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디지털 치과학

검색결과 209건 처리시간 0.037초

국소의치 구조물(framework)의 CAD-CAM 제조방식에 따른 정확도: 문헌고찰 (Accuracy of CAD-CAM RPD framework according to manufacturing method: A literature review)

  • 이유승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9권3호
    • /
    • pp.370-378
    • /
    • 2021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CAD-CAM 방식으로 제작한 RPD framework의 제조 과정 및 제작 방법에 따른 적합도를 문헌 고찰을 통해 평가하는 것이다. 재료 및 방법: 다음의 PICO (patient, intervention, comparison, and outcome) 질문과 관련한 특정 키워드를 이용하여 PubMed 데이터베이스 상에서 포괄적인 문헌 검색을 시행하였다: "제조 과정 및 제작 방식에 따라 디지털 RPD framework의 정확도에 차이가 있는가?" 결과: 총 7개의 문헌이 선택되었으며, 이 중 두 문헌에서 구강스캔과 모형스캔을 이용한 디지털 RPD framework의 정확도에 관하여 비교하였으나, 일관된 결과를 얻지 못하였다. 제작 방식에 따른 비교 문헌에서는 적층 가공 또는 절삭 가공을 통해 제작된 RPD framework 모두 임상적으로 허용가능한 수준의 정확도를 보였으며, PEEK (Polyetheretherketone) milling RPD framework가 전통적 주조방식으로 제작하거나 3D 프린팅으로 제작한 RPD framework보다 높은 적합도를 보였다. Milling RPD framework에서는 direct 방식으로 제작한 경우에 indirect 방식의 경우보다 우수한 적합도가 관찰되었으나, 3D 프린팅 RPD framework에서는 indirect 방식으로 제작한 경우에 더 높은 적합도를 보였다. 결론: CAD-CAM 기술을 이용하여 제작된 디지털 RPD framework는 제조 과정이나 방식에 관계없이 임상적으로 허용되는 수준의 정확도를 보였다. 구강스캔 또는 모형스캔의 디지털 인상 채득 방법에 따라서는 일관된 결과가 보고되지 않았으며,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

임시 의치와 이중 디지털 스캐닝 기법을 활용한 전악 고정성 임플란트 수복 증례 (Full mouth rehabilitation with fixed implant-supported prosthesis using temporary denture and double digital scanning technique: a case report)

  • 신석현;박찬익;강세하;문지은;오민석;박철민;전우진;한성구;김선재;최수진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1권3호
    • /
    • pp.245-256
    • /
    • 2023
  •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 제작 시 디지털 시스템을 이용하여 수복할 때, 3차원적인 임플란트 위치의 구내 스캔과 임시 의치 혹은 임시 보철물 장착 후 구내 스캔을 이용한 이중 디지털 스캐닝(double digital scanning) 기법이 필요하다. 구내 스캔 시, 스캔 바디를 안정적인 랜드마크로 이용하면 다지털 인상의 정확도 향상과 기공과정이 효율적이고 단순화될 수 있다. 본 증례는 완전 디지털 시스템을 활용하여 맞춤형 치과용 임플란트 지대주 및 임시 보철물, 최종 보철물을 계획하고 제작하였다. 임플란트 식립 후, 임플란트에 체결한 구내 스캔 바디와 임시 의치 조직면에 인기 된 구내 스캔 바디의 스캔 영역을 중첩하였다. 중첩된 파일에서 임시 의치의 수직 고경에 맞는 맞춤형 치과용 임플란트 지대주와 임시 보철물을 제작하여 환자에게 시적 하였고, 임시 보철물을 토대로 최종 보철물을 제작하였다. 임시 의치 제작 시 설정한 수직 고경, 중심위 등을 최종 보철물까지 활용하여 기능 및 심미적으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어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CBCT 기반 디지털 안궁이전과 아날로그 안궁이전의 위치 편차: 증례보고 (Positional deviation between CBCT-based digital facebow transfer and analog facebow transfer: case series)

  • 박명현;손큰바다;안휘균;이두형;김소연;이규복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9권3호
    • /
    • pp.176-185
    • /
    • 2023
  • 조절성 교합기에 모형을 부착하기 위하여 안궁이전이 필요하다. 아날로그 안궁이전에서는 장비의 정확도와 작업자의 숙련도가 모형 부착 결과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더불어 편차가 큰 방법으로 부착된 작업 모형에서는 정확한 치과 보철물의 제작이 어려우므로, 아날로그 안궁이전으로 부착된 작업 모형의 위치 편차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증례에서는 아날로그 안궁이전으로 부착된 상악 모형의 위치와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 데이터를 기반으로 위치된 상악 모형의 위치를 거리 편차와 교합 평면의 각도 편차를 평가하였다. 이를 토대로 아날로그 안궁이전으로 부착된 상악 모형의 편차를 보고하였다. 아날로그 안궁이전 방법은 3 - 16 mm의 선형 편차와 5 - 7도의 교합평면 각도 편차를 가지는 상악 모형의 부착 결과를 나타내었다. 아날로그 안궁이전은 환자별로 위치 편차가 다를 수 있음을 확인했으며, 치과 보철물 제작에서의 부정확성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결과는 임상에서 아날로그 안궁이전 방법이 상악 모형을 부착하는 과정에서 큰 편차가 있을 수 있음을 나타내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소아청소년에서 제1대구치의 기성금속관 수복 후 교합 변화 (Changes of Occlusion following the Placement of Preformed Metal Crown to the Permanent First Molar in Children and Adolescents)

  • 김지웅;이난영;지명관;이상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45-56
    • /
    • 2022
  • 이 연구의 목적은 심한 우식 또는 저광화에 이환된 제1대구치에 기성금속관을 수복한 후 교합 변화에 대해 평가하는 것이다. 제1대구치가 교합 평면까지 도달하여 교합되는 환자 중 기준에 부합하는 2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하나의 제1대 구치에 기성금속관으로 수복치료를 진행하였다. 치료 전, 치료 직후, 4주 후, 8주 후 검진마다 T-Scan III을 사용하여 최대교두감합위에서 교합력 분포를 측정하였고 디지털 버니어 캘리퍼로 수직피개를 측정하였으며 정중선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8주 후 검진에서는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다. 대부분 치료 전과 비교해서 치료 직후 악궁에서 수복한 쪽과 수복하지 않은 쪽 사이의 교합력 분포가 역전되었으며 수직피개는 감소했다. 하지만 4주 후에 좌, 우측 교합력이 평형을 이루었고 수복한 제1대구치와 수복하지 않은 제1대구치의 교합력 분포는 비슷한 값을 가졌다. 또한 변화한 수직피개, 정중선은 치료 전 상태로 회복되었고 치료 후 유의할만한 턱관절 및 저작 불편감은 없었다. 이번 연구를 통해 기성금속관 수복 후 한 달 뒤에 자발적인 교합 평형이 이루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디지털 인상채득 및 CAD/CAM을 이용한 상악 전치부 보철물 제작과 기존 방식 보철물과의 임상적 비교 (Maxillary anterior all ceramic restoration using digital impression and CAD/CAM)

  • 표세욱;박영범;김지환;문홍석;이근우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263-269
    • /
    • 2011
  • 기존 인상채득법에 비해 보다 정확하고 편리한 보철치료를 위하여 최근 디지털 인상채득법이 개발되고 있다. CAD/CAM과 더불어 디지털 인상채득법의 도입으로 치과 진료의 디지털화가 현실로 다가오는 시점에서, 본 증례는 디지털 인상채득 후CAD/CAM으로 제작한 보철물과 기존 방식으로 인상채득하여 제작한 보철물의 차이점을 임상적으로 알아보고 그 과정을 자세히 소개하였다. 22세 여자 환자가 상악 좌측 중절치의 변색과 모양 개선을 위해 보철 치료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8년전 외상으로 인해 근관치료 및 포스트를 시행 후, 치관 결손부는 레진으로 수복한 상태였으며, 전부도재관 치료계획 수립 후 환자의 동의 하에 서로 다른 방식의 2가지 보철물을 제작하여 비교해 보기로 하였다. 환자의 지대치를 기준으로 각 보철물의 내면적합도를 비교해본 결과, 두 보철물 모두 임상적으로 수용할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나 아직까지는 기존 방식 보철물에 비해 디지털 방식의 보철물이 내면적합도에 있어서 더 큰 오차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발치 후 지르코니아 보철물 제작에서 최적의 연조직 적합 형성을 위한 디지털 치료 증례 (Digital approach for fabrication of zirconia restoration with optimal gingival adaptation after tooth extraction: A case report)

  • 마이항나;이두형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8권3호
    • /
    • pp.217-220
    • /
    • 2020
  • 발치 후 고정성 지르코니아 보철물을 제작하는 경우 통상적으로 임시레진 보철물을 수작업으로 제작하고 보철단계에서 인상채득하여 최종 보철물을 제작한다. 이러한 전통적인 방식은 임시보철물과 최종 보철물 사이의 연계가 부족하고 결과의 심미적 기능적 예측성이 낮을 수 있다. 현재 CAD/CAM 방식의 보철물 제작과 관련 디지털 기술이 발전하여 진료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본 증례에서 발치 후 고정성 단일구조 지르코니아 보철물을 계획하는 경우 CAD/CAM 방식 임시보철물, 발치와 치유 후의 구내스캔, 컴퓨터 영상중첩술을 이용하여 최적의 가공치 적합도를 가지며 치료의 결과 예측도가 향상된 디지털 방식을 소개하고자 한다.

고투명도 입방정상 지르코니아(5Y-PSZ) 라미네이트를 이용한 왜소치의 비침습적 심미 수복 증례 (A noninvasive esthetic treatment of isolated microdontia using new high-translucent cubic-phase zirconia (5Y-PSZ) laminate veneers: A case report)

  • 안민진;안도관;표세욱;김희경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7권3호
    • /
    • pp.263-270
    • /
    • 2019
  • 치아수복의 최신 경향은 심미적인 개선과 건강한 치아 조직의 유지에 중점을 둔 보존적 심미 치료이다. 본 증례에서는 디지털 워크플로우를 사용하여 왜소치 환자에서 고투명도 입방정상 지르코니아(5Y-PSZ) 라미네이트를 이용한 비침습적 심미 치료의 성공적인 결과를 보고하고 임상적 의의를 평가하였다. 왜소치의 가족력이 있는 15세 여자 환자가 상악 전치부의 심미적 개선을 주소로 아주대학교 치과병원을 내원하였다. 별도의 치아 삭제 없이 디지털 인상 및 캐드캠 시스템을 통해 적절한 출현윤곽을 고려한 고투명도 입방정상 지르코니아(5Y-PSZ) 라미네이트를 제작하여 상악 6전치를 수복하였다. 최종 수복물 장착 6개월 후, 기계적 및 생물학적 합병증은 발견되지 않았으며 기능 및 심미적으로 만족스러운 결과를 보였다. 지르코니아의 치주 조직 친화성 및 개선된 투명도로 입방정상 지르코니아(5Y-PSZ)는 비침습적 심미보철 재료로 고려될 수 있다.

금속도재, 전장도재, 지르코니아 수복물에서의 도재 파절 (Porcelain Fracture in Metal Ceramic, All ceramic and Zirconia restoration)

  • 김철연
    • 대한심미치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46-53
    • /
    • 2023
  • 도자기 파절은 금속도재, 전부도재, 지르코니아 수복물의 흔한 문제점이다. 이와 관련되 여러가지 요소들이 제시되는데, 금속의 물성, 금속도재의 금속 코핑의 형태, 가공 방법, 지지형태, 교하벽, 비기능적 습관들이 포함된다. 이 논문에서는 이런 요소들을 조금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한 필름 두부방사선사진의 디지털 이미지 전환 (Digital imaging of film-based cephalograms using a digital camera)

  • 왕성진;김경호;최광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448-457
    • /
    • 2004
  • 환자의 진단과 치료계획 수립시 필수적인 두부방사선사진 분석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의 개발로 기존의 필름 두부방사선사진을 디지털 이미지로 전환시키는 과정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 때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할 경우 초점거리에 따른 이미지의 왜곡이 발생하는데 이는 두부방사선사진 분석시 계측치의 오차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이미지 크기와 압축비에 따른 디지털 이미지의 질에 의해서도 두부방사선사진 분석시 가장 중요한 과정인 계측점식별에 있어 오차를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COOLPIX4500 디지털 카메라(Nikon, Japan)를 이용하여 기존의 필름 두부방사선사진을 디지털 이미지로 전환시 최소한의 왜곡을 보이는 초점거리를 결정하고 필름 두부방사선사진상에서 보이는 수준의 정확한 계측점 식별을 위한 최소한의 디지털 카메라 셋팅에 관하여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기존의 필름 두부방사선사진 촬영시 초점거리 16.4mm (35mm 필름 카메라로 환산시 79.4mm)에서 최소한의 상의 왜곡을 보였다. 초점거리가 16.4mm보다 짧은 광각(wide) 촬영시 상의 원통형 왜곡(barrel distortion)이 발생했고 16.4mm 보다 긴 망원(tele) 촬영시 상의 실패형 왜곡(pincushion distortion)이 발생했다. 필름 두부방사선사진상에서 직접 손으로 tracing한 필름 이미지 셋팅 수준의 정확한 계측점 식별을 위한 최소한의 디지털 카메라 셋팅은 $2272{\times}1704 pixel\;normal(1/8)$ compression 이었다. 따라서 COOLPIX4500 디지털 카메라(Nikon, Japan)를 이용하여 기존의 필름 두부방사선사진을 디지털 이미지로 전환하는 경우 초점거리 16.4mm에서 최소한 $2272{\times}1704$ 픽셀 (pixel) 이미지 사이즈와 normal(1/8) 압축비의 셋팅을 설정하여야 한다.

적층가공을 이용한 임시의치 제작 및 기존방식의 임시의치와의 비교 증례 (Fabrication of additive manufacturing interim denture and comparison with conventional interim denture: A case report)

  • 김현아;임현필;강현;양홍서;박상원;윤귀덕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7권4호
    • /
    • pp.483-489
    • /
    • 2019
  • 디지털치의학의 발달과 함께 computer-aided design and computer-aided manufacturing (CAD/CAM)을 이용한 3D 제작산업이 최근 급격한 성장을 하고 있다. 디지털 방식을 이용한 의치 제작 또한 최근의 디지털치의학 기술의 발전으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CAD/CAM 제작방법은 크게 두가지 타입으로 나눌 수 있다: 절삭가공, 적층가공, 밀링과 같은 절삭가공은 블록 형태의 재료를 깎아 제조하는 기술을 토대로 하며, 3D printing과 같은 적층가공은 재료를 적층 방식으로 쌓아 올려 제조하는 기술을 토대로 한다. 적층가공은 밀링이 어려운 복잡한 구조의 제작에 적용할 수 있다. 본 증례에서, 적층가공방법이 레진상 총의치 제작에 이용되었다. 디지털방식을 적용한 의치의 사용기간동안 기능적, 심미적으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보여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