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또래지지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23초

또래관계에 대한 자기평가편향과 주관적 안녕감, 대인행동의 관계: 적정한계선 가설의 검증 (How self-estimation bias in peer relationship relates to subjective well-being and to interpersonal behaviors: Testing the optimal margin hypothesis)

  • 이은주;염혜선
    • 한국심리학회지:학교
    • /
    • 제17권3호
    • /
    • pp.263-286
    • /
    • 2020
  • 본 연구는 실제 또래관계에 비해 자신의 또래관계를 긍정적으로 편향되게 지각하는 경향이 주관적 안녕감 및 기본심리욕구 지지적인 대인행동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특히 긍정적 착각의 적정한계선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자기평가편향이 이들 변인과 곡선관계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5, 6학년 346명을 대상으로 또래관계에 한정된 영역특수적 자기평가와 그에 상응하는 객관적 또래관계 지표인 내향중심성을 준거로 자기평가편향을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또래관계에 대한 자기평가편향은 남학생에 비해 여학생에게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자기평가편향은 부정정서와 유의미한 정적 곡선관계, 관계성지지 대인행동과 유의미한 부적 곡선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긍정적 착각의 적정한계선 가설이 의미하는 바와 같이, 긍정적 자기평가편향이 높을수록 부정정서는 낮고 대인관계에서 타인의 관계성 욕구를 지지하는 대인행동을 많이 하지만, 자기평가편향이 적정 수준을 넘어서면 오히려 부정정서는 높아지고 관계성 지지행동은 더 이상 증가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긍정정서, 유능성지지 대인행동, 자율성지지 대인행동에 대해 정적 선형관계를 나타낸바, 긍정적 착각의 적정한계선 가설이 모든 결과변인에 해당하는 것은 아니었다. 연구의 의의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청소년 게임이용의 주관적 규범과 게임 과몰입에 관한 연구 (Effects of Subjective Norm of Game Use on Game Over-Indulgence Among Adolescents)

  • 장예빛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7-14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들의 게임이용에 있어서 또래집단의 영향력이 게임 과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게임이용의 주관적 규범성을 중심으로 하여, 또래관계 내 정서적지지, 교우관계 스트레스, 친구들의 게임에 대한 태도가 게임 과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또래관계 내 정서적지지가 낮을수록, 게임이용의 주관적 규범과 교우관계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게임 과몰입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친구들의 게임에 대한 태도는 게임 과몰입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련이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를 통해 게임 과몰입에 있어서 또래집단이 가지는 의미와 중요성 및 연구의 한계점을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어머니의 놀이신념과 유아의 또래 유능성의 관계 : 유아 놀이성의 매개효과 (Mother's Play Belief and Young Children's Peer Competence : The Mediating Effects of Young Children's Playfulness)

  • 강주연;이진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453-461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의 놀이신념과 유아의 또래 유능성의 관계에서 유아 놀이성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으로 J지역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의 만 4~5세 유아 160명과 그 어머니 160명을 선정하였고, 어머니의 놀이신념과 유아의 놀이성, 또래 유능성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상관분석과 매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놀이신념과 유아의 놀이성, 또래 유능성 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어머니 놀이신념의 하위요인 중 '놀이지지' 신념과 유아의 놀이성, 또래 유능성 간의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반면, 어머니 놀이신념의 하위요인 중 '학습중심' 신념과 유아의 놀이성, 또래 유능성 간의 관계는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놀이성과 또래 유능성 간의 관계에서는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놀이지지' 신념과 유아의 또래 유능성의 관계에서 유아 놀이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놀이성이 부분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를 통해 어머니의 '놀이지지' 신념이 유아의 놀이성을 높이고 이로 인해 유아의 또래 유능성에 정적인 영향력을 증가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개정 누리과정의 실효성을 위하여 부모와 지역사회의 협조를 강조하고 있는 바, 본 논문에서는 어머니의 놀이에 대한 신념이 유아의 놀이성 및 또래유능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검증하였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추후 부모를 대상으로 한 놀이에 대한 인식전환 및 놀이참여 방법 등 놀이관련 교육이 활성화 되어야 할 것이다.

또래지지가 청소년의 품행행동과 위축에 미치는 영향력 : 부정적 자동적 사고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Effects of Peer Supports on Conduct Behavior and Withdrawal of Adolescence : Focusing on Mediating Effect of Negative Automatic Thoughts)

  • 이정숙;송화진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2권6호
    • /
    • pp.59-72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peer support on conduct behavior and withdrawal an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negative automatic thought. The subjects included 461 students(boys 51%, girls 49%) from the 1st to 3rd grades of middle school in Seoul. Conduct behavior and withdrawal was measured by the Korean Youth Self Report and the Conners-Wells'-Adolescent Self Report Scales. Negative automatic thoughts were measured by the Korean Children Youth Automatic Thoughts Scale. Using Amos 20,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conducted. The findings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that peer support had an impact on conduct behavior and withdrawal. Peer support contributed to a reduction of negative automatic thoughts. Negative automatic thoughts had a mediating effect between peer support and withdrawal or conduct. We suggest that peer support affects conduct behavior and withdrawal through negative automatic thought. We also found gender differences; compared with girls, boys received less support from peers. They also had lower levels of negative automatic thoughts and withdrawal than girls. The further study should be considered to provide more correlation factors of peer support.

아동의 영역별 자아존중감에 대한 어머니의 지지 및 또래수용도의 영향 : 단짝친구 지지의 중재효과 (Effects of Mother's Support and Peer Acceptance on Children's Self-Esteem : The Moderating Effects of a Best Friend's Support)

  • 박경리;김경연
    • 아동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85-97
    • /
    • 2001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mother's support and peer acceptance on children's domain specific self-esteem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best friend's support. The subjects were 272 $4^{th}$ and 349 $8^{th}$ grader in Chin-ju. Data were analyzed by the SAS/PC+ program, including Cronbach's ${\alpha}$, Pearson's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and two-way ANOVA. Findings were that peer acceptance had a higher influence on academic-general self, peer-related self, physical-appearance self, personality self and physical-competence self than did mother's support. Mother's support had a higher influence on home self than did peer acceptance. Best friend's support and mother's support interacted with children's physical-appearance self and physical-competence self. Best friend's support and peer acceptance interacted with student's peer-related self.

  • PDF

다문화가정 초등학교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양식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Effects of Stress-coping Styles on Depression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 Focusing on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 양심영;이지영;이주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810-822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정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양식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서울, 경기, 인천의 다문화가정 아동 총 10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다문화가정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양식과 우울은 부적관계, 사회적 지지와 우울과는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가정 아동의 소극적 스트레스 대처,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양식 수준이 높을수록 아동의 우울정서, 행동장애, 흥미상실, 자기비하, 신체적 증상 수준은 낮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다문화가정 아동의 교사지지가 높을수록 스트레스 대처양식과 우울과의 관계를 부분매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다문화가정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양식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또래 지지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다문화가정 아동의 우울에는 스트레스 대처양식과 또래 지지가 상호작용하여 매개변수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가정 아동의 교사지지가 높을수록 스트레스 대처양식과 우울과의 관계를 부분매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미용관련 대학생들의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A Study of Influential Variables on Adaptation to College life among College Students from Cosmetology-related Departments)

  • 유은주;김순구;심선녀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1호
    • /
    • pp.633-642
    • /
    • 2013
  • 본 연구는 부산지역에 소재하는 미용관련대학 재학생 366명을 대상으로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변인들의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첫째, 학교생활스트레스가 하위영역 중 우울과는 정적 상관이 있었고 대학생활적응과는 부적상관이 있었다. 사회적 지지가 많을수록 자기효능감과 대학생활에 적응도가 높은 반면 우울은 낮았다. 자기효능감은 우울과 부적상관이 있으며 학교생활적응과는 정적상관이 있었다. 둘째, 또래지지와 교수지지가 높을수록, 학업문제와 가치관문제가 적을수록, 우울이 낮을수록 학교생활에 적응을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변인들의 영향력 중 학업적응의 영향은 학업문제 변인의 영향력이 가장 높았다. 사회적 적응의 영향은 또래지지의 설명력이 가장 높았다. 정서적 적응과 신체적 적응의 영향은 우울의 설명력이 가장 높았다. 대학애착의 영향은 교수문제의 설명력이 가장 높았다.

아동의 개인적 변인이 또래괴롭힘에 미치는 영향 - 모의 애정 및 교사지지의 상호작용 효과 - (Influences of Personal Variables on Children Peer Bullying - The Interactive Effects of Maternal Affection and Teacher's Support -)

  • 서미정;김경연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187-201
    • /
    • 2005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 of personal variables and environmental variables to the peer bullying experienced by fifth- and sixth-grade children. One result was a significant sex difference in the buoying but not in the victimization. The victimization of boys was influenced by withdrawal and assertiveness. Aggression, emotional regulation and withdrawal were important predictors for buoying, whereas withdrawal and aggression were important predictors for victimization among girls. The interactive effect of withdrawal and teacher's support on victimiza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only for boys, whereas the interactive effect of aggression, maternal affection and teacher's support on bullying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only for girls.

또래관계 경험 및 가족지지에 따른 아동의 심리사회적 적용 (Children′s Peer Experiences, Familial Support, and Psychosocial Adjustment)

  • 정윤주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2권11호
    • /
    • pp.1-15
    • /
    • 2004
  • This study examined the interaction between children's peer experiences and familial support in relation to their psychosocial adjustment(self-esteem and lonelitness). Peer experiences were examined in terms of children's perceptions of peer acceptance and the reciprocity of best friendship. The subjects were 2754th or 5th graders residing in Seoul. It was found that the interaction between children's perceptions of peer acceptance and familial support, and that between the reciprocity of bort friendship and familial support were both significant predictors of children's loneliness whereas only the former w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children's self-esteem. The study results suggest that children's experiences from one type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should be examined in conjunction with their experiences in other types of relationships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the psychosocial domains of child develop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