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도형 개념

Search Result 164,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The influence of fractal plastic activity for early childhood's mathematics capacity about space and figure (프랙털 조형 활동이 유아의 수학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 Kye, Young Hee;Ha, Yeon Hee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30 no.4
    • /
    • pp.453-468
    • /
    • 2016
  • This study is a result of experiment to recognize geometric and spacial conceptions for early childhood. This researcher had built up Mandala figures which was an intermediary between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and then have studied about early childhood's geometric and spatial concepts by using Mandala figures. In this paper, authors have studied fractal art activities of early childhood as a follow-up study, since the structure of fractal art is similar to Mandala. As a result, three years old young children have significant correlation in four areas(figure perception, visual discrimination, position-in space perception and visual memory), but five years old young children have significant in three areas(figure perception, position-in space perception and visual memory). For five years old group, there is some difference between boys and girls, also they had described for their art activities like real models.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a Graphic Basic Design Course Based on Different Dimensions of Knowledge in a Flipped Classroom (다양한 지식 차원에 기반한 도형 기초 다자인 과정 플립클라스룸으로 효율성 연구)

  • Cheng, Qin;Pan, Yonghwan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1 no.11
    • /
    • pp.103-114
    • /
    • 2020
  • This paper's research objective is to test educational content with different dimensions of knowledge during a graphic basic design course, while also proposing teaching plans and opinions for courses in flipped classrooms as well as enhancing educational efficiency. It categorizes educational content of courses based on the dimensions of knowledge in the learning objectives of Bloom's taxonomy. 120 students are divided into four experimental groups to respectively under go flipped classroom learning by using different dimensions of knowledge involved in course content. Course pretests and post tests are used to obtain and analyze experimental data. Among this knowledge, factual and conceptual knowledge obtained during extra curricular independent learning as well as programmed and meta-cognitive knowledge obtained during in-class learning from a flipped classroom can stimulate student's learning initiative and also enhance learning efficiency. According to research results and student feedback, this paper will propose targeted categorization methods for course content and also suggest educational strategies for these courses' flipped classroom mode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Digital Geoboards for Geometrical Shapes Learning for Elementary Students (기하판을 지원하는 초등 도형 학습 소프트웨어의 설계 및 구현)

  • Choi, Jiwon;Lee, Yong-Bae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22 no.3
    • /
    • pp.385-396
    • /
    • 2018
  • This research supports the idea that manipulative devices can be an effective modality tool for learning abstract concepts involved with identifying geometric shapes and enhance learners' problem solving and motivation. Until recently specified manipulative device has been adapted only in traditional classroom environment and it has been very rare to find devices that is designed for online-basis. This study focused on designing and implementing an educational software which guide learners with geoboard in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polygons. In addition to the function to draw and to delete various shapes, this software helps learners immediately assess the outcome. The results of the Delphi Technique show promising evidence for it being a very efficient means to learn geometric shapes and increase learners' motivation to learn the subject matter.

Figure learning System by Using Multimedia (멀티미디어를 이용한 도형학습 시스템)

  • Kim, Hyeong;Yang, Gi-Chul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 no.4
    • /
    • pp.9-16
    • /
    • 2002
  • A multimedia figure learning system has been designed and implemented by using TOOBOOK. Also, the developed system has been analyzed after use it in classrooms. The analysis result shows that the multimedia system is better for understanding the concepts of revolving entity and cross section than the traditional teaching methods.

  • PDF

A Star Schema Extraction Algorithm Using Connection Topologies of ER Diagrams (ER 도형의 연결 위상구조를 이용한 스타 스키마 추출 알고리즘)

  • 신성현;김진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10c
    • /
    • pp.136-138
    • /
    • 2002
  • 관계형 OLAP 시스템에서는 다차원 분석에 사용될 데이터를 하나의 사실과 여러 개의 차원 테이블로 구성된 스타 스키마로 표현한다. 사실 테이블은 측정치의 속성을 포함하며, 차원 테이블들은 이러한 사실 테이블에서 중심으로 뻗어져 나온 형태로써, 측정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방대한 크기의 OLTP 소스 데이타베이스로부터 사실과 차원 테이블로 구성된 스타 스키마 설계하기 위해서는 풍부한 경험과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스타 스키마를 효과적으로 설계하기 위한 체계적인 설계 방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소스 데이터베이스들에 대한 개념적 모델인 ER 도형을 이용하여 여러 개의 사실 엔터티를 추출하는 알고리즘과 이를 통해 자동적으로 스타 스키마를 설계하는 알고리즘을 제시하였다. 스타 스키마가 하나의 사실 테이블에 여러 개의 차원 테이블이 M:1의 관계로 연결되었다는 성질을 활용하여, 이 방법에서는 EH 도형이 연결된 위상 구조를 이용하여 각 엔터티에 연결된 M:1 관계의 개수에 근거하여 사실과 차원을 추출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는 이러한 방법을 통해 데이터 웨어하우스의 스타 스키마들 자동적으로 쉽게 설계하여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줄일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Restructuring of a Textbook for Inquisitive Learning - Focused on the 4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 (탐구학습을 위한 교과서 재구성에 관한 소고 - 초등학교 4학년을 중심으로 -)

  • Kim, Won-Deok;Rim, Hae-Kyung
    •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 /
    • v.11 no.1
    • /
    • pp.81-98
    • /
    • 2007
  • In order to help students learn geometric concepts in mathematics in an easy and interesting way, the present study restructured the textbook so that it utilizes GSP based on van Hiele's theory. In addition, we purposed to examine how effective the restructured textbook is in enhancing students' van Hiele level and to lay a base for the active use of GSP in learning figures in elementary school.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solve problems in the structure of the current textbook such as the violation of continuity in van Hiele's theory and inconsistency between the level of textbook contents and students' level through the restructuring of the textbook using GSP and provide helps for effective figure learning. In addition,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be an opportunity for the active use of GSP in teaching figures in elementary school.

  • PDF

A change of cognitive structure of peer teachers and learners through peer learning - focused on figures (또래학습을 통한 또래교사와 또래학습자의 인지구조 변화 -초등 도형영역에 대하여-)

  • Kim, Mijung;Lee, Kwangho;Lee, Mijin;Sung, Changgeun
    •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 /
    • v.16 no.2
    • /
    • pp.107-122
    • /
    • 2013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finding the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n the concepts of figures through exploring the change of students' cognitive structures before and after the peer teaching activities. The difference of the peer teacher's and student's cognitive structures was investigated for the activities. Three teams, six students of 5th grade, were selected from the S elementary school in Boyeon. To figure out the students' cognitive structures, pre and post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and analyzed. Both peer teachers' and learners' cognitive structures were changed. Peer teachers' cognitive structures were changed more positively than peer learners. A consistent systematic planation and continuous teacher support and effort are needed for the activities.

A Comparative Analysis of Pi and the Area of a Circle in Mathematics Textbooks of Korea, Japan, Singapore and The US (한국, 일본, 싱가포르, 미국 교과서에 제시된 원주율과 원의 넓이 지도 방안의 비교·분석)

  • Choi, Eunah
    •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 /
    • v.21 no.4
    • /
    • pp.445-467
    • /
    • 2018
  •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contents of pi and the area of a circle presented in Korean, Japanese, Singapore, and American mathematics textbooks, and drew implications for the teaching of pi and the area of a circle in school mathematics. We developed a textbook analysis framework by theoretical discussions on the concept of the pi based on the various properties of pi and the area of a circle based on the central ideas of measurement and the previous researches on pi and the area of a circle in elementary mathematics. We drew five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 teaching of pi and three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 teaching of the area of a circle in Korean elementary schools.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테셀레이션 교수 학습 자료 개발 및 활용 방안

  • Im, Hae-Gyeong;Park, Eun-Yeong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3 no.2
    • /
    • pp.563-589
    • /
    • 2002
  • 고학년으로 갈수록 지필 환경에만 머무르는 현실 속에서 생활 및 예술 작품 등에서 수학적 원리와 개념을 발견하도록 하는 테셀레이션 수업은 학생들의 흥미와 호기심을 유발하고 수학의 아름다움을 느끼게 하는 것 이상으로 기하학적 사고의 기초를 학습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4학년까지 적용되고 있는 7차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새롭게 등장하고 있는 테셀레이션에 대한 이해 및 교수 학습 자료가 체계적으로 정비되어 있지 못한 현실적인 문제의 해결 방안으로서 테셀레이션을 활용한 수학 학습의 내용을 분석하여 교사들에게는 테셀레이션의 이해 및 교수 학습 자료로서 , 학생들에게는 수학의 기하적 개념들을 쉽고 재미있게 학습할 수 있는 학습도구로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테셀레이션을 구현할 수 있는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테셀레이션 교수 학습 자료를 개발하였고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내용을 설정하였다. 가. 테셀레이션의 정의와 예 그리고 종류를 알아보고 테셀레이션 속의 수학적 개념을 활용방법과 함께 제시한다. 나. 제7차 초등 수학 교육과정 중 도형 영역과 규칙성과 함수 영역을 중심으로 테셀레이션을 적용할 수 있는 내용영역을 분석하고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테셀레이션 자료를 제시한다. 다. 제작된 테셀레이션 교수 학습 자료의 효과적 활용을 위한 활용 방안을 탐색한다. 라. 제작된 테셀레이션 교수 학습 자료의 활용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적용 실험을 하고 이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을 분석하여 학습의 효과를 밝힌다. 제작된 테셀레이션 교수 학습 자료의 적용 실험을 위하여 광주대성초등학교 6학년 한 반을 선정하였고 약 4주에 걸쳐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테셀레이션 교수 학습 자료를 투입하여 4번의 활동수업을 실시하였다. 수업 후 작성된 학습지와 소감문 및 연구자에 의해 관찰된 수업내용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제7차 초등 수학 교육과정 중 도형 영역과 규칙성과 함수 영역을 중심으로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테셀레이션 자료를 제시한 결과 지필적 환경에서 제한적이었던 탐구하고 조작해보는 활동을 할 수 있는 역동적인 수학 실험실 환경이 제공됨으로써 도구적 이해가 아닌 관계적 이해를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수학적 개념을 암기하는 것에서 벗어나 자연스런 조작을 통해 학생들이 개념을 이해하고 탐구하는 과정 속에서 학생들은 수학을 공부한다기 보다는 수학 속에서 재미있게 놀이한다는 생각을 가지고 수업에 참여하였고 배우는 즐거움을 알고 자신감을 가지며 더 나아가 창의적인 생각을 하도록 하는 기회를 줄 수 있었다. 둘째, 테셀레이션은 우리 생활 속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는 것으로 수학이 단순히 책에서만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분야 즉 디자인, 생활 속에서의 벽지문양과 포장지, 예술작품 등에 활용되고 있음을 체험함으로써 수학이 실생활에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음을 알게 하였다. 역으로 생활 속에서의 테셀레이션을 통해 수학적 개념을 찾는 과정을 통해 수학이 아름다우면서도 실용적이라는 생각을 심어줄 수 있었다. 셋째, 테셀매니아, GSP, 캐브리, 거북기하 등 평소 수업에서는 활용도가 적은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활용함으로써 컴퓨터 소프트웨어 자체에서 오는 호기심뿐만이 아니라 직접 조작하여 테셀레이션 작품과 개념을 익히고 새로운 작품과 학습을 해 내는 과정을 통해 자신감과 성취감 등에 있어 큰 변화가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컴퓨터 기능이 미숙한 학생의 경우 처음에는 당황해 하고 어려워하는 부분도 있었으나 조작할 시간적 여유를 주고 교사와 우수한 학생들이 도우미로서 역할을 잘해내어 나중에는 큰 어려움 없이 마칠 수 있었다. 테셀레이션이라는 용어가 아직은 생소한 현장에서 교수 학습 자료가 부족하고 그에 따른 이해도 부족한 현실 속에서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테셀레이션 교수 학습 자료가 교수 학습 현장에 투입되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조사한 것을 목적으로 한 본 연구의 결과로서 테셀레이션이라는 주제는 도형 영역과 규칙성과 함수 영역에서 평면 도형의 각과 모양 등의 성질을 탐구하게 하고, 대칭변환의 개념을 효율적으로 학습하게 할 수 있고, 반복되는 모양에서 규칙성을 발견하고 부분과 전체를 파악하여 패턴을 인지할 수 있게 하며 제작하고 분석하는 과정을 통해 여러 가지 수학적 개념과 수학적 창의성, 수학적인 아름다움을 느끼게 할 수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테셀레이션은 수학적 개념은 물론 수학과 미술, 수학과 일상 생활과의 연결성을 논의하고 확인하는 데 흥미로운 주제가 될 수 있다. 초등학교 교육과정에서 새롭게 도입되고 있는 테셀레이션을 활용하여 지도하기 위한 교수 학습 자료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고 앞으로는 테셀레이션과 관련된 내용이 직접적으로 교육과정 내에서 다루어지고, 또한 테셀레이션을 적용한 수업이 학생들의 기하학적 사고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한 연구가 뒤따라야 할 것으로 본다.

  • PDF

Rigidity of surfaces (곡면의 강성의 역사)

  • Kim, Ho-Bum
    •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 /
    • v.20 no.4
    • /
    • pp.49-60
    • /
    • 2007
  • In this article, the concept of rigidity of smooth surfaces in the three dimensional Euclidean space which naturally arises in elementary geometry is introduced, and the natural process of the development of rigidity theory for compact surfaces and its generalizations are investigat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