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동일시

검색결과 320건 처리시간 0.04초

프로스포츠 관람동기가 팀 동일시, 관람의도 및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ro-Sport Spectator on Team Identification, Inspection Intention, Brand Attitude)

  • 이종호;김문태;옥정원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15권2호
    • /
    • pp.99-122
    • /
    • 2005
  • 본 연구는 프로스포츠 소비자의 심리적 애착정도를 태도적 차원의 동일시와 행위적 차원의 동일시로 구분하고 아울러 프로스포츠팀과 관련된 동기요인(성적에 대한 관심, 선수의 능력, 선수의 매력성)과 스포츠 구단의 관람의도, 스폰서십 효과(스폰서 브랜드 태도)와 어떠한 영향 관계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대부분 선행연구들이 이러한 관계를 단편적인 수준에서 측정했으며, 아물러 구단과 스폰서십의 동시적 영향관계를 규명한 연구가 없었던 것이 사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관계를 구조방정식 모델의 검증을 통하여 해당 가설을 검증한 결과 첫째, 팀관련 관람동기의 대부분이 태도적 동일시를 거쳐 행위적 동일시로 이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심리적애착정도와 관람의도, 스폰서십 효과와의 관계에 있어서는 태도적 동일시의 경우 관람의도와 스폰서십 브랜드 태도에 긍정적 영향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행위적 동일시의 경우에는 관람의도에만 긍정적 영향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시사점 및 한계와 향후 연구방향이 토의되었다.

  • PDF

공공체육단체의 윤리경영과 조직신뢰, 조직동일시 및 조직시민행동의 관계: 경인·강원지역 단체를 중심으로 (The Relationship between Ethics Management and Organizational Trust,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and OCB of Public Sports Organizations)

  • 송홍락;유원용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2호
    • /
    • pp.397-405
    • /
    • 2017
  • 본 연구는 공공체육단체 구성원이 지각하는 윤리경영과 조직신뢰, 조직동일시 및 조직시민행동간의 인과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인 강원지역의 국민체육진흥공단, 시 도 체육회 및 산하 경기연맹에 근무하는 직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연구를 수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윤리경영은 조직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윤리경영은 조직동일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직신뢰는 조직동일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조직신뢰는 조직시민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조직동일시는 조직시민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공공체육단체의 윤리적 경영활동은 조직을 신뢰하고, 동일시하여 조직의 발전을 위해 직무 외의 자발적으로 수행하는 구성원의 다양한 친사회적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CSR Identity가 소비자 지각과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CSR Identity on Consumer Perception and Behaviors)

  • 김영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4호
    • /
    • pp.189-196
    • /
    • 2013
  •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소비자가 지각한 기업의 CSR(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아이덴티티가 고객-기업 동일시 지각에 미치는 영향과, 고객-기업 동일시 지각이 소비자의 감정적 몰입과 행동적 몰입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또한 소비자의 감정적 몰입이 고객-기업 동일시 지각과 행동적 몰입 의도와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상의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연구가설 및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실증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소비자가 지각한 기업의 CSR 아이덴티티는 소비자의 고객-기업 동일시 지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소비자의 고객-기업 동일시 지각은 감정적 몰입과 행동적 몰입의도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비자의 감정적 몰입은 행동적 몰입의도에도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소비자의 감정적 몰입은 고객-기업 동일시 지각과 행동적 몰입의도와의 관계에서 매개변수 역할은 하지 않는 것으로 나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기업 브랜드 관리 전략의 필요성과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생활체육 동호인의 여가활동 참가정도와 조직동일시 및 조직몰입의 관계: 자전거 동호인을 중심으로 (Relationship between the Degree of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y,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ith Emphasis on Bicycle Riding Club Members)

  • 이연주;전민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427-438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생활체육 동호인의 여가활동 참가정도와 조직동일시 및 조직몰입의 관계를 밝히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시 거주 자전거 동호인을 모집단으로 설정하고 목적표집법을 이용하여 265명의 표본을 추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배경변인에 따라 자전거 라이딩 참가정도와 조직동일시 및 조직몰입에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었다. 둘째, 배경변인 중 연령과 소득은 참가정도와 조직동일시 및 조직몰입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참가정도는 조직동일시를 통하여 직 간접적으로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이상의 연구결과의 영향력으로 볼 때, 자전거 동호인들의 조직동일시와 조직몰입을 설명하는데 연령이나 소득과 같은 배경변인이 상당히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윤리적 리더십이 리더동일시, 조절초점 및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Ethical Leadership on Leader Identification, Regulatory Focus, and Task Performance)

  • 류기동;김정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607-622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윤리적 리더십이 리더동일시, 조절초점(향상초점과 예방초점)을 매개로 하여 업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모형을 탐색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선행연구들에 대한 검토를 통하여 윤리적 리더십과 여러 변수들과의 관계가 어떠한지를 이론적 논의를 바탕으로 연구모형과 가설을 세우고 이를 실증분석으로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윤리적 리더십은 리더동일시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리더동일시는 조절초점(향상초점과 예방초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리더동일시는 윤리적 리더십과 조절초점 간의 매우 중요한 매개역할을 하였으며, 조절초점 역시 리더동일시와 업무성과 간의 중요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윤리적 리더십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시점에서 윤리적 리더십과 업무성과 간의 메커니즘에 대한 이해를 실증적으로 검증해 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항공 산업에서의 브랜드 동일시 연구 (Research on Brand Identification in the Airline Industry)

  • 고선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219-226
    • /
    • 2020
  • 본 연구는 K항공사를 이용하는 고객을 대상으로 고객가치가 브랜드 동일시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분석하고자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이론연구의 고찰을 통해 변수를 추출하였으며 각 변수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고객가치 중 기능적 가치와 감성적 가치가 브랜드 동일시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1은 채택되었다. 둘째, 현재의 소비자는 제품이나 서비스의 선택에 있어 감성적인 면을 더 추구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자아 이미지와 동일하거나 자신의 가치관 혹은 라이프 스타일에 일치한다고 생각하는 항공사 브랜드를 이용함으로써 항공사와의 브랜드 동일시를 추구하고 있다. 셋째, 고객 가치 중 기능적 가치와 감성적 가치 모두 브랜드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고객가치는 브랜드 동일시를 통해 충성도가 강화됨을 알 수 있다. K항공은 소비자들의 브랜드 충성도를 상승시키기 위해서는 다른 매개변수의 역할도 고려되어야 하겠지만 고객의 브랜드 동일시 제고에 관심을 가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컴페션(Compassion)이 조직 동일시에 미치는 영향 : 긍정적 감정과 긍정심리자본의 이중 매개효과 (The Effect of Compassion on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 Double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Emotion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 고성훈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6호
    • /
    • pp.123-131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조직 내 사회복지사들이 경험하는 컴페션이 긍정감정, 긍정심리자본, 그리고 조직 동일시에 미치는 인과관계를 실증하는 것이고, 이중매개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과 경기도에 위치한 사회복지 10개 시설 내의 사회복지사들 369명을 표본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 사회복지사들이 받는 컴페션이 긍정적 감정과 조직 동일시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긍정심리자본이 조직 동일시에 미치는 영향이 모두 유의한 것으로 실증되었다. 또한 컴페션과 조직 동일시의 관계에서 긍정적 감정과 긍정심리자본의 이중매개효과 역시 유의한 것으로 실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컴페션과 조직 동일시의 관계에서 긍정적 감정과 긍정심리자본의 이중매개효과를 실증했다는 이론적 시사점이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표본의 일반화를 표본수집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긍정적 정체성의 매개효과 검증도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한국 국가 이미지가 한류 콘텐츠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 및 한류 팬덤 동일시의 매개 효과 : 아시아권 소비자를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Korea's National Image on Intention to Use Korean Wave Contents and Mediating Effect of the Korean Wave Fandom Identification :Focusing on Asian Consumers)

  • 한가영;조성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296-305
    • /
    • 2019
  • 한류의 성장과 더불어 팬덤 경제의 중요성이 제기됨에 따라 한류가 가지고 있는 경쟁력을 팬덤의 관점과 더불어 고려할 필요가 있다. 특히 팬덤 현상은 자신이 선호하는 스타를 동일시하고, 팬 커뮤티니에 관련 정보를 적극적으로 획득 및 공유하는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중국, 일본, 베트남 소비자들 대상으로 한국의 국가 이미지가 한류 콘텐츠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파악하고, 팬덤 동일시의 매개효과를 검정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문화 이미지, 기업 이미지, 제품 이미지는 한류 콘텐츠 이용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스타 동일시와 팬 커뮤니티 동일시는 문화 이미지가 한류 콘텐츠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부분매개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한류를 국가 이미지 향상을 위한 후광효과 관점이, 아닌 한류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한 선행요인임을 검정하고, 팬덤 현상의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정하였다는 점에서 시사점을 갖는다.

경찰관들이 경험하는 컴페션(Compassion)과 미덕(Virtue)이 조직 동일시에 미치는 영향: 긍정적 감정의 매개효과와 집단적 자긍심의 조절효과 (The Effects of Compassion and Virtue experienced by police officer on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 Mediating effects of positive emotions and moderating effect of collective self-esteem)

  • 조승원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5호
    • /
    • pp.1-10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경찰관들이 조직 내에서 경험하는 컴페션과 미덕이 긍정적 감정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둘째, 긍정적 감정이 종속변수인 조직 동일시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하는 것이다. 셋째, 컴페션과 조직 동일시, 미덕과 조직 동일시 사이의 관계에서 긍정적 감정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넷째, 긍정적 감정과 조직 동일시 사이의 관계에서 집단적 자긍심의 조절효과를 실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표본추출은 전국 지방경찰청 소속 경찰관서에 근무하는 남 녀 경찰관 35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한 후 가설검증에 이들 표본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경찰관이 경험한 컴페션과 미덕이 긍정적 감정에 긍정적 효과를 미치는 것이 검증되었고, 긍정적 감정이 조직 동일시 현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컴페션과 미덕, 조직동일시 사이의 관계에서 긍정적 감정이 완전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긍정적 감정과 조직동일시와의 관계에서 집단적 자긍심이 조절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이론적 시사점은 엄격한 위계관계가 유지되고 직무스트레스가 높은 경찰 조직에 컴페션과 미덕적 행위를 확산시켜 긍정적인 조직문화를 조성시키는데 기여하게 될 것이다.

광고가 종업원의 조직 동일시에 미치는 구조적 영향관계에 관한 연구 -현대중공업 광고를 대상으로- (A study on structural relation between advertising and employee's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Targeting Hyundai Heavy Industries's advertising-)

  • 박주식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0권3호
    • /
    • pp.57-84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심리적 계약이론, 사회적 정체성 이론, 효과계층모형을 이론적 근거로 하여 광고가 종업원의 조직 동일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구조적 모형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광고 정확성은 광고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광고 관련성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리고 광고태도는 조직 동일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본 연구의 결과는 광고에 대한 종업원의 평가가 광고태도를 매개로 하여 조직 동일시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를 밝혔다는 점에서 이론적 의의가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