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동결심도

검색결과 80건 처리시간 0.029초

인천지역의 콘크리트 폐기물을 재생골재로 활용한 재생콘크리트의 강도특성 (Strength Characteristics of Recycled Concrete by Recycled Aggregate in Incheon Area Waste Concrete)

  • 장재영;진정훈;조규태;남영국;전찬기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5권2호
    • /
    • pp.197-208
    • /
    • 2003
  • 본 연구는 최근 들어 인천지역에서 발생하는 폐콘크리트 폐기물을 새로운 재생시스템에 의해서 생산된 재생골재를 사용하여 재생콘크리트로 활용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천연골재에 재생골재를 혼합한 5개의 재생콘크리트 조합으로 나누어 재생콘크리트의 강도특성을 비교해 보았다. 기본적으로 재생골재 각 조합의 물성시험을 통해 골재의 물성치를 확인한 후 이를 바탕으로 콘크리트의 배합설계를 하였다. 모든 조합은 상대비교를 위해 단위골재량 값만을 변화시키고 여타 조건들은 동일하게 하였다. 또한 동결융해 시험 및 플라이애쉬, 고성능 감수제를 첨가한 시험을 통해 내구성과 작업성 문제에 대해서 고찰해 보았다. 재생골재의 물리적 특성 시험결과 재생굵은골재와 재생잔골재 모든 조합에서 비중은 KS의 1종 재생골재 기준을, 흡수율은 2종 재생골재 기준을 만족함을 알 수 있었고, 특히 재생골재 대체율 50%까지는 자연골재와 거의 유사한 물성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동결융해 시험결과 동결전과 동결후의 재생콘크리트 강도 감소율은 일반콘크리트보다 최대 7%까지 낮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기존의 폐콘크리트는 단순히 대지조성재, 기초 매립재, 노반재, 아스팔트 혼합물로 이용하는 것이 대부분이었으나 본 시험을 통해 도출된 결과 재생콘크리트는 교량하부공, 옹벽, 터널 라이닝공 등에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고 심한 건조수축의 영향을 받지 않는 구조물 등에도 충분히 사용이 가능하리라 판단된다.

수산단백질(水産蛋白質) 소화화(消化華)에 미치는 가열처리(加熱處理)의 영향(影響) (Effect of Heat Treatment on the In Vitro Protein Digestibility and Trypsin Indigestible Substrate (TIS) Contents in Some Seafoods)

  • 류홍수;이강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12
    • /
    • 1985
  • 가열 및 동결저장이 오징어, 굴, 새우 및 명태의 in vitro 소화율과 trypsin indigestible substrate (TIS) 함량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Boiling 했을 때 최고의 운 in vitro 소화율을 나타내는 시간은 오징어 1분, 내장을 제거한 굴 0.5분, 내장을 제거하지 않은 굴은 1분이었고, 명태는 5분 이었으며, 오징어와 굴은 부위에 따라 소화율은 다르게 나타났다. 최고의 in vitro 소화율을 나타내는 steaming 조건은 오징어는 $100^{\circ}C$에서 1분, 굴은 $88^{\circ}C$에서 1분이었으며, 명태는 $100^{\circ}C$에서 $1{\sim}2.5$분이었다. TIS는 진시료에서 in vitro 소화율과 역상관관계를 가지며 변화하였다. 동결건조한 시료가 다른 건조품보다 현저하게 높은 in vitro 소화율을 보였으나, 내장을 제거했거나 지방함량이 낮은 시료를 천일건조했을 때도 동결건조시료에 버금가는 in vitro 소화율을 나타내었다. 동결저장은 지방함량이 낮은 시료의 in vitro 소화율의 저하 및 TIS함량 증가에 효과적이었으나, 지방함량이 높아 산패가 심하게 진행된 시료에는 현저한 효과를 볼 수 없었다. 지방함량은 수산식품단백질을 가열처리했거나 저장했을 때의 소화율 변화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으며, 4가지의 효소를 이용한 multi-enzyme digestion technique은 수산식품단백질의 소화율 변화를 측정함에 있어 아주 민감하고 유용한 방법으로 판명되었다.

  • PDF

동절기의 융빙제들의 융빙 성능 및 영향 평가 (Evaluation of Deicing Performance and Effects of Deicers of the Winter Season)

  • 도영수;이병덕;최광수;김광우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0권3호
    • /
    • pp.149-158
    • /
    • 2008
  • 본 연구는 도로 상의 눈이나 얼음의 제거에 사용되는 융빙제와 부식방지제 및 저부식성 제설제 그리고 이들의 조합에 대한 성능 및 구조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동결융해 후 무게손실률은 저부식성 제설제가 융빙제와 부식방지제 및 이들의 조합보다 적게 나타났고, 상대동탄성계수 감소는 물, 저부식성 제설제 및 NaCl+JF-1004를 제외하고 융빙제와 부식방지제 및 이들의 조합물들은 동결융해 150사이클 이후에 급격히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동결융해 후 콘크리트는 물을 제외하고 상당히 심한 표면 손상을 나타냈다. 융빙 효과는 융빙제와 저부식성 제설제 및 부식방지제의 조합하여 사용할 때가 이들 개별적으로 사용될 때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고, 저부식성 제설제 및 부식방지제의 단독 사용은 초기 융빙 성능 뿐 아니라 지속성도 현저히 낮아 현장 적용에는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강재부식시험의 pH는 저부식성 제설제와 NaCl+JF-1004의 pH는 알칼리성을 띠는 반면에 이외의 나머지에서는 중성에서 산성으로 변화해 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염화나트륨의 조합물이 다른 수용액보다 상당히 빠르게 무게감량이 나타나 강재 부식속도가 빠르게 진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으로부터 도로상의 눈이나 얼음의 제거를 위하여 융빙제의 조합물을 사용 시 최대한 도로 포장 및 교량에 손상이 적게 미치는 조성물에 대한 신중한 선택하여 사용해야 할 것이다.

  • PDF

재생골재콘크리트의 길이변화 및 동결융해 저항성에 대한 실험적 특성 고찰 (Characterization of Length change and Free-Thaw Resistance of Recycled Aggregate Concrete)

  • 심종성;박철우;박성재;김길중;김태광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6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II)
    • /
    • pp.109-112
    • /
    • 2006
  • Social and environmental pressures draw greater significance on the recycling of the waste. Particularly, waste concrete is particularly crucial among the construction wastes in terms of conservation of natural construction resources as well as disposal crisis. The technology to recycle the waste concrete has been improved. This study has various replacement levels of natural fine aggregate with recycled fine aggregate while coarse aggregate is completely replaced with the recycled coarse aggregate and herein fundamental properties investigated include compressive strength, shrinkage and dynamic modulus of elasticity. As a result, it is anticipated that the recycled aggregate concrete can be successfully applied to structural concrete members provided a proper recycling process, mix design and curing method are practiced.

  • PDF

알카리활성 슬래그 콘크리트의 동결융해 저항성 (Resistance to Freezing and Thawing of Alkali-Activated Slag Concrete)

  • 문재성;조아람;심재일;양근혁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1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05-106
    • /
    • 2011
  • The present tests examined the resistance to freezing and thawing of alkail-activated (AA) slag concrete having compressive strength between 30~56 MPa. To enhance the compressive strength and resistance to freezing and thawing of AA slag concrete, Na ions were used for an activator. Test results revealed that the resistance to freezing and thawing of AA slag concrete is comparable to that of cement concrete when compressive strength is more than 50 MPa.

  • PDF

처리조건에 따른 진주담치 중 마비성 패류독의 변화 (Change of Paralytic Shellfish Poison Toxicity by the Treatment Method of Sea Mussel, Mytilus edulis)

  • 김지회;김성준;장동석;이명숙;허성호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8-25
    • /
    • 1990
  • 우리나라에서 생산되고 있는 패류 중 비교적 PSP의 검출률과 독소함량이 높은 것으로 알려진 진주담치를 시료로 하여 PSP로 인한 식중독사고의 예방과 독화된 패류의 활용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독화된 진주담치의 여러가지 처리조건 즉, 동결과 해동, 가열, 향신료 첨가 등이 독력에 미치는 영향과 통조림 제조공정 중의 독력변화에 관하여 실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PSP는 동결과 해동에 의하여 전혀 영향을 받지 않을 뿐만 아니라 마늘과 생강액즙의 첨가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지 않는다. 2. PSP를 가열하였을 때 $70^{\circ}C$ 이하에서는 60분간의 가열에 의해서도 거의 독력변화가 없었으나, $80^{\circ}C$ 이상에서는 온도의 상승에 따라 독력의 감소율도 증가하였다. 3. 독화된 진주담치를 통조림 제조하였을 때 살균공정에서 독력의 감소가 심하여 최초 독력의 90이상이 감소하였다.

  • PDF

관절경하 관절낭 유리술과 강압교정술을 병용한 동결견의 치료 (Treatment of Frozen Shoulder under the Arthroscopic Capsular Release Combined with Manipulation)

  • 유연식;이영현;이상수;남일현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4권2호
    • /
    • pp.166-172
    • /
    • 2001
  • 동결견의 치료에 있어 관절경하 관절낭 유리술과 더불어 강압교정술을 겸용한 적극적인 치료방법은 견관절부 동통 완화와 견관절 운동 범위 회복에 있어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으며 강압교정이나 관절경하 관절낭 유리술의 단독 시행에서 보일수 있는 합병증을 현저히 줄일 수 있고 특히, 심한 동통 및 관절 운동 제한을 보이는 환자에서 이환 기간 단축 및 관절 운동 범위 회복에 있어 보존적 치료에 비해 우수한 방법으로 사료된다.

  • PDF

강원도지역의 토양 동결심 및 상록식물의 함수량 추이에 관한 연구 (2) (Studies on the Soil Freezing Depth and Change of Moisture contents in evergreen Plants upon subzero Temperature in Kangwon area.(2))

  • 홍종운;허범양;원경열;임병춘;이기철;하상건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49-55
    • /
    • 1990
  •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soil freezing depth and the accumulated degree-day of temperature below $0^{\circ}C$ at 17 locations during 1989-1990 winter season in kangwon province. The observed results are as follows : 1.When accumulated degree-day of temperature below at was 141t at late January soil freezing depth of sunny place was 46.5cm, that of shaded lot was 59 cm, and that of marginal place sunny or shaded area was 55cm, in Chun cheon. 2.Accumulated degree-day of temperature below at of Dae gwangryong area was more than that of Un-du, whereas soil freezing depth of Dae gwangryong was lower that of Un-du. It was considered that snow covering worked as heat insulator. 3.Soil freezing depth of vinyl mulching on Zoysia turf was less by around 2Ocm than that of non-vinyl mulching. Rice hulls covering of 4Ocm showed the great heat insulation effects with the soil freezing depth of 1.5cm at sunny place and 6.5cm at shaded lot compared to that of 47cm at sunny and 59.5 cm at shaded place bare ground. 4.Among investingated areas, Dunae, Honeg seong gun was the deepest soil freezing, 89cm with $569^{\circ}C$ of accumulated degree-day of temperature below $0^{\circ}C$ at late February. 5.dehydration of Juniperus C. var. Kaizuca, Euonymus japonica, and Chamaecyparis pisifira at winter season was around 5 %, however dehydration of Vinca minor was more than 10 %. A Studies on the Soil Freezing Depth and Change of Moisture contents in evergreen Plants upon subzero Temperature in Kangwon area.(2)

  • PDF

불교란시료를 활용한 포항시 송림공원 사질토층의 액상화저항강도 평가 (Evaluation of Liquefaction Resistance of Sandy Soil Layer in Songlim-park, Pohang, Using Undisturbed Sample)

  • 김종관;한진태;박가현;이석형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7권12호
    • /
    • pp.107-116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2017년 포항지진 시 액상화 현상이 목격된 포항시 송림공원에서 불교란 시료를 채취하여 액상화 실내실험을 수행하였다. 채취한 불교란시료는 현장에서 동결시킴으로써 이동 및 보관, 그리고 실내실험 시 발생할 수 있는 교란을 최소화 하는 방법을 적용하였다. 동결 보관한 불교란시료를 활용하여 반복삼축압축실험을 통해 액상화저항강도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 심도 8.0~8.8m 및 11.0~11.8m에서 채취한 시료는 유사한 액상화 저항강도를 나타냈으며, 간편법을 통해 산출한 액상화저항강도와 비교하여 0.04~0.07가량 큰 값을 나타냈다. 이는 연대효과 및 간편법의 경우 안전측 설계를 위하여 하한선을 채택하고 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이를 통해 불교란 시료를 활용할 경우 경제적설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한국에서 분리한 Pseudomonas syringae의 빙핵활성 (Ice-Nucleation Activity of Pseudomonas syringae Isolated in Korea)

  • 김용환;김영철;조백호;김기청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180-186
    • /
    • 1987
  • 단감나무와 차나무의 표면에서 분리한 Pseudomonas syringae 2계통 PS8401, PS8402를 $2.5\%$ glycerol이 첨가된 nutrient agar에서 배양한 다음, 증류수로 세포현탁액($10^8$ colony forming unit/ml)을 조제하여 마이크로피펫법으로 동결온도를 측정하여 본 결과, 각각 -2.5와 $-3.8^{\circ}C$에서 동결하여 빙핵활성이 인정되었다. 한편 동일한 방법에 의한 증류수의 동결온도는 $-21.8^{\circ}C$였고 옥수수를 비롯한 8가지 작물즙액의 동결온도는 $-11.6^{\circ}C$ 이하였다. PS 8401의 nutrient broth 현탁액$(10^8\;cfu/ml)$을 살포한 옥수수유묘는 $-2^{\circ}C$에서부터 얼기 시작하여 $-4^{\circ}C$가 되면, 거의 전체 식물이 상해를 입었으나 nutrient broth만 살포한 대조구의 유묘는 온도가 $-9^{\circ}C$로 내려가기 전까지는 피해를 입지 않았다. PS8401 현탁액을 살포한 후 48시간에 측정한 유묘의 피해는 살포한 세균의 량이 증가함에 따라 심해지는 경향이었다. 상기 PS 8401의 빙핵활성은 현탁액내 세포의 수가 많아짐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세균을 배양한 배지의 조성이 배양온도에 따라서도 빙핵활성이 변하였는데 $2.5\%$ glycerol 혹은 $2.5\%$ glucose를 첨가한 nutrient agar와 탄소원을 별도로 첨가하지 않은 nutrient agar에서 자란 세균현탁액$(10^2\;cfu/ml)$의 동결온도는 각각 -4.0, -4.4, $-7.2^{\circ}C$였고, 배지를 $2.5\%$ glycerol을 함유한 nutrient agar로 고정하고 온도를 달리하여 생육시킨 세균현탁액 $(10^2\;cfu/ml)$의 동결온도는 $-4.0^{\circ}C$(생육온도가 $15\~25^{\circ}C$인 경우)와 $-7.6^{\circ}C$(생육온도가 $30^{\circ}C$인 경우)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