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도시고층건물

Search Result 64,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건설동향-광주.전남지역 고층건물

  • Korea Mechanical Construction Contractors Association
    • 월간 기계설비
    • /
    • no.10 s.219
    • /
    • pp.86-88
    • /
    • 2008
  • 고층건물은 랜드마크로서 그 도시를 대표해 정치, 경제, 사회적으로 엄청난 파급효과 창출이 입증되면서 세계 유수 도시가 경쟁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는 광주·전남을 상징하는 고층 건물 건립을 진행하고 있으며 현재 시공 중이거나 시공 예정인 고층 건물은 $\Delta$금호생명 광주사옥(30층) $\Delta$대우 디오빌(24층) $\Delta$광주은행 본사(20층) 등이다. 광주·전남 지역에 건립된 고층건물에 대해 알아본다. 본지는 지난 6월 서울특별시에 이어 전국에 건설 중이거나 건설 예정인 고층건물에 대한 정보를 수록할 예정이다.

  • PDF

대전.충남지역 초고층건물 계획

  • 대한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no.11 s.220
    • /
    • pp.86-88
    • /
    • 2008
  • 초고층건물은 랜드마크로서 그 도시를 대표해 정치, 경제, 사회적으로 엄청난 파급효과 창출이 입증되면서 세계 유수 도시가 경쟁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대전광역시와 충청남도는 대전 충남을 상징하는 초고층 건물 건립을 진행하고 있으며 현재 시공 중이거나 시공 예정인 고층 건물은 $\triangle$계룡건설 아산 배방 복합단지(51층) $\triangle$삼성 탕정 트라팰리스(39층) $\triangle$현대산업개발 I-Park(31층) $\triangle$남광토건 하우스토리(30층) 등이다. 대전 충남 지역에 건립될 고층건물에 대해 알아본다. 본지는 지난 6월 서울특별시에 이어 전국에 건설 중이거나 건설 예정인 고층건물에 대한 정보를 수록할 예정이다.

  • PDF

울산.경남지역 초고층건물 계획

  • 대한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no.12 s.221
    • /
    • pp.84-86
    • /
    • 2008
  • 초고층건물은 랜드마크로서 그 도시를 대표해 정치, 경제, 사회적으로 엄청난 파급효과 창출이 입증되면서 세계 유수 도시가 경쟁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울산광역시와 경상남도는 울산 경남을 상징하는 초고층 건물 건립을 진행하고 있으며 현재 시공 중이거나 시공 예정인 고층 건물은 $\triangle$태화강 이안 엑소디움 (54층) $\triangle$두산 위브더 제니스(48층) $\triangle$풍림 엑슬루타워(43층) $\triangle$코오롱 파크폴리스(39층) 등이다. 울산 경남 지역에 건립됐거나 건립 예정인 고층건물에 대해 알아본다. 본지는 지난 6월 서울특별시에 이어 전국에 건설 중이거나 건설 예정인 고층건물에 대한 정보를 수록할 예정이다.

  • PDF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the Effects of High Building Disaster Administration System -Focused on Seoul Fire Fighters' Realization- (고층건물 재난관리체제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서울특별시 소방공무원의 인식을 중심으로-)

  • Kim, Jinkeun;Park, Chanseok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1 no.1
    • /
    • pp.149-162
    • /
    • 2015
  • Today, necessity of high building is increasing for security and information intensive type city development of urban space. At the same time, interest of high building disaster among human made - disaster is rising because importance of high building safety is embossed mor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ill present what main factors will affect high building disaster administration system that can be prevented or prepared.

강원.경북.제주지역 초고층건물 계획

  • 대한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s.223
    • /
    • pp.91-92
    • /
    • 2009
  • 초고층건물은 랜드마크로서 그 도시를 대표해 정치, 경제, 사회적으로 엄청난 파급효과 창출이 입증되면서 세계 유수 도시가 경쟁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강원 경북 제주는 지역을 상징하는 초고층 건물 건립을 진행하고 있으며 현재 시공 중이거나 시공 예정인 고층 건물은 ${\triangle}$세계무역센터 춘천(38층) ${\triangle}$경북 현진 에버빌 엠파이어(37층) ${\triangle}$제주 월드타원(150m)등 이다. 강원 경북 제주지역에 건립됐거나 건립 예정인 고층건물에 대해 알아본다.

  • PDF

Numerical Analysis of Smoke Control for high-rise Building Considering with the Enthalpy Equation (Enthalpy Equation을 이용한 고층 건물의 제연해석)

  • Bae, Sung-Ryong;Ro, Kyoung-Chul;Ko, Gwon-Hyun;Ryou, Hong-Sun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24 no.4
    • /
    • pp.27-32
    • /
    • 2010
  • Recently, increases of population density due to the industrialization in the metropolitan cities has caused the high-density and integration of life environment. Then various high-rise buildings are constructed for accommodation. However, high-rise building fires can cause high casualties due to increases of smoke spread velocity through the vertical shaft. In this study, the new program based on the enthalpy conservation for analysis of energy transfer for smoke control system, CAU_ESCAP, was developed. CAU_ESCAP was validated by comparing with the result of ASCOS. The characteristic of smoke control was analysed by using CAU_ESCAP for high-rise building fires.

Assessment of Residential Environment based on 3D City Model (3차원 도시모델 기반의 주거환경권 분석)

  • Goo Sin-Hoi;Eo Jae-Hoon;Yeu Bock-Mo;Yoo Hwan-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6.05a
    • /
    • pp.31-36
    • /
    • 2006
  • 최근 그래픽기술과 자료관리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3차원적 가시화 및 분석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국내의 경우 국가 GIS사업과 더불어 대전, 광주, 부산 등 각 지자체들의 GIS 구축사업으로 인한 3차원적 공간정보의 활용이 증대되고 있다. 특히 대도시의 토지이용 효율을 높이고 건설회사의 이윤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기존의 저층 주거용 건물을 고층 아파트 또는 고층 주상복합 건물로 재건축 또는 재개발하는 경우가 빈번해졌다. 이러한 과정에서, 신축되는 고층 건물과 기존 단독주택 또는 공동주택의 일조권, 조망권, 사생활권 등 환경권 침해에 대한 민원이나 법적 분쟁이 많이 일어나고 있다. 이에 합리적이고 과학적인 대안제시를 위하여 3차원적인 도시모델을 기반으로 하는 도시지역에 대한 환경권분석이 요구되고 있다.

  • PDF

Air Temperature Differences in Areas with High-rise Buildings (초고층빌딩지역의 기온차)

  • Jin, Wen-Cheng;Lee, Kyoo-Seock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0 no.1
    • /
    • pp.12-22
    • /
    • 2012
  • In Seoul, skyscrapers are built in commercial zones known as residential-commercial complexes, which cause such environmental problems as urban heat islands(UHI) and air pollution. To investigate air temperature differences in areas near skyscrapers at Gangnam-gu, Seoul, South Korea, fixed air temperature observation and traverse observations were performed from March 16, 2008 to March 15, 2009. The annual mean air temperature at Tower Palace(TPL) was higher than that at Sookmyung Girls' High School(SMG) by $0.7^{\circ}C$, although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observation positions is only 200m. The number of tropical nights at TPL was 13, while that at SMG was 5. The higher air temperature at TPL was due to a significantly lower sky view factor(SVF), which prevented long-wave radiation from emitting into the sky. The highest air temperature increases near TPL occurred on summer nights because of the high-electricity consumption value of $70.22Wh/m^2$ for the TPL block in August due to air conditioning for cooling. It is concluded that the warm air pocket centered on TPL.

Evaluation of Concrete Structures Damaged by Fire (국내외 콘크리트 구조물의 화재피해 사례분석)

  • 김인수
    •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 /
    • v.14 no.2
    • /
    • pp.10-16
    • /
    • 2002
  • 건물에 있어서 주요 재해는 지진, 폭풍, 홍수 등의 자연현상에 의한 피해와 인위적인 화재에 의한 피해가 있다. 화재는 도시가 확대됨과 동시에 그 빈도가 높아지고 화재규모는 대형화되는 추세며 이에 따른 인적ㆍ물적 피해의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도시에서는 큰 고민거리가 아닐 수가 없다. 도시는 경제와 산업이 집중하고 인구밀도가 높으며, 건물은 점차 고층화 및 다양화되고 더욱 복잡한 기능을 갖게 되었다. 따라서 대도시가 될수록 건물의 화재예방 및 소방, 재해 후의 조치가 중요시되며, 또한 앞으로의 과제이기도 하다.(중략)

The annual infiltration distribution caused by wind and stack effects in high-rise residential buildings (외부바람과 연돌효과의 상호작용에 의한 고층주거 건물의 연간 침기량 분포)

  • Park, Ju-Hyun;Yoon, sung-min;Song, Du-Sam;Kim, Yong-Sik
    • Journal of Urban Science
    • /
    • v.8 no.1
    • /
    • pp.25-31
    • /
    • 2019
  • Infiltration affects indoor environmental and air quality and energy consumptions in buildings. Especially, airflow and the infiltration are more remarkable in high-rise buildings due to the air-driving forces (stack and wind effects). Thus,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infiltration distributions in high-rise residential buildings. In this study, the weather-driven infiltration is characterized from the viewpoint of interactions between external wind and stack effect in high-rise residential buildings. To calculate accurately the annual infiltration distributions, this study also suggests an airflow and thermal simulation method with a two-step calibration of air-leakage data. The simulated results show (1) how the interaction between stack and wind effects induce infiltration types (outdoor and interzone air infiltration) and (2) how much the interzone air infiltration (being ignored in previous studies) occurs due to the stack effect, as well as the outdoor air infiltration ra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