 동천동취락유적 본문1, p25, 영남문화재연구원, 대구, (2002).
  2. 영남문화재연구원 학술조사보고서 제43책, 대구 동천동취락유적 본문2, p176-190, 영남문화재연구원, 대구, (2002).
  3. 박상진.이원용.이화형, 목재조직과 식별, 향문사, 서울, (1987).
  4. 한국의 목기자료집 I,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2012).
  5. 한국의 목기자료집 III,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2012).
  6. 윤순옥.황상일, 대구 분지의 화분분석과 홀로세 후기 기후 환경변화, 한국지형학회지 제16권 제4호, p47-59, (2009).
  7. 이효선, 함안 말이산 출토 검신부 목질 수종분석, 함안 말이산 34호분, 국립김해박물관, 김해, (2007).
  8. 이효선, 대구 월배지구 출토 목탄 분석, 대구 월성동 566유적, p255-256, 대동문화재연구원, 대구, (2016).
  9. 정기호, 박상진, 칠곡 1지구 수리시설 출토 유물의 수종분석, 한국목재공학 학술발표논문집 2000권 제1호, p283-288, (2000).
  10. 영남문화재연구원 학술조사보고서 제214책, 대구 동천동 수리시설 유적, p165-186, 영남문화재연구원, 대구, (2014).
  11. 박원규, 김수철, 평택 현화리 청동기시대 집터 출토 숯의 수종과 재질 분석, 보존과학회지 제8권 제1호, p16-22,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