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모바일 아이피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38초

모바일 아이피에서 개선된 캐싱 에이전트와 CoA 풀을 사용한 빠른 핸드오프 기법 (Fast Handoff Technique using Improved Cashing Agent and CoA Pool in Mobile IP)

  • 이장수;김성천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5권2호
    • /
    • pp.75-82
    • /
    • 2008
  • 모바일 아이피는 무선 모바일 노드의 이동성에 따른 기존 아이피 주소 체계의 고유성 보장 문제를 해결하고자 제안되었다. 네트워크 레이어에서의 핸드오프는 모바일 광고 메시지를 수신하게 됨으로써 완료되는데, 메시지 광고 주기는 지연 시간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게 된다. 일반적으로 평균 500ms의 큰 지연시간을 발생시키게 되며 인터넷 전화나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와 같은 경우에 치명적인 문제로 작용할 수 있다. 기존의 기법에서는 최근의 모바일 광고 메시지를 저장하고 있는 캐싱 에이전트의 리플레잉 정책에 의하여 핸드오프 지연 시간을 감소시켰지만, 모바일 아이피 등록 과정 동안의 패킷 손실과 지연 시간 증가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캐싱 에이전트를 개선해 핸드오프 완료 전에 데이터 포워딩이 가능하도록 하였고, 또한 빠른 모바일 아이피 등록을 위해 CoA풀을 도입하여 핸드오프 지연 효과를 감소하는 기법을 제안하였다.

Mobile IP 에서의 핸드 오프 지연 시간 감소 기법 (Technique of Handoff Delay Reduction in Mobile IP)

  • 유승연;이장수;이성주;신홍중;유승환;이상혁;김승욱;김성천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014-1017
    • /
    • 2007
  • 무선랜에서는 작은 셀 크기로 인해 노드들의 이동에 따른 빈번한 핸드오프가 이루어진다. 그래서 무선랜에서는 지속적인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 모바일 아이피와 같은 방법을 개발하고 있다. 모바일 아이피는 모바일 노드가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이동할 때 IP 주소의 변경 없이도 이동할 수 있도록 해준다. 그러나 모바일 아이피는 긴 시간의 등록과정과 연결 재설정 때문에 시간지연이나 패킷 손실과 같은 오버헤드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무선랜의 QOS(Quality Of Service)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Mobile IP 의 핸드오프 시간을 줄여야만 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핸드오프 지연 시간을 감소시키는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기법의 기본 아이디어는 모바일 노드의 이동 네트워크를 예상하여, 미리 패킷 포워딩을 수행하는데 있다. 우리는 각 모바일 노드들에게 connection proxy table 정보를 추가하였다. 그리고 이 테이블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모바일 노드들은 홈에이전트와 포린에이전트에 COA(Care of address)를 미리 등록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그 결과로 이동 노드들은 홈 네트워크를 완전히 벗어나지 않고도 핸드오프가 이루어져 지속적인 서비스가 가능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기법이 기존 Mobile IP 와 비교해 볼 때 핸드오프가 이루어지는 동안 비 연결 시간을 줄일 수 있다는 것을 실험결과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네트워크 이동성을 지원하는 하이브리드 분산 이동성 관리 (NEMO-enabled Hybrid Distributed Mobility Management)

  • 위성홍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2권7호
    • /
    • pp.1030-1040
    • /
    • 2018
  • 분산 이동성 관리 방식은 이동성 기능을 사용자와 가까이에 위치한 네트워크 경계로 분산시킨다. 이에 따라서 트래픽 전달 비용을 낮추고 패킷 전달 경로를 최적화할 수 있으며 확장성이 높은 장점을 갖는다. 하지만, 시그널링 메시지를 교환하기 위한 모바일 앵커의 개수가 증가하여 시그널링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을 갖는다. 그래서 지속시간이긴 세션에 대해서 높은 시그널링 비용을 감소시키는 하이브리드 분산 이동성 방식이 연구되었고 본 논문에서는 네트워크 이동성을 지원하는 환경으로 하이브리드 방식을 확장한다. 모바일 라우터는 차량에 장착되어 모바일 장치들과 함께 이동한다. 따라서 모바일 라우터에 대해서 고속 이동성 특성을 정의하여 이용하는 하이브리드 방식을 제안한다. 모바일 라우터의 이동성 특성에 따라서 모바일 앵커를 분산하여 할당하거나 혹은 특정한 모바일 앵커를 지정하여 할당한다. 본 논문은 네트워크 이동성을 지원하는 하이브리드 분산 이동성 관리 방식에 대해서 제안하고 성능을 수학적으로 분석하여 우수한 성능임을 보여준다.

스마트폰에서 mVoIP 취약성 분석 및 대응 방안 (mVoIP Vulnerability Analysis And its Countermeasures on Smart Phone)

  • 조식완;장원준;이형우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3권3호
    • /
    • pp.7-12
    • /
    • 2012
  • mVoIP 서비스는 IP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모바일 장비에서 음성 정보를 보다 효율적으로 전송할 수 있는 기술이다. mVoIP 서비스는 적은 통신 비용으로도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IP 기반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효율성과 가용성을 높일 수 있는 방식이다. 또한 일반 사용자는 시간과 장소에 상관없이 모바일 장비에서 음성대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모바일 장비에서의 SIP 프로토콜은 도청, DoS 공격 및 오작동, 스? 공격 등과 같은 다양한 공격과 위협에 노출되어 있어 많은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 mVoIP 서비스에 대한 위협과 취약성에 대해 분석하여 다양한 형태의 공격 시나리오를 도출하였다. 공격 시나리오에 대한 보안 취약성을 분석하여 보다 안전한 SIP 메커니즘을 제시하였으며 모바일 환경에서의 취약성을 제거할 수 있는 대응 방안을 제시하였다.

제2계층 트리거를 이용한 FMIPv6 구현 및 분석 (Implementation and Analysis of the FMIPv6 (Fast Handover for Mobile IPv6) Using Layer 2 Triggers)

  • 오승훈;이성식;김영한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2C권4호
    • /
    • pp.551-558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신속한 이동성 관리기법인 FMIPv6(fast mobile IPv6)를 리눅스 기반으로 구현하여 기존 시스템과의 성능을 비교 실험하였다. FMIPv6 기법은 제 2계층의 동작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이에 맞게 네트워크 드라이브를 수정하여 단말의 이동에 따라 제2계층에서의 트리거를 발생하도록 하였고 액세스 라우터와 이동 노드로 동작을 구분하여 설계하여 구현하였다. 구현된 시스템으로 기존 MIPv6(mobile IPv6)가 적용됐을 때와 비교하여 핸드오버기간동안의 패킷손실과 지연특성을 실험하였으며 FMIPv6에서의 개선된 성능을 고찰 하였다.

혼재된 중첩 이동 네트워크에서의 라우팅 최적화 기법 (A Route Optimization Scheme for Heterogeneous Nested Mobile Networks)

  • 조호식;권태경;최양희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3권2B호
    • /
    • pp.82-89
    • /
    • 2008
  • 단말의 이동을 인터넷 프로토콜 계층에서 지원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모바일 아이피는 하나의 단말이 아닌 다수의 단말이 함께 이동할 경우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네트워크 이동성이라는 개념으로 확장되었다. 네트워크 이동성 시나리오에서 이동 라우터들 사이에 계층 구조가 존재할 경우를 특히 중첩 이동 네트워크라고 부르며 이러한 중첩 이동 네트워크에서는 계층의 깊이에 비례하여 비효율적인 라우팅 경로를 따르게 되는 핀볼 라우팅 문제가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이동 네트워크 지원 프로토콜과 호환성을 가지며 이질적인 이동 네트워크 환경을 고려하는 경로 최적화 기법을 제안하고 정량적 정성적 비교 분석을 수행한다.

MAP를 적용한 무선 매쉬 네트워크에서의 이동성 관리방법 (Mobility Management Scheme for the Wireless Mesh Network using Mobility Anchor Point)

  • 정성환;조규섭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101-110
    • /
    • 2011
  • 무선 메쉬 네트워크(WMN)는 기존의 무선 네트워크에 비해 저렴한 비용으로 빠르게 구축할 수 있는 장점 때문에 차세대 네트워크 기술로 부각되고 있으며 동일 네트워크는 물론 이종 네트워크간의 통합을 가능하게 한다. 현재 몇몇의 WMN 연구에서는 WMN과 애드 혹 네트워크의 유사한 특징 때문에 AODV, DSR과 같은 애드 혹 라우팅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이동성을 지원하고 있다. 그러나 WMN는 다중 인터페이스와 인터넷과 연결 등의 기능이 추가되어 기존 애드 혹 네트워크와는 작동 과정이 다르기 때문에 효율적인 이동성 관리를 지원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적합하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WMN의 이동성 관리를 지원하기 위한 방안으로 HMIPv6의 MAP 기능을 WMN에 적용하는 방안을 제안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동작 검증 및 성능 평가를 하였다. 평가된 결과를 통해서 제안한 이동성 관리가 AODV를 이용한 이동성 관리에 비해 짧은 핸드오버 지연과 패킷 손실이 감소하며 이를 통하여 네트워크 전체의 처리율 또한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cdma2000 네트워크에서 실시간 데이터 트래픽을 수용하기 위한 Mobile IP 지역내 사전등록 기법 (Mobile IP local pre-registration scheme for accommodating real-time data traffics in cdma2000 Networks)

  • 박민철;임재성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8권7A호
    • /
    • pp.493-502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기존 Mobile IP 및 지역 등록 기법이 갖는 등록 지연시간 증가에 따른 패킷 손실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특히 지연시간과 패킷 손실에 민감한 실시간 데이터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Mobile IP 지역 내 사전 등록 기법은 이동 노드가 영역간을 이동하기 전에, 경계 셀의 핸드오프 존에서 링크 계층 정보인 ANID(Access Network Identifier)를 이용하여 미리 이동할 영역에 대한 사전 등록을 행함으로써, 영역을 이동한 후에 발생하는 등록 지연 시간을 줄였다. 비용분석과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제안하는 기법이 Mobile IP 및 지역 등록 기법에 비해 이동 노드의 속도, 홈 네트워크까지의 거리, 영역 내 이동비율 등의 요소에 따른 패킷 손실 측면에 있어 향상된 성능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하이브리드 분산 이동성 관리 방식의 성능 평가 (Performance Evaluation of Hybrid Distributed Mobility Management)

  • 위성홍;장재신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1권10호
    • /
    • pp.1862-1872
    • /
    • 2017
  • 현재의 중앙 집중형 이동성 관리 방식의 제약점들을 극복하기 위해서, IETF는 홈 에이전트의 이동성 기능을 사용자 가까이에 위치한 네트워크 경계 쪽으로 분산시키는 분산 이동성 관리 방식에 대해서 논의해왔다. 분산 이동성 관리 프로토콜은 트래픽 전달 비용이 낮고 확장성이 높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하지만, 시그널링 비용이 높고 주소관리가 복잡하다는 문제점을 보이고 있다. 특히 세션의 지속시간이 길고 빠르게 이동하는 사용자의 경우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더욱 어렵게 만든다. 지속시간이 긴 세션에 대해서 높은 시그널링 비용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우리는 하이브리드 분산 이동성 관리 방식을 제안하며, 이는 세션 지속 시간에 따라서 다른 이동성 앵커를 할당한다. 본 논문에서 우리는 제안한 하이브리드 분산 이동성 관리 방식에 대해서 성능을 분석하며 시그널링 비용 측면에서 우수한 성능임을 보여준다.

PMIPv6 도메인에서 플로우 이동성 지원을 위한 논리인터페이스 기반 HNP 변환 기법 (Logical Interface based HNP Change Scheme for Flow Mobility in PMIPv6 Domains)

  • 홍용근;한기준;윤주상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677-685
    • /
    • 2012
  • 최근 무선 멀티인터페이스 지원을 위한 무선 멀티네트워킹 기술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관련 연구로써 IETF NetExt WG 에서 Proxy Mobile IPv6 기반 멀티인터페이스 지원 기술에 대한 표준 기술이 현재 논의 중이다. PMIPv6 프로토콜은 멀티인터페이스 이동노드가 PMIPv6 도메인에서 접속 시 멀티인터페이스 기반 동시 접속 및 인터페이스 사이에서의 핸드오버 지원을 위한 기능은 제공하나 플로우 이동성 기능은 제공하지 못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멀티인터페이스 이동노드가 PMIPv6 도메인에 접속하는 시나리오를 가정하고 플로우 이동성을 제공하기 위해 논리인터페이스 설계 및 논리인터페이스 기반 Home Network Prefix 변환 기법을 제안한다. 이 기법은 단대 단끈 김 없이 PMIPv6 도메인내에서 플로우 이동성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