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850/JKSCT.2010.34.7.1053

The Preference and Purchasing Intention of Traditional Design by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Culture Values and Preferred Style Image of Traditional Design  

Kim, Seon-Sook (Dept. of Clothing & Textiles, Yonsei University)
Kim, Angella Ji-Young (Dept. of Clothing & Textiles, Yonsei University)
Ko, Eun-Ju (Dept. of Clothing & Textiles, Yonsei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v.34, no.7, 2010 , pp. 1053-1064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Korean loungewear market and the traditional culture values of consumers related to loungewear to examine the preference of Korean traditional details, sewing techniques in loungewear design, and purchasing intentions. A survey method was used in this study. A total of 230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were obtained from female consumers and 214 data sets were used for analysis. For the analysis,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and ANOVA were executed with PASW Statistics 18.0 and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estimated by Amos 18.0. The results are as follows. Traditional culture values were classified into two dimensions, traditional succession value and traditional design preference value. In the structure equation model, the traditional design preference valu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reference and the traditional culture succession value had significant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The results proved that the preference on loungewear with Korean traditional elements is closely related to purchase intention. Consumer group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by traditional culture values factor; traditional culture succession group, traditional design preference group, and traditional culture indifference group. Style preference imag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lation to traditional culture groups. This study is for use as fundamental knowledge on traditional loungewear brand development and strategy planning by offering specific traditional culture aspects associated with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ions.
Keywords
Traditional culture values; Preference; Purchasing intention; Structural equation model;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8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고은주, 윤선영. (2004). 패션 브랜드 개성이 브랜드 선호도 및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정장, 캐주얼, 스포츠 브랜드의 비교-. 마케팅과학연구, 14, 59-80.
2 김효진, 이혜주. (2009). 환경친화적 화장품의 구매 의도에 대한 웰빙 소비자 가치 지향, 인지 가치, 브랜드 선호의 효과.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5(1),327-348.
3 오현정. (2001). 성격 유형별 선호하는 의복 이미지와 의복 구매 행동. 한국의류학회지, 25(3), 606-616.   과학기술학회마을
4 Engel, J. F., Blackwell, R. D., & Miniard, P. W. (1990). Consumer behavior (6th ed.). New York: The Dryden Press.
5 Osgood, C. E., Suci, G. J., & Tannenbaum, P. H. (1957). The measurement of meaning. Chicago: University of lIIinois Press.
6 이진화, 김민자, 이진민. (2005) 한국 패션 문화 상품의 고부가가치화를 위한 대응전략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9(7), 968-977.   과학기술학회마을
7 Howard, J. (1977). Consumer behavior applications and theory. New York, NY: McGraw-Hill book company.
8 전지현, Raftery, A. (2009). 전통 문화 정체성에 관한 조형성 특성과 패션 문화 상품 개발 연구. 복식, 59(7), 65-76.   과학기술학회마을
9 장혜원. (1996). 사회계층에 따른 의복 행동에 관한 연구-서울 시재 40-50대 주부의 외출복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0 Fishbein, M., & Ajzen, l. (1975). Belief, attitude, intention and behavior: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research. MA: Addison-Wesley.
11 이상용. (2007). 내륙지방 전통 담장의 가치평가 및 보전 방안. 농촌계획, 13(2), 51-61.
12 김은애. (1992). 가치관과 의복 이미지 및 의복 디자인 선호도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3 김지연. (2008). 가격지각에 따른 패션 점포 판매원 서비스와 재구매 의도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2(1), 45-54.
14 김철민. (1996). 한국인의 가치관과 소비 행동의 관계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5 이준웅. (2003). 중국의 한류 현상에 대한 '매개된'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 효과 모형 검증 연구. 한국방송학보, 20(3), 277-323.
16 김현. (2003). 남녀대학생의 가치관에 따른 의복 행동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7 김혜숙. (2002). 문화 상품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디자인학연구, 15(1),299-308.
18 Delong, M. R., & Lamtz, K. (1980). Measuring visual response to clothing. Home Economies Research Journal, 5(8), 281-293.
19 김대업. (2008). AMOS A to Z. 서울: 학현사.
20 Aaker, J. L. (1997). Dimensions of brand personality.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34(3), 347-356.   DOI   ScienceOn
21 안영환. (1998). 주요국의 문화 상품 개발 지원 제도 및 우리 문화 상품의 해외 진출 방안. 전통 문화 상품을 중심으로. 서울: 문화관광부.
22 Vinson, D. E., Scott, H. E., & Lamont, L. M. (1977). The role of personal values in marketing and consumer behavior. Journal of Marketing, 41(April), 44-50.
23 2009 여성복 시장 분석. (2009). 삼성디자인넷. 자료검색일 2009, 12. 12, 자료출처 http://www.samsungdesign.net
24 이명희, 김현주. (1998). 남자대학생의 자기 이미지와 의복 행동에 관한 연구. 복식, 38, 323-336.   과학기술학회마을
25 이규혜. (2003). 전통에 대한 가치관, 패션 관여가 글보벌 정신에 미치는 영향. 복식문화학회 학술대회논문집, 128-129.
26 Rokeach, M. J. (1973). The nature of human values. New York, NY: The Free Press.
27 현선희, 배수정. (2007). 패션 문화 상품을 위한 텍스타일 디자인 개발-한국 전통 문양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31(6), 985-996.   과학기술학회마을   DOI
28 유경숙. (1996). 티셔츠색 선호 외모만족도와 외향성과의 관계-남녀고등학생과 대학생을 중심으로-. 복식, 28, 75-86.   과학기술학회마을
29 염인경, 김미숙. (2004). 자기 이미지에 따른 착용 의복 이미지, 추구 의복 이미지 및 의복 구매 행동. 복식문화연구, 12(1), 90-103.
30 탁선산. (2000). 한국의 정체성. 서울: 책세상.
31 박혜령, 차은진. (2009). 한국 전통 신발을 이용한 한국적 이미지 패션 신발 문화 상품 개발.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1(2), 99-115.
32 Kaiser, S. B. (1985). The social psychology of clothing & personal adornment. New York, NY: Macmillan Publishing Co.
33 Lingerie and Lingeries' only-A Global Report part 1. (2008). Fibre2fashion. Retrieved December 12, 2009, from http:// www.Fibre2fashion.com
34 최원식. (2000). 이식문화론과 내재적 발전론을 넘는 이식과 창조의 변증법. 서울 : 인하대출판부.
35 심정희, 연명흠. (2007). 성격과 신체만족도에 따른 패션 제품의 이미지 선호도 (제2보)-35-59세 여성을 중심으로-. 디자인학연구, 20(3), 5-14.   과학기술학회마을
36 남재경. (2000). 여대생의 가치관과 의복 행동에 관한 연구. 오산대학 학생생활연구소, 5, 31-41.
37 정인희. (1992). 의복 이미지 구성 요인과 평가 차원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2(4), 379-391.
38 류숙희, 신수래. (2008). 중년 여성의 가치관과 의복 이미지의 관계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6(5), 111-121.   과학기술학회마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