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독서 흥미

검색결과 72건 처리시간 0.024초

스토리텔링(Story-telling)기법을 적용한 어린이 도서관 이용교육 수업모형 설계 (A Study on the Design of Instructional Model Based on Storytelling for User Education in Children's Libraries)

  • 정종기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55-271
    • /
    • 2016
  • 2000년 이후 공공도서관에 어린이서비스 시설의 확충과 담당인력이 배치되고 있으며 어린이 전용도서관이 증설되고 있다. 이 연구는 어린이 도서관 이용교육의 일환으로써 어린이들의 흥미와 관심을 불러일으키는 스토리를 소재로 한 도서관 이용교육의 수업모형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먼저, 어린이 도서관 이용교육 상황, 스토리텔링의 개념과 원리를 살펴보고, 스토리텔링기법이 도서관 이용교육에 적용될 수 있는가를 모색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국내 공공도서관의 어린이자료실, 그리고 어린이 전용도서관의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스토리텔링기법을 적용한 도서관 이용교육의 수업모형을 개발하였으며 이 모형이 어린이도서관 현장에서 어린이들의 도서관 이용과 정보 활용, 그리고 독서흥미 유발에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사이버 학습을 활용한 학생의 자아정체성 확인에 관한 연구: 북토비 사례를 중심으로 (Developing Self-awareness Through Cyber Study and Cyber Reading Activities: A Case Study with the Electronic Library 'Booktoby')

  • 강현숙
    • 정보화연구
    • /
    • 제11권4호
    • /
    • pp.485-494
    • /
    • 2014
  • 본 연구는 초등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습자들로 하여금 자신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나아가 긍정적 자아개념을 발달시켜감으로써 장차 진로 설계를 위한 긍정적 자산을 마련하게 하고자 하는 것에 목표를 두고 수행한 사항을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본 연구에서 학습자들은 사이버 학습인 '인천e스쿨'과 사이버 독서 자료인 '북토비' 활동을 하며 그 과정 속에서 발견하게 된 자신의 모습을 자아정체성 피라미드의 각 면에 기록하며 자아정체성 피라미드를 완성해 가는 작업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학습자들은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대해 67%가 향상되었다고 응답하였고, 독서에 대해서는 독서에 대한 흥미도, 자발성, 이해도가 각각 54%, 50%, 33% 가량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신에 대한 관심도를 묻자 응답자의 약 75%가 높아졌다고 답하였다. 자아정체성 검사인 SCI-II의 1,2차 검사결과를 비교한 결과 자아개념에 대한 총점에서는3점, 영역별 -정의적, 사회적, 인지적 영역 - 관심도는 각각 4점, 1점, 5점씩 향상된 것으로 나타나 모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온 것으로 나타났다.

수학영재아들의 행동 특성: 사례연구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Gifted Children at Mathematics: A Case Study)

  • 박성옥;강윤수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8권4호
    • /
    • pp.459-480
    • /
    • 2005
  • 이 연구의 목적은 수학영재아들의 행동 특성을 이해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대학 부설 영재교육원 수학분야에서 교육받고 있는 네 명의 수학영재아들을 관찰하여 관련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여, 우리는 다음을 확인하였다: 첫째, 수학영재아들은 자신의 수학적 재능에 자부심을 느끼면서도 스스로 영재성을 인정하려 하지 않는다. 둘째, 수학영재아들은 다양한 분야에 흥미를 갖는다. 특히, 그들은 독서량이 매우 많다. 셋째, 그들은 외재적 요인보다는 스스로 동기부여가 되며 고도의 도덕적 판단력을 지닌다.

  • PDF

공공도서관 아동교육프로그램의 사서역할 모델설계 및 사례분석 (Role of Librarian in Child Education Programs of Public Library: Model Building and Assessment through Case Analysis)

  • 임형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51-68
    • /
    • 2011
  • 도서관의 사회적 역할이 자료보존과 자료제공 기능에서 교육적 기능과 지역공동체형성의 기능으로 옮겨가고 있다. 이에 따라 사서의 역할에서 사회 교육적 기능이 중요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배경에서 도서관 아동교육프로그램에서 아동의 흥미를 제고시키고 주체적 학습자가 되도록 하는데 유용하다고 판단된 구성주의 교수학습관점에서 도서관 아동교육프로그램의 교육자모델을 설계하였다. 교육자의 역할은 모델링(modeling), 코칭(coaching), 스케폴딩(scaffolding)으로 구성하였다. 이러한 모델에 기초하여 서울과 수도권 소재 5개의 도서관 아동교육프로그램 사례를 관찰 조사하였다. 이들 사례에 대해 교육적 관점에서 공공도서관의 아동교육프로그램의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누리과정을 기반으로 한 증강현실 독후활동 애플리케이션 및 수업 모형 설계 제안 (A Proposal for the Design of Augmented Reality Reading Activity Application and Class Model Based On Nuri Curriculum)

  • 김서영;김태우;이경업;조유빈;김정이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1호
    • /
    • pp.355-360
    • /
    • 2023
  • 최근 디지털의 발달로 아동들은 미디어 매체에 많이 접하고 있다. 독서 활동이 줄어 책에서의 정보를 습득하거나 습득한 정보를 정리하고 기억하는 것에 어려움을 겪는다. 증강현실이 접목된 교육이 학습에 대한 아동의 참여도와 몰입도를 높이므로, 우리는 아동의 독서 흥미도와 창의성을 높이기 위해 증강현실 기술이 도입된 독후활동 애플리케이션을 제안하였다. 또한, 5가지의 누리과정을 기반으로 애플리케이션에 들어갈 놀이 중심의 독후활동을 설계하였다. 애플리케이션 제안에서 그치지 않고 실제 수업에 사용할 수 있도록 놀이 중심의 수업 모형을 설계하였다. 수업 모형 설계에 따른 개념적인 사고의 틀을 분석하기 위해 실제 어린이집을 방문하고 전문가가 참관한 수업을 진행하였다. 참관한 전문가들에게 독후활동 수업 모델 및 운영의 적합성 검토를 위해 미리 제작한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여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우리의 수업 모형 설계는 한정된 도서의 콘텐츠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윤리상의 문제로 아동 대상으로 대규모 실험을 진행하지 못하여 연구의 결과가 전체를 대표할 수 없다. 하지만 누리과정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독후활동 수업 운영의 가능성을 검토하고 제시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수학 학습부진아 지도를 위한 노트쓰기활동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the activity with writing of note for learning of underachievers on mathematics class)

  • 이화연;김응환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9권3호
    • /
    • pp.277-289
    • /
    • 2016
  • 본 연구는 수학학습부진아의 노트쓰기 활동에 관한 사례연구로서 개별적인 노트쓰기 지도의 효과가 수학 학습부진아의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례를 탐구해 보는 것이다. 충남에 소재한 고등학교의 3학년 학생을 대상 중 학습부진아를 선택하여 연구하였고, 특별한 학생에게 맞춤으로 새롭게 구성한 수학노트를 활용하여 수업을 진행하였다. 매 수업시간이나 그 이후의 시간을 이용하여 스스로 노트를 정리하게 하였고, 일정기간마다 노트를 제출하여 교사의 피드백을 받을 수 있게 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으로서 학생의 개별화 지도를 위하여 개인적으로 수학노트 쓰기를 활용한 수업은 수학학습부진아들의 학습 태도와 흥미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만화 독서가 초등학생의 과학 흥미도, 학업성취도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cience Cartoon Reading on the Levels of Interest in Science, the Academic Achievements and the Scientific Attitudes of Elementary Students)

  • 송지정;이형철;유병길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2권4호
    • /
    • pp.581-592
    • /
    • 2013
  • Various data and methods are necessary to help students understand the science subject, and have interest in it. Most students like cartoons, and more easily memorize their cont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s of science cartoon reading on the academic achiements, the levels of interests in science and scientific attitudes of elementary students The study subjects were four classes of the 6th grade of G elementary school in U city. Two classes were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s were comparison group. The students of the experimental classes were encouraged to read science cartoon related to class contents at the beginning and ending for 5 minutes respectively in instructional time. And those of the comparison classes received general science less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classes encouraged to read science cartoon marked higher average score than comparison classes in post-test and the difference was meaningful (p<.05). This meant science cartoon reading treatment had the effect of improvement of the levels of interest in science of student. Second, the experimental classes marked higher average score than comparison classes in post-test but didn't show meaningful difference. This meant science cartoon reading treatment didn't have the effect of improvement of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in our study. Third, the experimental classes marked higher average score than comparison classes in post-test and showed the meaningful difference(p<.05). This meant science cartoon reading treatment had the effect of improvement of scientific attitudes of students. From the results thus far, we could tell that science cartoon reading had positive effects on the levels of interest in science and scientific attitudes of students in our study.

성공적인 성취자의 심층 면담을 통한 영재교육의 방향성 탐색 (An Exploration of the Direction of Gifted Education through Deep Interview of Socially Succeeded People)

  • 박경빈;이재호;박명순;이선영;전미란;류지영;안성훈;변순화
    • 영재교육연구
    • /
    • 제25권2호
    • /
    • pp.217-236
    • /
    • 2015
  • 이 연구는 사회적으로 성공한 인사들의 성취에 영향을 준 요인을 조사하고 영재교육의 개선방향을 도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성취자 60명을 대상으로 6개 분야(교육, 전공, 가정 및 부모, 대인관계, 여가시간, 업적 및 성공요인)에 대해 반 구조화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많은 성취자들은 적극적인 학생이었으며, 가정은 화목하고 자율적이었고, 차별화 교육 및 학생 중심의 교육이 중요하다고 생각하였다. 개인적으로는 멘티를 지도하고 있지 않다는 응답자가 많았다. 전공 결정 및 교육은 재능과 흥미의 발견 시기에 맞춰 이뤄져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여가시간 활동으로는 운동, 음악, 독서를 중요시하였으며, 성취의 원동력이 된 것은 호기심, 자신감 등 개인 내적 특성이었다. 영재교육을 수혜한 성취자들은 영재교육의 경험이 성취에 중요한 영향을 준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면담 결과를 영재교육의 개선 방향과 관련지어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미국의 초등학교 도서관 특별 프로그램에 관한 사례 연구: 텍사스 주를 중심으로 (Case Studies on Special Programs in Elementary School Media Centers in Texas, U. S. A.)

  • 정연경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21-242
    • /
    • 2002
  • 본 연구는 학교도서관 활성화를 촉진시키는 방안으로 사용될 수 있는 미국의 학교도서관매체센터의 특별 프로그램에 관한 사례 연구이다. 텍사스 주의 7개 초등학교 도서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다양한 특별 프로그램을 사례로 뽑아 프로그램의 종류, 목적, 요소, 효과와 주제에 관해 분석하였다. 특별 프로그램은 도서판매와 교과과정과 연계하여 전시와 진열, 초청 강연, 학습 센터, 실연, 매체의 활용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교과과정의 지원과 학생들의 개인적 관심의 충족, 그리고 교사들의 전문적 성장을 공통적인 목적으로 하였다. 특정 집단에 적합한 프로그램의 연결, 교과과정과 연계한 프로그램의 개발, 특정 주제에 관한 재미있고 효율적인 방식의 제공, 즐기면서 충족시킬 수 있는 행사의 진행, 적절한 시기와 시간의 배정이 필수적인 요소였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학교도서관매체센터와 매체전문가의 존재를 확인시켜주었으며 매체센터의 이용을 증가시키고 교실 수업의 지원, 학생과 교사의 개인적인 흥미의 확대, 평생학습자로서의 개발, 학교도서관매체센터의 홍보를 가능하게 해주었다. 그러므로 학교도서관을 활성화시키는 방안의 하나로서 다양한 특별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교장과 교사, 학부모. 지역사회의 관심과 지원이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PDF

정보처리모형을 활용한 중학교 특수 국어 교과서 심화 학습활동 수록 매체 분석 (An Analysis of Media in Advanced Learning Activities of Middle School Special Korean Textbooks by the Information Processing Model)

  • 송기호;노정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9-50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 학생용 교과서에 수록된 매체의 특징을 정보처리모형을 기반으로 분석하고, 도서관 자료를 장애 학생의 수업 개선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2015 개정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중학교 국어 교과서 심화 학습활동에 포함된 매체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장애 학생은 심화 학습활동을 수행하기 위하여 주로 시각을 통해서 정보를 수용하고 이해를 통해서 정보를 처리한 후에, 언어지능을 활용해서 결과를 산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는 삽화와 텍스트를 통해서 학습 내용을 수용하고, 추론과 설명 등 이해를 토대로 내용을 처리한 후에 쓰기와 말하기와 같은 언어 지능을 활용하여 결과를 산출한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도서관 자료를 장애 학생의 국어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현실적인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장애 학생의 독서 흥미 발달단계와 장서 맵핑을 활용한 다양한 투입 매체를 개발한다. 읽기-듣기를 활용하여 도서 자료를 제공한다. 심화 학습활동을 자기 주도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적절한 방법적 지식을 지도한다. 그리고 다양한 산출 활동을 도울 수 있는 글의 유형과 글쓰기 전략을 개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