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디지털활용

Search Result 7,057,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A Study on the Current Condition and the Improvement of Digital Literacy Education (디지털 정보활용교육 운영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 Bae, Kyung-Jae;Park, Hee-Jin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44 no.2
    • /
    • pp.241-265
    • /
    • 2013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e of digital literacy education in Korean public libraries and suggest improvements. The education programs were analyzed, which are offered in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and related social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in order to explore the digital literacy education program required for public libraries. An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38 librarians of the regional central libraries. Respondents reported that a cooperative program for digital literacy education with national library is essential, due to the lack of the budget and digital literacy resources. Based on the analysis, a model of the National Digital Library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and the cooperative programs for digital literacy education were proposed.

The Utilization of Metadata Elements and Content Designation for Improving Semantic Interoperability in Context of Digital Libraries (디지털 도서관의 의미적 상호운용성(Semantic Interoperability) 향상을 위한 메타데이터 요소와 활용에 관한 연구)

  • Chung, Eun-Ky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42 no.1
    • /
    • pp.193-211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semantic interoperability in terms of metadata elements and content designation in context of digital libraries. This study analyzed 78 digital libraries implemented using Greenstone application with respect to metadata elements and their content designation. Using crosswalks of digital libraries' metadata elements, and comparisons of content designation in elements. this study identifies three aspects which can impact semantic interoperability. First, there were less than 25% core metadata elements even within homogeneous information communities. Second, discrepancy exists between element names and their usage. Third, different levels were identified when assigning content to designated elements in terms of integrity and completeness.

A Study on University Students' Use and Assesment with Digital Devices and Services for Realizing Smart Campus (스마트 캠퍼스 실현을 위한 대학생의 디지털 기기/서비스 활용성 및 유용성 조사)

  • Lee, Jin-Myong;Jo, Eun-Bit;Li, Hua-Yu;Rha, Jong-You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5 no.7
    • /
    • pp.27-39
    • /
    • 2017
  • To grasp the current status of smart campus and look for future direction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usage rate and perceived usefulness of digital devices and services by conducting online survey of 580 university student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martphones have the highest ownership rate, followed by laptops, desktops, and digital cameras. Purchase intention of virtual reality devices is highest followed by smart watches/bands, and tablets. Second, mobilization in campus life is almost realized, however the usage of desktops is still high in education and administration context. Digital devices have been perceived particularly useful when searching and sharing information. Third, students use digital services such as search engines, messengers, and online libraries in their learning, and they use messengers, music and video services in their lives. Service usage rate and perceived usefulness are not proportional.

Analysis of the Vulnerable Class on Digital Divide (디지털 정보격차에 대한 취약계층의 계층별 분석)

  • Sun Hee Kwon
    • Knowledge Management Research
    • /
    • v.23 no.4
    • /
    • pp.1-19
    • /
    • 2022
  • As the untact culture spreads, the digital divide, which is a problem of access to digital information for the vulnerable, can appear as information inequality in various fields, including the social and cultural field. This study identified the digital divide level for the vulnerable population and analyzed the effects of information accessibility, demographic and social characteristics, and physical and mental health characteristics on the information level. As a result, the higher the accessibility of information, the smaller the digital divide and the greater the digital utilization, so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accessibility of information devices and increase the ability to utilize them. In addition, the higher the age, the more women than men, and the lower the income level, the greater the digital divide, so it is necessary to increase digital capabilities through detailed class-specific programs for the vulnerable. Finally, it was found that the digital divide and the level of digital literac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life satisfaction and daily life satisfaction of the vulnerable. The expansion of competency-building education programs to enhance information utilization capabilities by changing the paradigm to a digital inclusion policy should be continuously operated.

A Study on Expression for Indoor Design base of Interactive using Digital Art (디지털 아트를 활용한 인터랙티브 기반의 실내공간디자인 표현 연구)

  • Kim, JaeHeon;Park, Byeong-Ju;Choi, Yeong-Geun;Park, Su-Jin;Kim, Chee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9.10a
    • /
    • pp.635-638
    • /
    • 2009
  • The latest, Digital art is attempt new field's Art, that is utilize variously digital media image, sound, simulation, 3D holography. A large number of Digital Art is contact with the audiance in pavilion(limit place and limit period). However, It will be possible, If Digital Art can use place digital form media even there are indoor, outdoor, anywhere. This paper analyze reciprocal action for utilize Digital Art in indoor space design, and this paper study expression about indoor design base of interactive.

  • PDF

The Effect of Utilizing the Digital Mind Map on Interest and Metacognition of Learners in Elementary School (디지털마인드맵을 활용한 컴퓨터수업이 초등학생의 학습흥미도와 초인지에 미치는 효과)

  • Kim, Soo-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1.06a
    • /
    • pp.245-248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컴퓨터교육에서 디지털마인드맵을 활용한 컴퓨터 수업이 학습자의 학습흥미도와 초인지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수원시에 소재한 S초등학교 6학년 1개 학급 26명을 실험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은 매주 1차시 정보재량시간을 이용하여 4차시에 걸쳐서 진행하였으며, 실험 사전 사후에 학습자들의 학습흥미도와 초인지 검사도구를 통하여 조사하였다. 디지털마인드맵을 활용한 수업이 실제로 학습자의 학습흥미도와 초인지 향상에 효과를 미쳤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면담을 통한 질적평가도 실시하였다. 검사도구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가지고 사전-사후 학습흥미도와 초인지의 평균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지 확인하기 위해 두 종속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디지털마인드맵을 활용한 컴퓨터수업은 초등학생의 학습흥미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지만 초인지 향상 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면담결과로 미루어 보아 일정부분 초인지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유추해 볼 수 있었다.

  • PDF

Repertory Grid 방법을 활용하여 디지털콘텐츠 특성 도출

  • Lee, Jeong-U;Park, Se-Beom;Im, Seong-Jun
    • 한국경영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6a
    • /
    • pp.33-38
    • /
    • 2007
  • 인터넷이 생활의 저변에 확산된 현재의 환경에서 디지털콘텐츠를 접할 수 있는 기회가 많아지고 더불어 디지털콘텐츠를 통해 부가가치를 생산해 내려는 산업적 관심이 높아져 가고 있다. 디지털콘텐츠의 장점을 적절히 활용하여 수익을 창출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디지털콘텐츠가 가지는 특성을 이해하는 것이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경험재로써의 디지털콘텐츠에 초점을 두고 사용자가 디지털콘텐츠를 경험하면서 느끼게 되는 특성을 도출해 내었다. 문헌조사를 통해 디지털콘텐츠를 이루는 8개의 element를 찾아내어 각 element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디지털콘텐츠 인식 구조를 도출해내기 위해 Repertory Grid 방법을 수행하였다. 5점 척도로 점수를 부여하는 Repertory Grid 방법으로 인터뷰와 인터넷을 이용한 설문을 동시에 시행하여 피험자로부터 48개의 construct을 도출해냈다. 본 연구결과의 의의는 미리 정의된 특성을 부여하지 않고 순수하게 사용자의 경험으로부터 도출되는 디지털콘텐츠의 특성을 도출해 내었다는 데 있다. 즉 디지털콘텐츠의 본질을 정의하고 분류체계, 품질체계를 규정할 수 있는 연구의 초석을 마련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Design and Operation of Digital Education (including Artificial Intelligence) Subjects for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디지털교육(인공지능포함) 교과목 설계 및 운영에 관한 연구)

  • Yan Ha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07a
    • /
    • pp.373-374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디지털교육(인공지능포함) 방안을 제시하며, 이에 맞는 교과목 설계 및 운영에 관한 연구입니다. 최근 4차 산업혁명시대를 맞아 교육부에서 유아교사 자격취득을 위한 세부기준을 발표했는데, 교직과목 중 교직소양영역에 디지털교육을 반드시 포함하도록 하였습니다. 이는 디지털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교과 과정에 디지털 이해, 디지털 교과 융합교육, 디지털 활용 교육, 디지털윤리 등을 균형있게 학습하도록 하고 있다. 특히 유아교육분야는 유아교사로서 디지털 이해, 활용 및 소양 뿐 만 아니라 유아교육에서 디지털 교과 융합, 인공지능 교육 등을 학습시키는 방안 역시 중요하므로 본 교과목을 통해 미래사회를 주도하는 유아교육분야에 기여하는 바가 크다. 따라서 전문적이고 체계적으로 본 교과목을 설계 및 운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Effects of Teachers' Personal Backgrounds and Training Experiences on Digital Textbook Usage Competency, Understanding, Recognition of Effectiveness, and Attitude (교사의 개인배경과 연수경험이 디지털교과서 활용역량, 이해수준, 효과성 인식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 Lim, Keol;Park, Sang-Hoon;Kim, Mi Hwa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4 no.9
    • /
    • pp.53-61
    • /
    • 2016
  •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effectiveness of teachers' backgrounds and digital textbook training experiences on digital competency, understanding of the digital textbook, perception of the digital textbook effectiveness and attitude toward the digital textbook. A total of 101 valid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statistical package. As a result, male teachers showed higher digital competency than female teachers. Also, teachers who experienced with digital textbook training understood more about the digital textbook. It was suggested that a newly structured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for the digital textbook considering teachers' personal backgrounds should be developed.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hydrologic simulation system using the digital twin-based SWAT model (디지털 트윈 기반의 SWAT 모델을 활용한 수문 모의 시스템 개발 및 평가)

  • Yechan Jeong;Seoro Lee;Gwanjae Lee;Yeonji Jeong;Yonghun Choi;Sangjoon Bak;Kyoung Jae Li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224-224
    • /
    • 2023
  • 국내·외로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SWAT) 모델은 유역 단위에서 유출 및 수질을 예측하는데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SWAT 모델의 결과물은 데이터 테이블 형식으로만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모델 사용자가 유역 내 하천별 수문 모의 결과물을 직관적으로 확인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최근 다양한 분야에서 3D 가상환경을 구축하는데 디지털 트윈 기술의 활용성이 증가하고 있다. 디지털 트윈 기술은 현실의 공간을 가상환경으로 구축해 실시간 현실의 상황을 파악하여, 의사결정 지원을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트윈 기술과 SWAT 모델을 연계하여, 모델의 결과값을 가상환경 3D 지도인 CESIUM에 실시간으로 표출할 수 있는 디지털 트윈 기반 SWAT 모델 수문 모의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 시스템은 3D 지형에 SWAT 모델을 통해 모의 된 하천의 수위 및 SS에 대한 표출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기후나 유역환경에 따른 유역 내 수문 변화를 시·공간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향후 본 연구에서 개발된 디지털 트윈 기반 SWAT 모델 수문 모의 시스템은 홍수 및 가뭄과 같은 재해에 대응할 수 있는 유역 및 하천관리 대책을 효율적으로 수립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