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등대해양문화공간

Search Result 22,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간절곶 등대해양문화공간 운영 사례

  • Kim, Jeong-Sik;Yu, Seong-Ju;Lee, Dong-Ho;Gang, Mi-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5.10a
    • /
    • pp.353-354
    • /
    • 2015
  • 등대해양문화공간은 국민의 해양사상 증진과 해양문화 예술진흥 및 해양교육을 위하여 지정된 시설이다. 우리나라 8곳의 등대해양문화공간 중 간절곶등대에서 개최되는 각종 행사 개최 현황 및 시설 운영 현황을 살펴보고, 등대해양문화공간의 효율적이며 발전적인 운영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 PDF

등대해양문화공간 운영 활성화 방안

  • Kim, Min-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2.10a
    • /
    • pp.323-327
    • /
    • 2012
  • 21세기 지식기반사회에 더불어 문화예술의 중요성 한층 부각됨에 따라 해안경관이 수려한 등대를 이용 등대해양문화공간 운영 활성화을 위하여 국제항로표지협회(IALA) 등대 보존 매뉴얼과 외국 등대 관광 발전 계획을 비교 연구하여, 등대의 해양문화공간의 역할 기능적 분석 및 문화 관광적 유형 분석을 통하여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등대해양문화공간 운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유인등대의 친수문화적 특성에 따른 해양문화공간 조성에 관한 연구

  • Ahn, Woo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4.10a
    • /
    • pp.367-369
    • /
    • 2014
  • 대한민국에 근대적인 항로표지가 처음으로 개설된 이래 지난 2003년에는 대한민국 등대 100주년을 맞이하여 '유인등대 해양문화공간 조성계획'을 수립하고 유인등대 시설보완 및 개방, 등대 박물관 확장 개관 등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다각도의 노력은 폭발적인 성과를 거두어 2001년 한 해 동안 유인등대를 다녀간 방문객이 공식적으로 기록된 것만 300만 명이 넘게 되었다. 이후 대한민국의 등대는 40여 개의 유인등대와 60여 개의 무인등대가 널리 알려지게 되었고 문화적 가치를 인정받아 현재 23개의 등대가 등대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으며 지속적으로 발굴하고 있다. 대한민국의 등대가 많은 국민들의 관심 속에서 방문객이 지속적으로 늘어나면서 특히 유인등대는 해양문화공간으로서의 기능이 요구되었고 향후로도 더욱 가속화될 전망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대한민국 유인등대의 친수문화적 특성을 체계적으로 살펴보고 그에 따라 해양문화공간의 조성 방향을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본적인 지침을 설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PDF

문화공간으로서의 등대 활용방안 연구 - 문화공간으로서의 입지성을 중심으로 -

  • Kim, Jae-Gwan;Kim, Ga-R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10a
    • /
    • pp.431-434
    • /
    • 2013
  • 국민관광객과 방한 외래관광객의 증가(문체부, 2012)로 도서와 해안지역에 대한 관광수요가 확산됨에 따라 중앙정부와 지방정부는 등대(예 : 영도등대, 간절곶등대, 울기등대, 거문도등대)를 중심으로 국민생활속의 해양관광공간, 해양레저스포츠공간, 어촌체험공간, 유통관광중심의 어항개발 및 크루즈관광활성화를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새로움을 추구하는 관광객의 욕구가 증가하면서 틈새관광(niche tourism)의한 형태로 도서 관광(small island tourism)이 주목되고 있다(김영준, 2011). 내륙 중심의 관광에서 해양 관광으로 관심이 변화 확산되면서 친수공간시설에 대한 관광수요의 증가가 예상된다(이한석, 심미숙, 2009). 이와 같은 현실에서 도서에 위치하고 있는 등대자원을 활용하여 관광객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등대관광활성화가 기대된다. 등대가 전통적인 기능과 역할에 충실한 항로표지로서 뿐만 아니라 공공서비스장소로서 해양문화를 향유할 수 있는 체험의 장을 제공하고 건축문화유산으로서의 역사성과 등대 고유의 기능에 대한 관광객의 흥미와 욕구를 잘 접목시켜 해양관광자원으로서의 가치를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등대해양문화공간의 활성화방안 연구

  • Hong, Gwan-S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2.10a
    • /
    • pp.328-331
    • /
    • 2012
  • 등대 시설을 홍보관, 전망대, 소공원 등을 갖춘 해양문화공간으로 조성하며 지역의 체계적이고 독자적인 문화콘텐츠를 연구하여 지역 특성에 맞는 스토리텔링을 개발하고 지역경제 활성화와 등대만의 고유한 해양문화 관광 콘텐츠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PDF

등대해양문화공간 스토리텔링에 따른 실질적 적용과 활성화방안 연구

  • Kim, Seo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10a
    • /
    • pp.443-447
    • /
    • 2013
  • 홍보관, 영상관, 야외공연장 등 체험하며 소통할 수 있는 해양문화공간으로 조성하여 지역의 체계적이고 독자적인 문화콘텐츠를 연구하며, 지역 특성에 맞는 스토리텔링을 개발하고 지역경제 활성화와 등대만의 고유한 해양문화 관광 콘텐츠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PDF

해양문화공간 운영 활성화 방안 연구

  • Lee, Seung-Yeong;Lee, Tae-Hwan;Jo, Yeong-S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10a
    • /
    • pp.435-437
    • /
    • 2013
  • 문화자원으로서의가치를내재하고, 접근성이양호한 등대 중일부를 문화교육시설, 공공편의시설 등을 확충하여 등대해양문화공간으로 지정(운영)하고 있으나, 지역(등대)별 해양문화 공연 프로그램의 획일화 등에 따른 집객효과 저조로 다양한 문화컨텐츠 도입이 필요하며, 지자체 등 유관기관과의 협업을 통한 해양관광 개발 등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 하기 위한 방안을 연구하였다.

  • PDF

옹도등대 해양문화공간 활용에 관한 연구

  • Park, Seung-Yeol;Choe, Su-Bong;Kim, Gang-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2.10a
    • /
    • pp.335-337
    • /
    • 2012
  • 인천, 평택, 대산항 입출항 선박의 주요항로상에 위치한 충청권역 내 유일한 유인등대인 옹도등대를 민간에 개방함으로서 역할을 재조명하고, 등대 해양문화공간 체험을 통한 항로표지의 중요성을 국민에게 알리고자 한다. 이에 따라 옹도등대 민간개방시 발생되는 해결과제, 대책 등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며, 이를 통해 옹도 주변 섬과 연계한 해양관광자원 개발을 통해 국민에게 다가가는 등대로 거듭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