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독성물질 유출

Search Result 54,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Transportation Modeling of Conservative Pollutant in a River with Weirs - The Nakdong River Case (수중보를 고려한 하천에서 보존성 오염물질의 이송특성 분석 - 낙동강을 중심으로)

  • Lee, Jungwoo;Bae, Sunim;Lee, Dong-Ryul;Seo, Dongil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36 no.12
    • /
    • pp.821-827
    • /
    • 2014
  • The 4major river project has caused changes in flow and water quality patterns in major rivers in Korea including the Nakdong River where several toxicant release accidents have had occurred. Three dimensional hydrodynamic model, the Environmental Fluid Dynamics Code (EFDC), was applied to evaluate the effect of geomorphological change of the river on the advection and dispersion patterns of a conservative toxic pollutant. A hypothetical scenario was developed using historical data by assuming a toxic release from an upstream location. If there is a toxic release at the Gumi Industrial Complex, the toxic material would be detected after 2.22 and 9.83 days at Chilgok and Gangjung weir, respectively, in the new river system. It was estimated that they took at least 12 times longer than those with the river conditions before the project. Effect of relocation of intake towers for Daegu Metro City to upstream of Gumi City was also evaluated using the developed modeling system. It was observed that hydraulic residence time would be increased due to decreased flow rate and thus due to lowered water level. However, peak concentration differences were found to be about 2% lower in both places due to increased dispersion effect after the relocation.

Outlines of Toxic Chemicals Release Inventory (외국의 유해물질 배출목록 제도)

  • 정옥선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v.12 no.1_2
    • /
    • pp.13-19
    • /
    • 1997
  • 서론 : 1. 유해물질 배출목록 제도의 역사 미국은 1986년 인도 보팔 참사에 대한 후속조치로 긴급계획 및 지역 공동사회의 알 권리법(the Emergency Planning and Community Right-to-know Act : EPCRA)을 통과시켰다. 유해물질 사고 예방과 일어날 수 있는 긴급 상황에 대한 계획이다. 이 법의 일부분인 유해물질 배출목록은 환경에 매일 유출되는 유해물질을 다루고 있다. (생략)

  • PDF

Ecotoxicity Studies of Photoactive Nanoparticles Exposed to Ultraviolet Light (자외선에 노출된 광반응성 나노물질의 생태독성 연구)

  • Kim, Shin-Woong;Lee, Woo-Mi;Shin, Yu-Jin;An, Youn-Jo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34 no.1
    • /
    • pp.63-71
    • /
    • 2012
  • As nanotechnology is a key industry, there is growing concern relating to the potential risk of nanoparticles. They are known to be released into the environment via various exposure routes. When nanoparticles are present in water environments, they are supposed to be illuminated by ultraviolet light, and the ecotoxicity of photoactive nanoparticles may be changed. In this study, a review of the ecotoxicity of photoactive nanoparticles, including the mechanisms of phototoxicity, are presented. In order to address this issue, studies on the ecotoxicity to soil and water organisms exposed to photoactive nanoparticles were investigated. The photoactive nanoparticles chosen for this study were zinc oxide, titanium dioxide and fullerene. Microorganisms, nematode, earthworm, algae and fish, etc., were chosen to assess the toxicity of nanoparticles using diverse methods. However, studies on the phototoxicity potentially induced by nanoparticles on UV illumination have been reviewed in only 8 studies. From a few studies, photoactive nanoparticles have shown high dissolution rates under UV conditions, with the released ions observed to profoundly influence test organisms. In addition, NPs exposed to UV produced reactive oxygen species (ROS). These ROS can induce oxidative stress in exposed organisms. Evidence of phototoxicity by nanoparticles were found based on previous studies.

Characteristics of Pollutant Washed-off from Highways with Storm Runoff Duration (아스팔트 포장 고속도로의 강우 지속시간별 오염물질 유출 경향)

  • Kim Lee-Hyun;Lee Eun-Ju;Ko Seok-Oh;Kang Hee-Man
    • International Journal of Highway Engineering
    • /
    • v.8 no.1 s.27
    • /
    • pp.99-106
    • /
    • 2006
  • During the dry periods, many types of pollutant are accumulating on the paved surface by vehicle activities. Particularly, the highways are stormwater intensive landuses because of high imperviousness and high pollutant mass emissions from vehicles. The accumulated pollutants in highways are washed-off during a rainfall event and are highly contributing on water quality of receiving water bodies. The stormwater runoff from the highways are containing various pollutants such as metals, oil & grease and toxic chemicals originated from vehicles. Therefore, this research is performed to find pollutant characteristics in the magnitude of statistical pollutant concentrations during storm periods. During the monitoring periods, the first-flush phenomenon is visibly occurred on most storm events, which is confirmed from hydro- and pollute-graphs. The 95% confidence intervals of washed-off pollutant concentration are ranged to 154.7-257.1 mg/L for 755,138.9-197.6 mg/L for COD, 3.5-6.4 mg/L for oil & grease, 6.3-9.2 mg/L for TN and 2.3-3.31 mg/L for TP. The first flush effect is mostly occurred within initial 30 min of storm duration.

  • PDF

Development of 1D River Storage Model for Tracing of Hazardous Chemicals in the Water Environment (수환경 유출 유해화학물질 추적을 위한 1차원 저장대모형 개발)

  • Yun, Se Hun;Seo, Il 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89-89
    • /
    • 2019
  • 수환경으로 유출되는 유해화학물질은 독성을 가지고 직접 유출되거나 다양한 매체와 반응하여 화재 및 폭발 등의 사고가 발생한다. 실제로 낙동강 유역에서는 1991년 페놀 유출사고를 시작으로 2009년 구미공단 '1,4-다이옥산' 유출사고, 2014년 11월 경북 봉화군의 황산유출사고 등 크고 작은 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며 작년 6월에는 대구와 부산의 수돗물에서 과불화화합물이 검출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대규모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신속한 오염물의 거동 예측이 가능한 추적모델이 필요하며, 본 연구에서는 수환경으로 유출된 유해화학물질의 추적을 위한 1차원 저장대 모형을 개발하였다. 일반적으로 저장대 모형은 복잡한 하천 구조를 하천의 주 흐름이 존재하는 본류대와 하천 흐름이 정체되는 저장대, 그리고 하상구조로 단순화 하여 나타낸다. 본류대에서는 하천흐름에 의한 이송 및 횡방향 유속차로 발생하는 전단류에 의한 확산이 일어나며, 저장대와의 물질교환으로 발생하는 저장효과와, 하상구조와의 흡착 및 탈착, 그리고 생물화학적 반응 및 휘발이 발생한다고 가정한다. 본류대와 저장대간의 질량교환은 난류유속변동과 농도차에 의해서만 발생한다고 가정하고 오염물질의 이송과 분산과정을 해석한다. 저장대에서는 이송 및 전단류에 의한 확산은 일어나지 않으며, 본류대와의 물질교환으로 발생하는 저장효과와 하상구조로의 흡착, 그리고 생물화학적 반응 및 휘발이 발생한다고 가정하며, 하상구조에서는 본류대 및 저장대와의 흡착 및 탈착만 발생한다고 가정한다. 저장대 모형의 해석을 위해서는 리치(Reach) 별로 본류대 분산계수($K_F$), 본류대 면적($A_F$), 저장대 면적($A_S$), 그리고 저장대 교환계수(${\alpha}$)의 네 가지 저장대 매개변수가 필요하며 본 연구에서 개발된 저장대 모형은 흡탈착, 생물화학적 반응 및 휘발 과정을 모두 고려하여 유해화학물질의 확산 거동을 모의한다. 최적의 리치길이, 흡탈착, 반응 및 휘발 계수를 산정하여 모형의 정확도를 향상시켰으며, 신속하고 정확하게 오염물의 거동을 예측할 수 있었다.

  • PDF

열화우라늄의 군사적 이용과 그 한계

  • Park, Gi-Seop
    • Defense and Technology
    • /
    • no.7 s.245
    • /
    • pp.74-81
    • /
    • 1999
  • 열화우라늄은 물질특성상 방사능을 유출하는 독성 물질이고 핵 폐기 물질이기 때문에, 공학적 가공 과정을 거쳤다 하더라도 안정성에 대한 검증과 신뢰성에 많은 의문이 제기되어 왔다. 걸프전 이후 참전 군인과 민간인들에게서 열화우라늄의 폐해로 추정되는 전투후유증과 질병이 발생됨으로써, 그 위해성에 대한 논란이 제기되고 국제적인 이슈로 부상하게 되었다. 따라서, 열화우라늄의 군사적 개발 및 활용 실태와 위해성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장차 인류의 쾌적한 환경과 건강유지를 위해 구현되어야 할 방향을 전망하고자 한다.

  • PDF

Influence of Temperature on Degradation for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by Biofiltration. (생물여과에 의한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분해에 미치는 온도의 영향)

  • 윤인길;이성훈;박창호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0.11a
    • /
    • pp.411-412
    • /
    • 2000
  • 산업의 발달과 더불어 각종 화학물질들이 여러 산업공정에서 다양한 용도로 이용되고 있다. 인체에 유해한 독성 무기ㆍ유기화합물의 유출 사고나 부적절한 매립 등에 의해 이들 물질이 환경오염을 야기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휘발성 유기화학물의 처리는 물리ㆍ화학적 방법이나 생물학적 방법으로 제거할 수 있다. 생물여과 공정은 오염된 가스를 반응기에 유입하여 고정된 충진물에 형성된 적절한 미생물 층을 이용하여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것이다(Deshusses et al., 1995). (중략)

  • PDF

Removal of Toxicity from Kraft Pulp Mill Effluents by Activated Sludge Process (활성슬러지 공정에 의한 Kraft 펄프 폐수의 독성 제거)

  • Kim, Yeong-Kwa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Water and Wastewater
    • /
    • v.8 no.3
    • /
    • pp.9-18
    • /
    • 1994
  • Activated sludge pilot plant testing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ability of a well-designed activated sludge treatment system to remove chromic toxicity from the bleached kraft pulp mill effluent. Removals of conventional(BOD and SS) and nonconventional(resin and fatty acids, color, AOX) pollutants were estimated. The pilot plant was operated at steady state for about 10 weeks at an F/M of 0.28 and a sludge age of 8.4 days. The average MLSS concentration was 4,309mg/l, of which volatile fraction was 57%. During the operation period, the BOD removal reaction rate(k) was determined to be 8.2/day at $30^{\circ}C$. The BOD removal was 84 percent, which was 3 to 6 percent lower than expected for full-scale treatment. The chronic toxicity of the activated sludge effluent was tested by employing both Dinnel and the BML protocols. It was found that the pilot plant could achieve in excess of 90 percent reduction in chronic echinoderm toxicity. The data show slight reduction of color and AOX across the activated sludge system. The pilot system, however, demonstrated on excellent removal of resin and fatty acids.

  • PDF

호소의 부영양화 및 관리

  • 공동수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Toocicology Conference
    • /
    • 1994.05a
    • /
    • pp.51-53
    • /
    • 1994
  • 담수는 인간의 생존에 필수적인 요소이다. 우리는 매일 일정량의 물을 섭취하고 있으며, 일상에서 직접, 간접적으로 물과 관련되지 않고서는 생활할 수 없다. 지구 표면의 약 70%가 물로서 덮여 있다고는 하지만 인간의 생활에 직접적인 이용가치가 있는 담수(지표수)는 전체 물의 용적의 2%에 지나지 않는다. 한국의 연평균 강수량은 1,274mm로서 세계 연평균 강수량인 970mm보다 많은 편이나 인구 1인당 연간 강수량은 약 3,000m3으로서 세계 평균인 34,000m3의 11분의 1에 지나지 않는다. 수자원총량중 지하침투와 증발에 의해 손실되는 양을 제외한 하천유출량은 전체의 55%인 697억m3으로서 이것이 곧 가용수자원량이다. 그러나 하절기 강우집중도가 높은 우리나라 실정에서는 가용수자뭔량중 수자원총량의 37%가 홍수시 유출되고 실제 이용량은 수자원총량의 18%인 230억m3에 불과하여 인구증가와 함께 수자원의 가치가 더욱 증대하고 있는 실정이다. 더우기 지하수 이용량은 19억m3에 불과함에 따라 우리나라는 실제 이응수자 원량의 90% 이상을 지표수에 의존하고 있으며, 그 중 약 40%가 호소수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수자원 이용효율의 취약성으로 인해 제한된 수자원 용량과 생활 및 농공용수의 과수요에 따른 불균형으로 근래 많은 하천이 갈수기나 평수기시 친천화되어 가고 있어 수중생태계에 큰 위협을 주고 있다. 또한 이에 더하여 산업발달과 함께 수질오염원은 양적으로는 물론 질적으로도 증가일로에 있어 기존의 유기 및 중금속 오염물질을 포함해 수많은 신생 유기화합물질이 수계에 유출되고 있으며, 이에 더해 질소 및 인으로 대표되는 영양물질의 유입과다로 국내 대다수의 호수가 부영양화의 새로운 위협에 직 면해 있다. 우리나라에는 적은 유입유량에 큰 저수용량 및 긴 체류시간으로 대표되는 대규모 자연호는 없으며, 대부분이 매단위 강을 막아 형성된 체류시간 1년 이하의 인공호로서 그 중 안동호, 충주호, 대청호 등은 비교적 체류시간이 긴 호소형 인공호로, 팔당호나 기타 대부분의 호수는 체류시간이 짧은 하천형 인공호로 대별된다(Table 1). 이처럼 국내 호소는 국외의 자연 호와는 다른 구조적 특성을 가짐에 따라 부영양화 특성 역시 매우 상이하고, 호소형 인공호와 하천형 인공호간의 차이 역시 현저하여 일률적인 관리대책을 설정하기가 어려운 실정에 있다. 또한 각 호수의 유역특성이 상이함에 따라 호수별로 유역 오염원의 오염부하율이 현저히 달라(Table 2) 호수에 따른 특성적인 유역관리(Lake-specific management)가 요구되고 있다 정상상태(Steady state)가 아닌 국내 호소에 대해 국외 자연호의 인단순모델 (Simple phosphorus budget model)을 그대로 적용하는 것에 다소 무리한 점이 따르나, 평균적인 개념으로 OECD의 유역부하량 및 호소특성에 따른 부영양화 판정모델을 적용한다면, 국내 주요 호수는 모두 부영양 수준에 있다. 또 각 호수별로 부영양화 제어를 위해 요구되는 인의 삭감부하량은 상당량이 되어 현실적으로 관리가 이미 어려운 실정에 와 있다. 호수의 부영양화는 조류 발생으로 이어지며, 그에 따른 폐해는 각종 형태로 나타나는데 대표적으로 이취미 발생이나 유해조류에 의한 독성물질의 배출, 정수처리 과정의 THM 발생등이 주로 문제가 되고 있다. 따라서 국내 호수의 구조적 특성별 부영양화 실태를 파악하고 그에 따른 영향 및 관리방안에 관한 종합적 고찰이 차후 수질관리를 위해 요구되고 있으며, 특히 납조류로 대표되는 유해조류의 독성영향에 관한 연구는 시급한 실정에 있다.

  • PDF

A New Methodology of Measuring Water Toxicity using Sulfur Oxidizing Bacteria (황산화미생물을 이용한 새로운 수(水)중 생태독성탐지 방법)

  • Oh, Sang-Eu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32 no.6
    • /
    • pp.555-562
    • /
    • 2010
  • For the rapid and reliable detection of toxic compounds in water, a novel toxicity detection methodology based on sulfur-oxidizing bacteria (SOB) has been developed. The methodology exploits the ability of SOB to oxidize elemental sulfur to sulfuric acid in the presence of oxygen. The reaction results in an increase in electrical conductivity (EC) and a decrease in pH. Using a synthetic stream water (EC=0.12 mS/cm and pH=7.2), the baseline steady-state EC and pH values were 0.5~1.2 mS/cm and ~2.5 over 7 days of testing at HRT 30 minutes. When nitrite compounds were added to the system, the effluent EC decreased and the pH increased due to the inhibition of the SOB. Optimum HRT was 30 min and this HRT could be decresed by using smaller sulfur p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