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Advent of Earth Science and the Changes of the Geography Curriculum in 1950s

1950년대 지학의 등장과 지리교육과정의 변화

  • Received : 2011.06.14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Among the changes of the Curriculum from the liberation to the present, the biggest change in the highschool geography course appeared during the period from the Period of Syllabus to the 1st National Curriculum. More specifically, during the 1st National Curriculum the highschool geography course which previously had three subjects, 'Natural Environment and Human Lives', 'Human Geography', 'Economic Geography' was reduced to one subject, 'Human Geography.' In addition, while some contents related with astronomy, geology, and biology had been contained in the physiography course, they were left out from the human geography course of the 1st National Curriculum. This reduction of the geography course was related to the context that earth science was newly established in the 1st National Curriculum. Originally the draft plan released in June, 1953, which was 10 months before the formal time allotment criteria list had been made public, contained 'Physical Geography' instead of 'Earth Science'. What is sorry is that the name of 'Physical Geography' did not remain and was changed to 'Earth Science'. The underlying causes of the crisis the geography education is now facing are the reduction of Physical Geography and the emergence of 'Earth Science' during the 1st National Curriculum. To overcome the present crisis, the subject of geography should be changed more meaningful one based on the comprehensive perspective and academic product that geography has accumulated.

해방 이후 현재까지 교육과정의 변화 가운데, 현 지리교육과정의 기본 구조를 결정했다고 판단되는 시점은 교수요목기에서 제1차 교육과정기로 이해되는 기간이라고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면, 제1차 교육과정기에는 이전까지 '자연환경과 인류생활', '인문지리', '경제지리'의 3과목이었던 고등학교 지리과목이 '인문지리'라는 1개의 선택과목으로 줄어들었다. 또한, 과거 지문학의 일부 내용인 천문, 지질, 생물 관련 일부 내용이 교수요목기의 지리영역에는 포함되어 있었지만, 제1차 교육과정기의 '인문지리'에서는 이러한 내용이 사라지게 되었다. 이와 같은 지리영역의 축소는 당시 교육과정에서 '지학' 과목이 신설되었다는 것과 맥을 같이 한다. '지학'은 원래 '자연지리'로 기획된 것인데, 공식적인 시간배당기준표가 공표되기 10개월 전인 1953년 6월에 공개된 문교부 시안에는 '지학' 대신 '자연지리'라는 과목이 나타나 있다는 사실을 통해 이를 확인할 수 있다. 아쉬운 점은 '자연지리'라는 이름을 끝까지 지키지 못하고 과학과의 하위 과목인 '지학'으로 과목명이 변경되었다는 점이다. 현재 지리교육이 당면하고 있는 위기의 기저에는 이러한 제1차 교육과정기 자연지리 영역의 축소 및 지학의 등장이 자리하고 있다. 이러한 현 위기의 극복을 위해서는, 지리가 축적해온 자연 및 인문 환경에 대한 포괄적인 관점과 학문적 소산을 바탕으로, 현재보다 더 많은 교육적 의미를 가진 교과목으로 변화시키고자 하는 지리교육계의 노력이 요구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