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디자인선호

검색결과 834건 처리시간 0.023초

SVG에 기반한 홈 네트워크 모바일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 (Home Network Mobile User-Interface Design Based on SVG)

  • 유기필;권오봉;박덕규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6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33 No.1 (B)
    • /
    • pp.94-96
    • /
    • 2006
  • 핸드폰이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 휴대용 단말기의 보급이 급속히 늘어나면서 이를 통한 모바일 콘텐츠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비전문적인 개발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편리하게 디자인 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적은 용량으로 고품질의 그래픽을 구현할 수 있는 2D 벡터그래픽 표준인 SVG(Scalable Vector Graphics)를 사용하여 홈 네트워킹을 제어하는 모바일 기기(PDA)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자인하는 방법에 대하여 고찰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의 특징은 선호인터페이스(Preference Interface) 설정, 하향식(Top-Down) 방식 화면구성, 그리고 동적 SVG 이미지 활용 등이다.

  • PDF

1인 가구 라이프스타일 기반 스마트홈 공간디자인 연구 (A Study on the smart home space design based on lifestyle of one person household)

  • 전진배;안세윤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8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261-262
    • /
    • 2018
  • 현대사회의 1인 가구는 전 연령대에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꾸준히 늘어날 전망이다. 4차 산업혁명의 도래와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스마트홈서비스를 1인 가구가 효과적으로 제공받기 적합한 공간디자인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1인 가구의 현황 조사와 1인 가구 라이프스타일 분석과 원룸형 주택의 구조 및 유형 분석, 국내 스마트홈서비스 선호도 조사로 진행되었다. 이를 통해 1인 가구의 라이프스타일을 반영하여 스마트홈서비스가 적용될 수 있는 공간디자인 방향을 계획하였다.

  • PDF

감성 공학적 접근에 의한 터치폰의 자유 드로잉 GUI에 대한 연구 (A study of the free drawing GUI of the touch phone by human sensibility ergonomics approach)

  • 김지혜;황민철;김종화;우진철;김치중;김용우;조봉화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75-178
    • /
    • 2009
  • 본 연구는 감성공학적 접근법으로 터치 모바일 폰의 자유 드로잉 GUI 요소를 디자인 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검증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의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첫째, 터치폰에서 자유드로잉하는 행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남 녀 대학생 57 명을 대상으로 터치폰 일기를 쓰게 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관찰 대상자가 선호하는 패션, 좋아하는 이미지를 수집하여, IRI 표준 이미지 스케일 맵에 매핑하여 감성 요소를 추출하였다. 둘째, 추출된 감성 요소는 Norman(2002)에 의거한 감각적(Visceral), 행태적(Behavioral), 심볼적(Reflective) 감성 어휘로 도출하고, 요인 분석을 통해 대표 감성 어휘를 도출하였다. 셋째, 자유 드로잉을 위한 터치 모바일폰 GUI 요소를 도출한 후 대표 감성 어휘와의 관계성을 분석하여 관계성이 높은 디자인 요소를 추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추출된 대표 디자인 요소와 대표 감성 어휘는 다차원척도(Multidimensional scaling : MDS) 분석을 실시하여 2 차원 축에 모델링하고, 정량적으로 디자인에 반영될 주요 감성을 도출해본 결과 사용자의 감성적 경험을 통해 도출된 GUI 와 유사성이 높은 감성 어휘는 감성적 디자인을 할 때 주 요소로 적용 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 PDF

주건공간 관련 친환경 디자인 요소의 중요도와 선호 - 김해지역 아파트 거주자를 대상으로 - (The Importance and Preference of Eco-Friendly Design Elements Related to Residential Space - Focused on the Residents in Gimhae -)

  • 박진경;오찬옥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1권1호
    • /
    • pp.86-94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ortance of eco-friendly design elements related to residential space by residents and what element they prefer. To achieve this, 18 eco-friendly design elements related to residential space were selected from the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Criteria and the relevant research papers. These elements were categorized into four areas; the ecological environment area (4 elements), the indoor environmental climate one (4 elements), the energy and resource saving one (6 ones), and the material one(4 ones). On the base of these 18 elements, the importance degree of each element was examined by using 5-point Likert scale. The subjects were 299 housewives living in apartment houses in Jangyu new town, Gimhae. The subjects perceived strongly the importance of eco-friendly design elements, but many of them did not know about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Criteria. Overall importance of 18 elements by the residents was very high. Also, the indoor environmental climate area was considered as the most important one, followed by the energy and resource saving area, the material area, and the ecological environment one.

  • PDF

산업용 니팅머신을 이용한 니트조직과 니트웨어 디자인 (Creating Textured Knit Using Industrial Knitting Machine and Knitwear Design)

  • 윤수인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1-23
    • /
    • 2008
  • 니트웨어가 가지고 있는 신축성은 우븐 페브릭으로 제작한 옷과 비교했을 때, 옷을 입었을 때의 편안함과 관리의 수월함을 제공하며, 이러한 니트웨어의 특성은 현대의 라이프 스타일에 맞는 경쟁력을 가지고 있다. 현대인의 생활은 단지 일에만 치중하며 사는 것이 아니라 여행, 사회적 참여 그리고 운동 등을 하며 개개인의 삶을 더욱 중요시 여기는 형태로 변해가고 있다. 따라서 손이 많이 가고 관리하기 힘든 옷을 위해 쓰는 시간은 점점 줄어들고, 캐주얼이나 정장에 관계없이 편안하고 관리하기 쉬운 옷을 선호하며 살아가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패션산업시장에 직접 반영되어 관리하기 쉽고 입기에 편안한 니트웨어는 패션 시장 안에서 점점 더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개발되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현재 니트웨어 시장은 니트조직을 개발하고 표현하는 데에 있어 공장의 기술자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제한된 스타일의 니트조직이 대부분의 시장을 차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창의력을 가진 니트 디자이너와 현대인의 감수성을 만족시킬 수 있는 니트 조직의 개발은 현대 패션시장에서 매우 중요한 과제로 남아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CAD를 사용하는 산업용 니팅머신은 독특한 텍스추어를 가진 니트웨어의 대량 생산을 위해 꼭 필요한 아이템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시대의 요구에 맞추어 연구자는 이번 연구를 통해 현재 니트웨어 시장에 나와 있는 조직과는 차별화 된 4가지 니트조직을 CAD로 디자인하고 산업용 니팅머신을 사용해 현실화하였으며, 니트웨어 디자인에 적용하여 실제의상으로 제작해 보았다. 이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물이 현대인의 감수성을 만족시킬 수 있는 새로운 제안으로 현재 패션시장에 받아들여졌으면 하는 바람이다.

  • PDF

인터넷 정보탐색 과정에서 정보구조와 메뉴디자인의 상호작용 분석 (Interaction between Information Structure and Menu Design on Information Searching and Attitude in WWW)

  • 유병민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2B권4호
    • /
    • pp.473-478
    • /
    • 2005
  • 이용자의 인터넷 정보탐색 과정에 웹사이트가 제공하는 메뉴디자인과 정보구조가 어떻게 상호작용적 영향을 미치는 가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상호작용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서 두가지 정보탐색(서칭과 브라우징) 방식의 속도와 이용자가 느끼는 3가지 태도 (선호도, 이용도, 방향감 상실)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서칭을 제외한 나머지 4개의 변인이 메뉴디자인(단순선택형, 풀다운)과 정보구조(증가형, 감소형)의 결합에 의해서 상호작용 효과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웹 사이트 설계와 웹 인터페이스 연구에서 메뉴디자인과 정보구조를 함께 고려하여야 한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공감각 제품디자인의 미각적 요소와 제품과의 적합성이 제품평가에 미치는 영향 : fMRI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the appropriateness of gustatory features in 'multi-sensory' product design on product evaluation : An fMRI study)

  • 성영신;최민조
    • 감성과학
    • /
    • 제14권2호
    • /
    • pp.235-244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fMRI 기법을 활용하여 제품과 공감각적 은유가 적용된 제품 디자인에 표현된 미각적 요소와의 적합성 수준이 제품에 대한 신경학적 반응과 제품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사전조사를 통해 미각적 요소와 제품 간의 적합성 정도에 따라 제품디자인을 두 그룹으로 나누었다. 총 40개의 제품디자인이 실험자극물로 사용되었다. 총 15명의 건강한 오른손잡이 대학생들이 실험에 참가하였다. 실험은 총 2세션으로 구성되어 있고, fMRI scanning session에서 참가자들은 제품디자인을 관찰하였고, post-scanning session에는 제품디자인에 대한 선호도와 구매의도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적합성이 높은 제품디자인이 낮은 제품디자인보다 선호도, 구매의도 모두 높게 나타났다. 뇌 반응의 경우 긍정적 보상과 관련된 미상핵(Caudate nucleus)과 피각(putamen) 영역이 적합성이 높은 조건의 제품디자인에서 더 많이 활성화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우유 Packaging 색채 마케팅전략 (Color Marketing Strategy of Milk Packaging)

  • 김경화;나지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197-210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소비자들이 우유 제품을 구매시 Packaging 디자인 요소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파악하기 위해 수도권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성인남녀 중 유제품을 구입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 120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 12.0 for Windows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과 평균과 표준편차의 기술통계량을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또한, 우유패키지 디자인을 선정하기 위해 2010년 한국리서치 소비자 정성 조사 보고서 자료와 예비조사를 토대로 출시되고 있는 전체 일반우유 패키지 디자인 중 가장 선호하는 3가지 제품과 가장 비선호하는 3가지 제품을 선정하였다. 아울러, 초코와 딸기 우유 중 가장 선호하는 우유 3가지를 선정하여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분석결과는 첫째, 소비자들의 우유제품 구매시 가장 고려하는 사항은 가격으로 나타났고, 둘째, 소비자들의 시중 우유패키지 디자인에 대한 평가는 우유제품의 포장 디자인에서 중요한 사항으로는 색채가 3.81점으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셋째, 각 제품별 우유 패키지 디자인에 대한 평가를 분석한 결과, 우유 제품 패키지 디자인은 복잡하지 않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전체 9개의 제품을 평가한 결과 1번 우유(남양: 맛있는 우유)가 다른 8개의 우유에 비하여 매우 높은 평가를 보였고, 이는 우유제품의 선택에 있어 색채패키지 디자인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색채마케팅 전략을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패키지 디지인의 특성을 강조할 수 있도록 심미적 호감, 정보전달, 생태계 보호, 홍보 강화 등의 기능역할을 강화, 둘째, 색채가 부여하는 심리적 내지 생리적 효용, 커뮤니케이션 매체로서 시각전달에 사용하는 효용 이외에 상품의 이미지를 전달할 수 있는 색채마케팅 전략을 구축, 셋째, 기업 이미지 통합을 위한 색채마케팅 전략을 구축하고, 마지막으로 기업과 제품 스타일에 적합한 색채를 구성해야 하며, 기업색채를 활용한 디자인마케팅을 도입해야 한다.

20대 여성의 신체 만족도 및 이상형에 관한 연구

  • 정재은;남윤자
    • 대한인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인간공학회 1998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1-6
    • /
    • 1998
  • 의복은 사람의 신체적인 특징에잘 맞고 심리적으로 만족을 주는 것이어야 한다. 식죽(1989)은 인간관계와 사회구조가 복잡하게 서로 얽혀 이루어진 현대사회에서는 의복에대한 욕구는 다면적이고 모든 기능을 동시에갖는 것이 요구되어진다고 하였고 정삼호(1988)는 성인여성들은 연려이 증가함에 따라 나타나는 체형변화를 의복으로 최대한 보완할 수 있는 디자인을 선택하여 다른 사람들에게 의복을 통해 자기 자신을 표현함으로서 심리적으로 안정감을 얻으려고 노력한다고 하였다. 따라서, 의복 착용 자가 의복을 통해얻는 심리적 만족도는 신체적 만족도와 관련되어 형성된다고 할 수 있으며 또한 신체 적 만족도는 체형과 관련되어 형성된다고 할 수 있다 (정재은,1992). 이에 신체적 만족도와 의복행동 및 체형에 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옥연(1984), 식죽(1988), Labat-Delong(1990), 김용숙 (1990), Shim(1991), 구자명.이명희(1994), 고애란.김양진(1996) 등은 신체 만족도와 의복행동간에 관련 이 있음을 밝혔으며, 임숙자(1986), 김양진.강혜원(1992)은 신체의 결함을 의복으로 보완하고자 하는 경향이 있다고 하였고, 김정숙(1984)은 자신에게 어울리는 의복을 선택하므로써 안정감을 갖게된다고 하였다. 또한, Douty. Brannon(1984)은 여성은 마른것을 선호한다고 하였고 Clayton 등(1987)은 의복 착용자의 체형에 따라 의복 유행성 지각이 다름을 밝혔다. 그러나, 이에관한 대부분의 연구들은 심리 학적 입장에서 행하여진 연구로 신체의 종합적인 만족도, 선호를 취급하고 있을 뿐 신체각 부위의 만족 도나 선호에 관한 자세한 고찰을 하고 있지 않으며 자신의 신체에 대한 인식도 및 실제체형과의 비교는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이에, 신체 각 부위에 대한 인식도 및 실제 신체 측정치와 만족도와의 관계 및 이상형에 대해 구체적으로 파악할 필요가 있다. 또한, 신체에 대한 이상형은 시대의 여러 여건에 따라서 변화할 수 있으므로 의복 착용자가 의복을 통해서 표현하고자 하는 이상형의 시대적 변화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체에 대한 인식도 및 만족도, 이상형에 대한 설문지 조사와 신체측정을 통하여 신체 크기에대한 만족도를 객관적인 척도로 고찰하고, 이상형과 실제 체형에 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도한, 1992년도 자료와의 비교를 통하여 시대에 따른 신체만족도와 이상형의 변화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기초로 한 의복원형 제작 및 의복 디자인에 대한 연구를 통해 의복의 맞음새가 좋을뿐만 아니라 의복착용자들 에게 심리적 만족을 줄 수 있는 의복 제작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전통 문화 가치관 특성에 따른 전통 디자인의 선호 및 구매 의도, 전통 디자인의 선호 스타일 이미지 (The Preference and Purchasing Intention of Traditional Design by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Culture Values and Preferred Style Image of Traditional Design)

  • 김선숙;김지영;고은주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4권7호
    • /
    • pp.1053-1064
    • /
    • 2010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Korean loungewear market and the traditional culture values of consumers related to loungewear to examine the preference of Korean traditional details, sewing techniques in loungewear design, and purchasing intentions. A survey method was used in this study. A total of 230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were obtained from female consumers and 214 data sets were used for analysis. For the analysis,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and ANOVA were executed with PASW Statistics 18.0 and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estimated by Amos 18.0. The results are as follows. Traditional culture values were classified into two dimensions, traditional succession value and traditional design preference value. In the structure equation model, the traditional design preference valu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reference and the traditional culture succession value had significant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The results proved that the preference on loungewear with Korean traditional elements is closely related to purchase intention. Consumer group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by traditional culture values factor; traditional culture succession group, traditional design preference group, and traditional culture indifference group. Style preference imag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lation to traditional culture groups. This study is for use as fundamental knowledge on traditional loungewear brand development and strategy planning by offering specific traditional culture aspects associated with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