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박미연 (2000). 초등학생의 또래괴롭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
2 |
정정호(2000). 또래폭력 피해경험에 관한 연구. 서울 대학교석사학위논문
|
3 |
한미현(1996). 아동의 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지지각과 행동문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4 |
황성숙(1999). 학교내 집단따돌림에 대한 일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5 |
Bosworth, K., Espelage, D. L., & Simon, T. R (1999). Factors associated with bullying behavior in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Early Adolescence, 17(4),408-438
|
6 |
Condry, J. C. & Ross, D. F. (1985). Sex and aggression: the influence of gender label on the perception of aggression in children. Child Development, 56, 225-233
DOI
ScienceOn
|
7 |
Ladd, G. W. & Burgess, K. B. (2001).Do Relational Risks and Protective Factors Moderate the Linkages between Childhood Aggression and Early Psychological and School Adjustment? Child Development, 72, 1579-1601
DOI
ScienceOn
|
8 |
Parke, R. D., Cassidy,J., Burks, V. M., Carson, J. L., & Boyum, L. (1992). Familial contribution to peer competence among young children: The role of interactive and affective process. In S. R. Asher & J. D. Coie(Eds.). Peer rejection in childhood.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
9 |
Perry, D. G., Williard, J. C., & Perry, L. C. (1990). Peers' perceptions of the consequences that victimized children provide aggressors. Child Develapment, 61, 1310-1325
DOI
ScienceOn
|
10 |
Schwartz, D., Dodge, K A, & Coie, J. O. (1993). The emergence of chronic peer victimization in boy's groups. Child Development, 64, 1755-1772
DOI
ScienceOn
|
11 |
박영애(1995). 부모의 양육행동 및 형제관계와 아동의 자존감과의 관계.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12 |
서미정, 김경연(2004). 아동의 개인적.환경적 특성 과 또래괴롭힘. 아동학회지, 25(2), 93-108
|
13 |
이지선, 유안진(1999). 분노 및 슬픔 상황에서 아동의 정서조절 동기와 정서조절 전략. 아동학회지, 20(3), 123-137
|
14 |
Zakriski, A L. & Coie, J. D. (1996). A comparison of aggressive-rejectedand nonaggressive-rejected children's interpretations of self-directed and other-directed rejection. Child Development, 67, 1048-1070
DOI
ScienceOn
|
15 |
문용린(1998). 초등학교에서의 정서 지능 개발 프로 그램에 관한 연구. 현장교육탐구 보고, 98(1), 서울: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행정연수원
|
16 |
이춘재, 곽금주(2000). 집단따돌림 경험 유형에 따른 자기개념과 사회적 지지.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3(1), 65-80
|
17 |
Tritt, C. & Duncan, R. D. (1997).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bullying and young adult self-esteem. Journal of Humanistic Counseling, Education & Development, 36(1), 35-44
DOI
ScienceOn
|
18 |
Troy, M. & Sroufe, L. A (1987). Victimizationamong preschoolers: Role of attachment relationship history.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26, 166-172
DOI
|
19 |
Perry, D. G., Kusel, S. J., & Perry, L. C. (1988). Victims of peer aggression. Developmental Psychology, 24, 807-814
DOI
|
20 |
Rigby, K. & Slee, P. T. (1991). Bullying among Australian school children: Reported behavior and attitudes toward victims.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137(3), 357-368
DOI
ScienceOn
|
21 |
이규미, 문형춘, 홍혜영(1998). 상담사례를 통해서 본 '왕따' 현상. '왕따'현상에대한 이해와 상담 접근. 서울특별시 청소년 종합상담실 개원 1 주년 심포지엄 자료집
|
22 |
Zeman, J. & Garber, J. (1996). Display rules for anger, sadness, and pain: It depends on who in watching. Child Develapment, 67,957-973
DOI
ScienceOn
|
23 |
Rigby, K. & Slee, P. T. (1993). Dimensions of interpersonal relation among Australian children and implications for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133(1), 3342
|
24 |
이경님(2001). 아동의 또래괴롭힘과 관련변인간의 인과관계 -아동의 행동문제, 내외통제소재와 어머니의 양육행동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39(8), 37-52
|
25 |
Hodges, E. V. E.,Malone,M. J.,& Perry, D. G. (1997). Individual risk and social risk as interacting determinants of victimization in the peer group. Developmental Psychology, 33, 1032-1039
DOI
ScienceOn
|
26 |
Kupersmidt, J. B., Coie, J. D., & Dodge, K A. (1990). The role of poor peer relationships in the development of disorder, In Steven R. Asher & John D. Coie(ed.)Peer Rejection in Childhood. New York: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
27 |
임지영(1998). 또래괴롭힘이 아동의 외로움과 불안에 미치는 영향.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8 |
김경희(1997). 한국아동의 정서에 관한 심리학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0(1), 43-56
|
29 |
심희옥(2002). 아동의 심리사회적인 발달과 또래괴 롭힘의 가해.피해.친사회적 행동과의 횡.종단적인 관계. 아동학회지, 23(3), 1-15
|
30 |
이해경, 김혜원(2000). 폭력노출이 집단괴롭힘 가해와 피해 행동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변인들 과의 상호작용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3(1), 95-113
|
31 |
Kochenderfer, B. J. & Ladd, G. W. (1996). Linkages between parent-child interactions at home and children's peer victimizationin school. In P. K Smith,W. Craig.& E. Hennessy(chair),Parenting and school bullying. Symposiumconducted at the biennial meeting of the ISSBD, Berne, Switzerland
|
32 |
최진희(2000). 아동의 행동문제와 또래괴롭힘이 학교적용과 우정관계에 미치는 영향의 경로분석. 숙영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33 |
Perry, D. G., Perry, L. C., & Kennedy, E. (1992). Conflict and the development of antisocial behavior. In C. U. Shantz & W. W. Hartup(Eds.), Conflict in child and adolescent development. 301-329.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
34 |
이은지(2002). 아동의 스트레스와 적응과의 관계 -개 인적 요인 및 환경적 요인의 스트레스 중재효 과를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35 |
김희화(2001). 청소년의 집단 괴롭힘과 학교생활 특성에 관한 연구. 청소년학연구, 8(2), 119-142
PUBMED
|
36 |
한종철, 김인경(2000). 또래따돌림과 심리사회적 부적응.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6(2), 103-114
|
37 |
한영주(1999). 중,고등학교 집단따돌림(왕따) 가해 자 및 피해자의 특성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38 |
Eisenberg,N., Guthrie, I. K, Fabes, R. A., Reiser, M., Murphy, B. C., Holgren, R., Maszk, P., & Losoya, S. (1997). The Relations of Regulation and Emotionality to Resiliencyand Competent Social Functioning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Child Development, 68(2), 295-311
|
39 |
Sharp, S. & Smith, P. K (1991). Bullying in the UK schools: The DES Sheffield Bullying Project. Early Child Develapment Care, 77, 47-55
DOI
|
40 |
이상균(1999). 학교에서의 또래폭력에 영향을 미치 는 요인.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41 |
Olweus, D. (1993). Bullying at school : what we know and what we can do. Oxford:BlackwellPublishers
|
42 |
Scaramella, L. V., Conger, R. D., & Simons, R. L. (1999). Parental Protective Influences and Gender-Specific Increases in Adolescent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s. Journal of Research on Adolescence, 9(2), 111-141
DOI
ScienceOn
|
43 |
Rothbart, M. K, Ahadi, S. A, & Evans, D. E. (2000). Temperament and personality: Origins and outcom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8, 122-135
DOI
ScienceOn
|
44 |
오경자, 이혜련, 하은혜, 홍강의(1996). 한국판 CBCL 의 문제행동증후군 척도 재구성을 위한 연구. 서울의대 정신의학, 20(1), 45-52
|
45 |
이은희, 공수자, 이정숙(2004). 청소년들의 가정. 학교, 지역의 심리사회적 환경과 학교폭력과의 관계: 분노조절과 비행친구 접촉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6(1), 123-145
|
46 |
이해경, 김혜원(2001). 초등학생들의 집단괴롭힘 가 해행동과 피해행동에 대한 사회적, 심리적 예 측변인들: 학년과 성별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5(1), 117-138
|
47 |
Bernstein, J. Y. & Watson, M. W. (1997). Children who are targets of bullying : a victim pattern. Jounuzl of Interpersonal Violence, 12(4), 483-498
DOI
ScienceOn
|
48 |
도현심, 최미경(1998).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또래경험과 아동의 자아존중감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19(2), 19-15
|
49 |
강성희, 이재연(1992). 아동의 적응에 있어서 사회적 지지와 사회적 문제해결기술의 스트레스 완충효과에 대한 연구. 아동학회지, 13(2), 175-188
|
50 |
Hoffman, M. L. (1982). Development of prosocial motivation: Empathy and guilt. In N. Eisenberg(Ed.). The development of prosocial behavior. New York:Academic Press
|
51 |
Salmivalli, C., Huttunen, A, & Lagerspetz, K M. J. (1997). Peer networks and bullying in schools. Scandinavian Journal of Psychology, 38, 305-312
DOI
ScienceOn
|
52 |
Elliot, S. N. & Gresham, F. M. (1991). Social skills intervention guide. American guidance services
|
53 |
김은정, 김인경, 정태연 (2001). 집단 괴롭힘을 당하는 집단의 심리적 취약성.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0(2), 245-257
|
54 |
이점숙, 유안진(1999). 개인적인 요인과 사회적인 요인에 따른 직접적인 괴롭힘과 관계에서의 따 돌림. 아동학회지, 20(3), 107-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