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모델기반 설계

Search Result 4,409, Processing Time 0.053 seconds

Design of a System Model for the Role-Based Access Control for Web-Based Applications (웹 기반 응용을 위한 직물 기반 접근 제어 시스템 모델 설계)

  • Lee Ho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9 no.3
    • /
    • pp.63-69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sign a system model which is needed for integrating the secure role-based access control model into web-based application systems. For this purpose, firstly, the specific system architecture model using a user-pull method is presented. This model can be used as a design paradigm. Secondly, the practical system working model is proposed. which specifies the mechanism that performs role-based access control in the environment of web-based application systems. Finally, the comparison and analysis is shown in which the merits with the proposed system model is presented.

  • PDF

Cyber-Salesman : An Agent negotiating with Customers (가상점원 : 고객과의 협상을 위한 에이전트)

  • 조의성;조근식
    • Proceedings of the Korea Inteligent Information System Society Conference
    • /
    • 1999.03a
    • /
    • pp.217-225
    • /
    • 1999
  • 협상은 상거래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현재의 웹 기반 전자상거래 시스템은 이러한 중요한 협상 구조를 상거래에 잘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중 기업과 소비자간의 미비한 협상 구조를 보안하기 위해 실세계 상거래에서 존재하는 점원을 전자상거래상의 가상점원으로 모델링하여 회사의 정책과 구매자의 특성을 반영하여 구매자와 전략적으로 자동 협상을 수행할 수 있는 에이전트의 구조를 설계하고 표현하고, 그 제안에 대한 평가 내용과 결정사항을 전달할 수 있는 언어적인 구조가 필요하며, 협상의 대상이 되는 사안들의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표현 구조도 요구된다. 또한 이러한 협상에서 전략을 세우고 알맞은 제안을 제시하며 상대의 제안에 대하여 전략적으로 반응할 수 있는 의사결정 모델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회사의 정책 모델과 구매자의 모델을 정의하고 이를 이용한 협상 모델을 설계 구현하였다. 협상 구조의 모델링을 위해 KQML(Knowledge Query Manipulation Language)을 기반으로 전자상거래 프로토콜로 설계하고, 논쟁 기반 협상 모델을 기초로 협상언어를 설계하였다. 또한 협상에서의 전략적인 의사결정을 위해 게임이론을 이용하고, 규칙 기반 시스템으로 이를 보충하였다. 마지막으로 가상점원 모델을 바탕으로 조립 컴퓨터 판매를 위한 가상점원으로 구현하였고, 이에 대한 실험을 통하여 가상점원의 유용성을 보였다.

  • PDF

Embedded Control System of Segway Robot using Model Based Design (모델기반 설계를 이용한 이륜 도립진자 로봇의 임베디드 제어시스템)

  • Ku, Dae-Kwan;Ji, Jun-Keun;Cha, Guee-Soo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1 no.8
    • /
    • pp.2975-2982
    • /
    • 2010
  • In this paper, embedded control system of segway robot using model based design is presented. Design of control program in embedded system can be implemented simply and easily by model based design method using MATLAB/SIMULINK. Segway robot is consisted of a NXT Mindstorms controller, two DC servo motors, a ultrasonic sensor, a gyro sensor, and a light sensor. It is a unstable nonlinear system and has a control problem of body pitch angle. So controller of segway robot is designed using state feedback LQR control. It is confirmed through design and experiment of controller that the model based design method, that is not depend on target processor, has merits compared with the text based design in aspects such as a program development, an error detection/modify, and an insight of software structure.

Design of Content-based Image Retrival System using Multilevel Metadata (다계층 메타데이타 기반 이미지 내용검색 시스템 설계)

  • 신용수;홍성용;나연묵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10c
    • /
    • pp.142-144
    • /
    • 2002
  • 대부분의 내용기반 이미지 검색 시스템은 이미지의 특징 벡터인 색상, 모양, 그리고 질감에 의해서 유사한 이미지를 검색하는 기법을 제공하고 있다. 최근 이러한 내용기반 이미지 검색 기술은 의료 영상 이미지와 같은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서 의료 이미지를 분석하여 저장, 검색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대량의 이미지로부터 원하는 이미지를 검색하기 위해서는 이미지의 메타데이타를 효율적으로 표현해야 하며, 의미성과 이미지의 특징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저장 관리 할 수 있는 이미지 데이터베이스를 설계하고 구축해야만 한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내용기반 이미지 검색 기법을 살펴보고. 이미지를 내용기반으로 분류하고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설계하여 효율적인 의미기반 검색을 지원말 수 있는 모델을 제시한다. 다계층 메타데이타 레이어 구조로 이미지에 대한 개념 지식 모델을 표현하고, 이미지내의 객체를 메타데이타로 표현하여 분류할 수 있는 모델을 제안한다. 또한, 이미지 내용검색을 지원하기 위한 시스템 구조를 설계하고, 메타데이타가 저장되기 위한 관계형 모델을 스타 스키마의 형태로 제시한다. 제안된 방법은 의미적인 이미지 내용 검색 방법의 지원에 활용될 수 있다.

  • PDF

On a Model-Based Systems Engineering Approach to the Realization of the Integrated Systems Design and Safety Process Model (모델기반 시스템공학 기법을 통한 시스템설계 및 안전프로세스 통합모델의 구현에 관한 연구)

  • Kim, Young-Min;Lee, Jae-Chon
    • Proceedings of the Safety Management and Science Conference
    • /
    • 2013.04a
    • /
    • pp.215-223
    • /
    • 2013
  • 산업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인해 오늘날 우리가 개발하거나 사용하는 시스템은 보다 기술의 고도화 양상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기존의 시스템이 지니고 있어 제공하는 단일 특성에서 벗어나 다양한 학제간 결합된 기술로 기존 시스템이 지니고 있는 관념적인 기능에서 벗어나 다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이로 인해, 기존의 개발단계에서는 보다 높은 설계 신뢰성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오늘날 우리사회는 시스템의 개발 성공이라는 안도에서 벗어나 시스템 운용 유지단계에서도 안전성 측면에서 매우 중요성을 인식하고 대비하고 있다. 따라서, 국내에서는 미흡한 상위 단계에서의 설계활동과 또한, 같은 시스템 수명주기 상에서의 시스템 안전활동을 동시에 고려한 동시공학적인 접근에 관한 연구를 본 연구팀은 지속적으로 수행해왔다. 따라서, 기존의 연구결과인 설계와 안전을 동시에 고려한 통합 설계 프로세스 모델에 대해, 시스템개발에 관련한 모든 이해당사자가 공통된 이해를 바탕으로 시스템설계와 안전 활동에 대해 상호 호완성과 공통된 인식을 갖고 접근할 수 있는 방안을 본 연구를 통해 수행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모델기반 시스템공학 기법중 보편적인 언어인 공통 언어를 통해 기존 연구를 통해 제시한 통합설계 프로세스 모델을 구현에 관한 연구 수행을 통한 접근 방안에 관하여 논의하고 있다. 본 연구를 기반으로 향후 추가 연구를 수행한다면, 국내 대형복합시스템의 설계단계에서의 안전성을 동시 고려한 시스템 설계 신뢰성 확보를 위해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 된다.

  • PDF

Generation 3D Structural Information Model by Recognition of 2D Drawings (2차원 도면 인식을 통한 3D 골조모델 생성)

  • Kim, Chee-Kyeong;Park, Chan-Ho;Kim, Hyun-Jung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1.04a
    • /
    • pp.367-370
    • /
    • 2011
  • 최근 설계 단계에서 설계품질 향상과 시공 단계에서 비용 절감을 효과를 기대하며 3차원 BIM 관련 기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가고 있으며, 또한 부분적으로 기술 도입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설계 및 시공 현업은 2차원 CAD 도면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3차원 BIM 기반 설계가 이루어진다 하더라도 결국 시공을 수행하는 건설 현장에는 2차원 CAD 도면이 납품되고 이를 기반으로 건설 현장은 운영된다. 또한 설계 단계 BIM과 시공 단계 BIM은 모델의 활용 목적이 다르고 그에 따라 모델링의 범위 및 방법이 크게 다르기에 시공 단계에서 2차원 도면에 기반한 시공 BIM 모델 구축이 필요한 현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2차원 구조 CAD 도면을 인식하여 3차원 골조모델을 생성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구현하였다. 통합 BIM 모델은 골조, 설비, 마감으로 구성되며, 이 중 골조 모델은 설비와 마감 모델링을 위하여 선행되어야 할 핵심요소이다. 시공 단계 2차원 도면을 바탕으로 골조 모델의 생성을 생성하는 작업에도 많은 노력이 요구되며, 또한 이 과정에서 모델러가 2차원 도면을 파악하여 BIM 도구를 사용하여 모델링을 하는 과정에서 오류의 가능성도 내포되어 있다. 특히 설비, 마감과의 통합 모델 구축이 원활히 되기 위해서는 골조 상세, 즉 부재 편심 또는 단차 등이 정확히 모델링 되어야 한다. 본 연구의 도면 인식을 통한 3D 골조모델 생성은 2차원 구조평면과 부재일람표에 표기된 내용을 그대로 인식하여 3차원 BIM 모델을 생성함으로써 모델링 효율의 극대화와 모델 정확도 향상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 PDF

On Enhancing Safety of Train-Centric Train Control System using Model-Based Development (차상중심 열차제어시스템 개발에서 모델기반 접근을 통한 안전성 향상에 관한 연구)

  • Choi, Myung-Sung;Kim, Joo-Uk;Han, Seok-Youn;Oh, Se-Chan;Sim, Sang-Hyun;Lee, Jae-Cho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7 no.7
    • /
    • pp.573-584
    • /
    • 2016
  • The train control system is a facility to ensure model-based design and safe train operation, and its safety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system introduction, complexity of the design information and traceability etc. Therefore, the model-based design and safety activities regarding the way-side equipment of a train control system is also highlighted. To solve this problem, In this paper, model-based design was carried out first to develop an effective train control system, which is represented by SysML(System Modeling Language). The test scenarios that can take advantage of the design model were created to improve the train safety control system. Case studies of a model-based design of a train-centric train control system were applied to the test scenarios; the results demonstrated its usability. The improved activity over the test highlighted the safety improvement approach, and it is expected to reduce the cost and time in the conceptual design of a future development model-based train control system.

A Study on Improvement of Nuclear Power Plant Construction System According to Data-centric Design Technique Introduction in Korea (데이터 기반 설계기법 도입에 따른 원전 건설관리체계 개선방향 고찰)

  • Lim, ByungKi;Byon, Sujin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25 no.1
    • /
    • pp.108-112
    • /
    • 2016
  • This study is established the data-centric design concept, which is the latest design technique, by analyzing existing study literature for its application on the nuclear power plant industry in Korea.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ata-centric design cases in the advanced companies and suggests a data-centric design integrated system framework by analyzing the major functions of the commercial 3D CAD system, which is globally used in the plant architect engineering. In order to apply the data-centric design integrated system framework to the nuclear power plant industry in Korea, the main functions of a nuclear power plant design information integrated system framework, which can manage the design products of each EPC step and the related information in integrated way, is suggested by analyzing the supplier design, field design process and field design drawings, which have close relation with the plant Architect Engineering (A/E).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 of this study would contribute in the dramatic enhancement in the job efficiency of nuclear power plant design process in Korea.

Design of a Service Composition Architecture based on TINA (TINA 기반의 서비스 컴포지션 구조 설계)

  • 이상백;박동선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26 no.5A
    • /
    • pp.793-800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서비스 컴포넌트 또는 서비스간의 기능 결합을 통한 서비스 기능 확장 및 신규 서비스 생성을 가능토록 하는 서비스 컴포지션 구조를 설계하였다. 설계된 컴포지션 구조는 통신망을 기반으로 하는 모든 서비스에 적용 가능한 TINA의 서비스 구조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본 구조에서는 서비스 컴포지션을 추상화한 기본모델과 컴포지션 대상 서비스들 사이의 세션 관계를 표현한 세션모델을 정의하였다. 또한, 이들 모델을 바탕으로 정보객체와 이들간의 관계를 정의한 정보모델과 분산처리 환경에서 운용되는 연산객체와 이들간의 인터페이스를 정의한 연산모델을 정립하였다. 설계된 구조의 검증을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TINA 서비스 구조를 기반으로 하는 두 개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구현하였으며, 서비스 컴포지션이 성공적으로 수행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Deriving Component Interfaces from UML Dynamic Medel (UML 동적모델에서 컴포넌트 인터페이스 설계 기법)

  • 김지혜;김수동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04b
    • /
    • pp.415-417
    • /
    • 2002
  • 컴포넌트는 소프트웨어의 재사용을 통하여 소프트웨어 제품의 향상된 생산성을 제공해 줄 수 있는 방안으로 인식되면서 , 학계와 산업계의 관심 이 집중되고 있다. 그에 대안 반영으로 컴포넌트 자체를 개발하거나, 상용 컴포넌트를 기반으로 하여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기 위한 방법론들이 제안되고 있고, 이런 개발 방법론이 바로 컴포넌트 기반의 개발 방법론이다. 컴포넌트 개발 방법론이 확산됨에 따라 성공적인 컴포넌트 기반의 프로젝트의 중요한 요소로써 효과적인 컴포넌트 인터페이스 설계 기법이 부각되고, 제안되었다. 그러나, 기존의 객체지향 방식으로 구현된 모델을 컴포넌트 기반의 모델로 전환 시의 지침들이 부족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객체 지향 방식으로 모델링 한 UML동적모델에서 근거한 컴포넌트 인터페이스 설계 기법을 제안한다. 즉, 분석 단계에서 컴포넌트를 식별하고, 설계 단계의 산출물인 Use Case모델과 클래스 다이어그램을 이용하여 컴포넌트의 메소드들을 추출한다. 그리고, 컴포넌트 인터페이스를 정의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