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Heat Treatment on the In Vitro Protein Digestibility and Trypsin Indigestible Substrate (TIS) Contents in Some Seafoods

수산단백질(水産蛋白質) 소화화(消化華)에 미치는 가열처리(加熱處理)의 영향(影響)

  • Ryu, Hong-Soo (Department of Nutrition and Food Science,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
  • Lee, Kang-Ho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 류홍수 (부산수산대학 식품영양학과) ;
  • 이강호 (부산수산대학 식품공학과)
  • Published : 1985.03.20

Abstract

In an attempt todetermine the optimum heat treatment, the changes in TIS content and in vitro protein digestibility of squid, shrimp, oysterand pollock under various heating conditions were studied. The effect of drying method and cold storage on the in vitro digestibility and TIS content were also studied. Optimal boiling conditions were 1 min, for squid, 0.5min. for oyster(eviscerated), 1 min. for whole oyster, and 5 min. for pollock. Steaming times that yieled products with the highest in vitro digestibility value were: 1 min. at $100^{\circ}C$ for squid, 1 min, at $88^{\circ}C$ for oyster and $1{\sim}2.5min$. at $100^{\circ}C$ for pollock. All of freeze dried samples showed the highest in vitro digestibility value and sundried one were comparble to freeze dried samples except high fat level or noneviscerated samples. Fat content was the nain inhivbitory factor of the seafood enzymic digestion during processing and storage. The multi-enzyme assay, used to predict the quality change of dried seafoods stored in a cold room for long periods of raw seafoods treated with various heating methods, offers many advantages over the convetional methods of determining protein quality.

가열 및 동결저장이 오징어, 굴, 새우 및 명태의 in vitro 소화율과 trypsin indigestible substrate (TIS) 함량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Boiling 했을 때 최고의 운 in vitro 소화율을 나타내는 시간은 오징어 1분, 내장을 제거한 굴 0.5분, 내장을 제거하지 않은 굴은 1분이었고, 명태는 5분 이었으며, 오징어와 굴은 부위에 따라 소화율은 다르게 나타났다. 최고의 in vitro 소화율을 나타내는 steaming 조건은 오징어는 $100^{\circ}C$에서 1분, 굴은 $88^{\circ}C$에서 1분이었으며, 명태는 $100^{\circ}C$에서 $1{\sim}2.5$분이었다. TIS는 진시료에서 in vitro 소화율과 역상관관계를 가지며 변화하였다. 동결건조한 시료가 다른 건조품보다 현저하게 높은 in vitro 소화율을 보였으나, 내장을 제거했거나 지방함량이 낮은 시료를 천일건조했을 때도 동결건조시료에 버금가는 in vitro 소화율을 나타내었다. 동결저장은 지방함량이 낮은 시료의 in vitro 소화율의 저하 및 TIS함량 증가에 효과적이었으나, 지방함량이 높아 산패가 심하게 진행된 시료에는 현저한 효과를 볼 수 없었다. 지방함량은 수산식품단백질을 가열처리했거나 저장했을 때의 소화율 변화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으며, 4가지의 효소를 이용한 multi-enzyme digestion technique은 수산식품단백질의 소화율 변화를 측정함에 있어 아주 민감하고 유용한 방법으로 판명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