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멀티 홉 네트워크

검색결과 310건 처리시간 0.032초

무선 메쉬 네트워크를 위한 캐시 적중률 기반 파워 소모 모델 (A Cache Hit Ratio based Power Consumption Model for Wireless Mesh Networks)

  • 전승현;서용준
    • 산업융합연구
    • /
    • 제18권2호
    • /
    • pp.69-75
    • /
    • 2020
  • 산업용 IoT는 비용 효율적이고 넓은 커버리지를 제공하는 무선 메쉬 네트워크에 관심이 많았다. 하지만, 무선 메쉬 네트워크는 멀티홉 환경의 심각한 성능 절하를 겪는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메쉬 라우터에 캐시를 장착하는 연구가 많았으나 캐시 파워 소모 모델 연구는 적었다. 최근 캐시 파워 효율 기반 모델은 캐시까지 콘텐츠 전달 파워를 모두 측정했기 때문에 무선 메쉬 네트워크에서 쓰기에 부적절합니다. 본 논문은 CPU의 동작속도가 캐시 크기에 비례한다는 사실을 이용하여 캐시 적중률 기반 파워 소모 모델을 제안하고, 기존 캐시 파워 효율 기반 소모 모델과 비교하여 정확하게 측정되었다. 제안된 캐시 적중률 기반 파워 소모 모델은 산업용 IoT에서 무선 메쉬 네트워크를 구성할 시 에너지 효율적인 캐시 운용을 위한 참조 모델로 활용되길 기대합니다.

이동 애드혹 네트워크에서 생존시간 최대화를 위한 전력절감과 라우팅 결합 알고리즘 (Joint Power-Saving and Routing Algorithm for Lifetime Maximization in Mobile Ad Hoc Networks)

  • 최현호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12호
    • /
    • pp.2826-2834
    • /
    • 2013
  • 이동 애드혹 네트워크에서 단말의 전력절감과 관련된 기술은 송신전력제어(transmit power control; TPC), 전력절감모드(power-saving mode; PSM), 라우팅(routing)으로 나뉠 수 있다. TPC와 PSM은 주로 하위 물리 및 데이터링크 계층에서 담당하는 반면 라우팅은 상위 네트워크 계층에서 담당하므로 이들 알고리즘들이 하나의 목적을 위해 보다 나은 성능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통합된 관점에서의 알고리즘 설계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애드혹 네트워크에서 주어진 종단간 전송률을 만족시키면서 전송 경로의 생존시간을 최대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전력절감과 라우팅의 결합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 방안은 먼저 단말의 송신전력을 줄이기 위하여 TPC 또는 PSM을 적용하여 개별 단말의 생존시간을 증가시키고, 이후 결정된 노드 생존시간을 고려하여 라우팅을 수행함으로써 멀티홉 전체 경로의 생존시간을 극대화한다. 시뮬레이션 결과 제안방식은 네트워크의 단말 수 및 간섭량의 변화에 따라 요구 전송률을 만족시키면서 생존시간을 극대화시킨다.

차량 접근 경고 시스템을 위한 에너지 효율적 자가 구성 센서 네트워크 모델 (An Energy-Efficient Self-organizing Hierarchical Sensor Network Model for Vehicle Approach Warning Systems (VAWS))

  • 신홍혈;이혁준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118-129
    • /
    • 2008
  • 차량 접근 경고 시스템(VAWS: Vehicle Approach Warning Systems)은 급커브 구간에 진입하는 차량에게 반대편 차선의 차량 진입 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하여 사고 위험을 줄이는데 도움을 주기 위한 시스템이다. 본 논문에서는 VAWS를 위한 IEEE 802.15.4 기반 계층구조 센서 네트워크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네트워크 모델에서 토폴로지 제어 프로토콜은 네트워크의 생존시간을 지속시킬 수 있도록 자가 구성(self-organizing) 방식으로 트리 기반 토폴로지를 형성한다. 또한,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인 라우팅 프로토콜은 이 토폴로지를 기반으로 라우팅 테이블을 구성하고 센서 노드에서 생성된 데이터 패킷을 노변 경고 메시지 디스플레이와 연결되어 있는 베이스 스테이션까지 멀티홉 방식으로 전달한다. 이 프로토콜들은 기존의 IEEE 802.15.4 MAC계층에 포함된 확장 MAC 형태로 설계되며, 급커브 구간을 모델링한 시나리오에서의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제안하는 네트워크 모델이 에너지 효율 및 네트워크 처리량 면에서 높은 성능을 나타냄을 보인다.

  • PDF

자율 주행 로봇을 이용한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Environment Monitoring System Using Autonomous Mobile Robot)

  • 정혜진;김원중;손철수;조병록;양수영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038-1041
    • /
    • 2009
  • 온도, 습도, 조도 또는 토양 센서 등을 탑재한 무선 센서 노드들을 네트워크로 구성하여 자연 환경 정보를 획득하고 분석하여 다양하게 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무선 센서 네트워크는 저전력 무선트랜시버를 탑재한 다수의 노드들이 근거리 무선 통신과 멀티-홉 기법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무선센서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집된 데이터의 특징은 한정된 범위 내에 밀집된 노드들로부터 얻어진다는 것이다. 그러나 넓은 범위에 흩어져있는 무선 센서 노드들로부터 데이터를 얻기 위해서는 장거리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도록 고전력을 소비하는 무선 트랜시버를 사용하거나 중계 노드를 많이 필요로 하여, 무선 센서 네트워크 가지고 있는 장점인 저전력과 저비용이라는 특징이 희석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넓게 산재되어 있는 각각의 센서 네트워크 그룹 들을 순회하여 데이터를 수집하는 자율 주행 로봇을 이용한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안한다.

  • PDF

인터리브드 멀티홉 인증을 적용한 무선 센서네트워크에서 퍼지로직을 이용한 서비스 거부 공격에 대한 방어 기법 (Interleaved Hop-by-Hop Authentication in Wireless Sensor Network Using Fuzzy Logic to Defend against Denial of Service Attack)

  • 김종현;조대호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133-138
    • /
    • 2009
  • 무선 센서 네트워크는 열린 환경에 배치되기 때문에 노드는 공격자들로부터 포획당하고 허위 보고서를 삽입 될 수 있다. 허위 보고서 삽입 공격은 허위 경보를 유발할 뿐만 아니라 네트워크의 제한된 에너지를 고갈 시킨다. Interleaved hop-by-hop authentication(IHA)은 인터리브드 검증을 통하여 허위 보고서를 탐지하는 기법이다. 하지만 모든 센서 네트워크에서와 같이 IHA에서도 보고서를 BS로 전달 할 때 모든 전송 노드들은 보고서를 송/수신, 인증만으로도 에너지를 소비한다. 공격자는 이것을 이용함으로써 허위 보고서 배포 목적이 아닌 단지 에너지 소비만을 유도하여 결과적으로 네트워크의 마비를 초래하는 것을 목표로 서비스 거부 공격을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서비스 거부 공격에 대응하기 위하여 퍼지 로직 시스템를 이용하여 허위 보고서 재전송 공격을 방어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그리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기존의 기법과 제안한 기법을 비교하여 에너지 효율성을 증명한다.

격행 연결 이중층 셔플넷을 이용한 광 WDM 네트워크 채널공유방식과 라우팅 알고리즘 (Shared Channel Scheme and Routing Algorithms of Every - Other- Row - Connecting Bilayered ShuffleNet for WDM Optical Networks)

  • 지윤규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38권11호
    • /
    • pp.804-809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광 WDM 멀티홉 네트워크에서 필요한 파장 채널 수를 줄이기 위하여 격행 연결 이중층 셔플넷 방식을 이용한 효과적인 채널 공유 방식과 이를 위한 라우팅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채널 공유 방법은 2P개의 노드들이 하나의 채널을 공유하게 하는 방법으로써 전체적으로 필요한 파장 수가 기존의 방법에 비하여 줄어들게 된다. 각 열에 있는 노드는 두 개씩 짝을 이루게 하여 각각의 쌍의 번호를 p-진수로 계산하고, 각 쌍의 위에 위치한 노드에는 2-진수의 0을 첨가하고 아래에 위치한 노드에는 2-진수의 1을 첨가하여 각 노드에 대한 주소를 결정한다. 이와 같이 정해진 주소를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패킷을 중계하도록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4, 2) 토폴로지에서의 경로설정 방법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 PDF

엑티브 네트워크 기반의 고속 이동시 차량 간 통신 프로토콜 (The Network Protocol Among Cars at High-Speed based on Active Network)

  • 장혜숙;이진관;정규철;이종찬;박기홍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9-18
    • /
    • 2008
  • 고속으로 이동 중인 차량들 간의 긴급한 정보를 주고받아 고속도로에서의 다중충돌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차량 통신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도로위의 차량들은 서로 연계성이 없기 때문에 위치추적시스템인 GPS에서 수신한 거리 값을 연계하여 클러스터를 구성한다. 클러스터를 IEEE 802.11 MAC 계층에서 구성하기 때문에 경로 설정으로 인한 과부하문제를 해소 하였다. 논문에서 제안한 액티브 네트워크 기반의 멀티 홉 라우팅 프로토콜은, Active Network를 이용하여 안정된 통신이 이루어 질수 있도록 한다.

  • PDF

uPetCare : 웹2.0을 이용한 유비쿼터스 펫 케어 시스템 (uPetCare : Ubiquitous Pet-Care System using Web2.0)

  • 박준성;이귀로;조진성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15권4호
    • /
    • pp.260-264
    • /
    • 2009
  • 센서네트워크 시스템을 응용한 u-Healthcare 시스템 기술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를 사람이 아닌 동물에 적용시켜 애완동물의 상태를 웹을 통하여 관리할 수 있는 uPetCare(Ubiquitous Pet-Care System)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uPetCare System의 주된 기능으로는 1) 센서를 통한 데이터의 수집, 2) 멀티-홉 통신 3) 싱크 노드에서의 데이터 압축(compression) 및 정리(aggregation), 4) 웹 서버에서의 데이터 저장, 5) AJAX 기술을 통한 실시간 정보 확인 6) 상황 인지 시스템을 통한 펫 관리 시스템을 포함한다.

AOMDV의 특성과 진동 센서를 적용한 이동성과 연결성이 개선된 WSN용 LEACH 프로토콜 연구 (A Research of LEACH Protocol improved Mobility and Connectivity on WSN using Feature of AOMDV and Vibration Sensor)

  • 이양민;원준위;차미양;이재기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8C권3호
    • /
    • pp.167-178
    • /
    • 2011
  • 유비쿼터스 서비스의 성장과 함께 여러 종류의 애드 혹 네트워크가 등장하게 되었다. 특히 애드 혹 네트워크에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와 모바일 애드 혹 네트워크가 많이 알려져 있는데, 앞서 서술한 두 가지 네트워크의 특성을 혼합한 무선 애드 혹 네트워크도 존재한다. 본 논문은 LEACH 라우팅 프로토콜을 혼합 네트워크 환경에 적합하도록 개선한 변형된 LEACH 프로토콜 제안한다. 즉 제안한 라우팅 프로토콜은 대규모 이동 센서 노드로 구성된 네트워크에서 노드 검출과 경로 탐색 및 경로 유지를 제공하며, 동시에 노드의 이동성, 연결성, 에너지 효율성을 유지할 수 있다. 제안한 라우팅 프로토콜은 멀티-홉(multi-hop) 및 멀티-패스(multi-path) 알고리즘을 적용하고, 토플로지 재구성 기법으로는 이동중인 대규모 노드에 대한 노드 이동 평가, 진동 센서, 효율적인 경로 선택과 데이터 전송 기법을 이용하여 구현하였다. 실험에서는 제안한 프로토콜과 기존의 전통적인 LEACH 프로토콜을 비교하여 성능을 나타내었다.

다중 경로 라우팅을 지원하는 IEEE 802.11s기반 메쉬 라우터 구현 (Implementation of a Mesh Router Supporting Multi-path Routing based on IEEE 802.11s)

  • 김정수;정상화;최희진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6권12A호
    • /
    • pp.950-958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다중 경로 라우팅을 지원하는 IEEE 802.11s기반 메쉬 라우터를 구현하였다. IEEE 802.11s에는 현재 다중 경로 라우팅 알고리즘이 정의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IEEE 802.11s에 정의되어있는 단일 경로 라우팅 알고리즘뿐만 아니라 AOMDV기반 다중 경로 라우팅 알고리즘도 구현하였다. 또한 이 메쉬 라우터는 싱글 채널 싱글인터페이스 사용 시, 홉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송수신 대역폭이 급격히 감소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멀티 채널 멀티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도록 구현되었다. 우리는 이 메쉬 라우터를 이용하여 테스트베드를 구축하였으며, 이를 통해 이 메쉬 라우터의 대역폭 성능, 실시간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성능을 검증하였고, 단일 경로 라우팅과 다중 경로 라우팅의 성능을 비교 검증하였다. 이 메쉬 라우터의 평균 TCP 대역폭은 5홉 기준 23.8Mbps이고, 평균 latency는 2.4ms이다. 이 메쉬 라우터의 평균 지터는 5홉 기준 0.547ms이다. 또한 이 메쉬 라우터는 다중 경로 라우팅을 사용함으로써 평균 12.73%의 경로 복구 시간을 단축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