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매설

Search Result 1,042,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Study on the Method to minimize Measuring Burial Depth Error for Submarine Cable (해저케이블 매설심도 측정오차 저감 방법에 관한 연구)

  • An, Yong-Ho;Kim, Yong-Hak;Han, Jeong-Yeol;Lee, You-Jin;Shim, Eung-B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1.07a
    • /
    • pp.2101-2102
    • /
    • 2011
  • 우리나라의 도서지역 전력공급을 담당하고 있는 배전 해저 케이블은 대부분 남해안에 설치되어 있으며, 그 다음으로 서해안 그리고 제주도에 설치되어 있다. 해저케이블 설치방법은 매설방식에 따라 매설 방식과 비 매설방식으로 분류되는데 한국전력공사에서는 배전 해저케이블의 경우 2003년부터 전량 매설방식으로 시공하고 있다. 매설방식으로 해저케이블을 시공할 경우 매설상태의 적합성 여부 판단은 '매설심도'로 판단할 수밖에 없으며, 특히 해저면에 매설된 해저케이블의 매설심도를 어떻게 정확하게 측정해 내느냐가 중요한 Issue로 대두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전기적인 탐사방법 중 자계검출방식을 이용하여 해저케이블 매설심도를 측정할 경우 해저케이블 접지환경 등 전기적인 요인에 의해 매설심도의 측정오차가 발생할 수 있는 것과 측정오차를 저감할 수 있는 방법 및 특성에 관해 연구하였다.

  • PDF

정보시대의 국가지리 정보체계 (7)-서울시 지하매설물안전관리를 위한 GIS 활용방안

  • Gang, Yeong-Ok
    • 정보화사회
    • /
    • s.110
    • /
    • pp.48-55
    • /
    • 1997
  • 지하매설물이란 땅속에 묻혀있는 상수, 하수, 전기, 통신, 전력 등 도시기반시설을 의미하며, 지상시설물에 비해 관리가 어렵고 예기치 않은 사고로 인해 많은 재산상, 인명상 피해를 입힐 가능성을 안고 있다. 우리는 서울 아현동과 대구에서의 대형 가스폭발사고, 도로굴착공사가 끝난지 얼마 안되는 지점에 또다른 매설물의 매설 또는 유지보수를 위해 중복공사가 일어나 교통에 혼잡을 유발하게 되는 경우를 빈번하게 경험하면서 도시의 동맥역할을 하는 이러한 지하매설물에 대한 체계적 관리가 시급함을 실감하게 된다. 특히 선진외국에서 GIS를 도입하여 지하매설물을 데이타베이스화하고 지하매설물 관리체계를 개발하여 지하매설물을 체계적으로 계획하고 관리하며, 대형사고를 사전에 예방하고, 사고가 일어난 경우에는 GIS를 활용하여 보다 신속하게 대처함으로서 피해를 최소화하는 실정을 감안할 때 GIS도입이 이러한 매설물에 대한 체계적 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방안으로서 적극적으로 검토되어야 함을 느낀다. 본 글에서는 첫째, 이러한 지하매설물의 관리실태와 문제점을 분석하고 둘째, 현재 국가 및 서울시에서 추진 또는 계획 중인 지하매설물 관리체계 구축사업내용과 셋째, 지하매설물 데이터베이스가 어떻게 구축되고 유지.관리되어야 할 지에 대하여 간략히 살펴보고자 한다.

  • PDF

Control and Display Device of Underground Object Detect system (지하매설물 탐지시스템의 제어 및 표시장치)

  • 서정만;정순기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6 no.3
    • /
    • pp.35-43
    • /
    • 2001
  • Imposing electromagnetic field using transmitter of buried metal object in skill that detect underground object sensing person atonement in being widowed on the land being magnetized upside numerical value of buried metal object searching way used most widely current by skill be. This paper proposed about mode and detection system of underground object that sense the changed magnetic and judge real radish buried metal object sign of the cook because this treatise forms magnetic in land and design and composition of display device. Also, through simulation of detection system of underground object, showed that can measure radish judgment sign of the cock of underground object

  • PDF

Performance Evaluation of Buried Concrete Pipe under Heavy Traffic Load (교통하중하의 지하 매설관의 거동 평가)

  • Ban, Hoki;Park, Seong-Wan;Kim, Yong-Rak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29 no.12
    • /
    • pp.69-75
    • /
    • 2013
  • Pipeline is very important infrastructure which is directly related to our daily life. Nevertheless, it is not considered significantly unless it breaks. As most pipelines are buried at a certain depth from the surface of road pavement in urban areas, they are subjected to traffic load. This paper presents the performance of buried concrete pipe under heavy traffic load. Hence, one of the major factors affecting their performance is burial depth. To consider this factor, the ratio of burial depth (H) to diameter of pipe (D) was defined as a key variable. The integrity of buried concrete pipe was investigated with two cases of ratio of burial depth to pipe diameter (H/D=2 and H/D=4). The results provide the limit burial depth to ensure the soundness of buried concrete pipe subjected to heavy traffic load, and more economical design is anticipated with the results.

원주방향응력이 매설배관의 축직각 외부균열에 미치는 영향

  • 황인현;이억섭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2000.11a
    • /
    • pp.243-250
    • /
    • 2000
  • 배관을 지하에 매설할 경우 매설배관이 묻히는 깊은 도랑을 트랜치라 하는데 이 트랜치의 폭과 깊이의 칫수를 적절하게 결정하는 것은 매설배관의 건전성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인자중의 하나이다. Watkins는 매설배관의 트랜치 폭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여 최근 그 결과를 발표한바 있다. (1) Fig. 1에 트랜치와 배관의 단면도를 그리고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기술적인 용어를 나타내었다.(중략)

  • PDF

Development of Underground Facilities Management System on Subway Construction (지하철공사를 위한 지하매설물관리시스템 개발)

  • 강인준;장용구;정영미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15 no.1
    • /
    • pp.75-80
    • /
    • 1997
  • In other to construct a subway, we have to consider the position of the subway and acquisition of a topography, profile-map, cross-map, underground facilities map. All information of underground is demanded accurate location in other to prevent of accident of underground in subway construction. We must think about water lines, sewer lines, electronic lines, telephone lines, all urban gas-line because these are needed construction the subway. And attributes of underground facilities recorded on topography are characteristics. length, width. number, position, and depth of the lines. We have to record these attributes because these are very important to design map on subway construction. If we develop 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to use the exact in-formation of the underground facilities, we can be management safely and prevent very dangerous accident as fast as possible. In this study, attribute informations are linked geographic informations about underground facilities and we can develop Underground Facilities Management System(UFMS) to analysis dangerous region through dangerous degreed and predict accident range with these informations.

  • PDF

Numerical study on the behavior of seabed under wave-load (파랑작용에 의한 해저지반의 거동에 관한 수치해석적 연구)

  • Yun, Seong-Kyu;Yun, Jong-Lik;Lee, Yeong-Jun;Kim, Jong-Seong;Choi, Seong-Jun;Kim, Tae-Hyung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0.04a
    • /
    • pp.114-117
    • /
    • 2010
  • 에너지자원(석유, 천연가스, 전기) 이송과 정보전달(해저광케이블)을 위한 다양한 형태의 해저 매설관이 해저면에 설치되어 운영이 되고 있다. 이들 매설관은 지진 또는 해저사면의 유실과 같은 자연재해로 인해 파괴되는 일들이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그 외 태풍 등에 의해 발생되는 파랑하중에 의해서도 이들 매설관이 종종 파괴되는 일이 발생되기도 한다. 태풍 등에 의한 파랑하중은 해저지반에 과다한 과잉간극수압을 발생시켜 지반 액상화를 유발 세굴을 발생시키는데 이로 인해 매설관 하부에는 과도한 인장응력이 유발되어 매설관의 파괴 문제가 야기된다. 만약 석유수송 해저매설관이 파괴되면 경제적?산업적 측면에서 직접적인 피해 이외에도 해양환경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크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파랑하중에 의한 해저매설관 주변 지반의 거동 분석 및 안정성 평가에 관한 연구가 요구된다.

  • PDF

The development of RF-ID system for position recognition of underground facilities (지중 매설물 무선 위치인식 시스템 개발)

  • Lee, W.T.;Lee, J.J.;Park, Y.H.;Kim, K.H.;Kim, S.W.;Lee, Y.C.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1999.07g
    • /
    • pp.3193-3195
    • /
    • 1999
  • 본 논문은 전자유도방식을 이용한 무선인식시스템을 지하매설물에 적용하였다. 설계된 시스템은 송신주파수 132KHz, 응답주파수 66KHz로서 부반송파에 의한 ASK 방식으로 쌍방향 전송방식을 채택하였다. 실험결과 지하 2m 범위까지 4800bps의 전송속도로 60km의 이동속도를 갖는 차량으로 쌍방향 통신이 가능하여 차량을 이용한 지중 매설물 위치탐지 시스템 적용에 별다른 은제점이 없었다. 따라서 본 시스템의 도입으로 방대한 도면이나 DB에 의존해야 하는 기존의 지중 매설물 관리시스템에서 벗어나 정확한 현장 데이터에 의한 효율적인 지하 매설물 탐색은 물론 쌍방향 통신에 의한 신속한 매설물 데이터의 변경으로 신뢰성 있는 지중 매설물 관리가 기대된다.

  • PDF

A Study of Underground Object Detect Method (지중매설물 탐지원리에 관한 연구)

  • 서정만
    • Proceedings of the Korea Electromagnetic Engineering Society Conference
    • /
    • 2001.11a
    • /
    • pp.296-299
    • /
    • 2001
  • 기존의 지중매설물의 탐지방법과 문제점에 대하여 알아보고, 지중매설물의 탐지에 필요한 센서소개 및 원리를 설명, 새로운 지중매설물의 탐지방법의 원리 및 그 구성에 대하여 제안하고 그 실험결과를 살펴본다.

  • PDF

Database Development Guideline for the Effective Management of Underground Facilities in Seoul (GIS를 이용한 지하매설물의 효율적 관리방안 : 데이터베이스 설계 및 구축방안을 중심으로)

  • 강영옥;조태영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5 no.1
    • /
    • pp.115-131
    • /
    • 1997
  • Effective management of underground facilities which include water line, sewer line, electric line, telephone line, gas line etc., is very important for people's safety as well as administrative efficienc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our-fold: first, investigate management status of utility information of each utility companies, second, develope classification system of underground facilities and use this classification system for guidelines of database construction and for the exchange of database among utility companies, third, construct database using existing utility maps in pilot study area and identify accuracy of the existing maps and suggest strategy of database construction, fourth, suggest strategy of database maintenance and its organizational plan in connection with national pla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