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도서관평가기준

검색결과 178건 처리시간 0.02초

디지털도서관 웹사이트 사용성 평가기준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Usability Evaluation Criteria in Digital Library Website)

  • 이응봉;이주현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29-153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국내·국외에서 수행된 주요 웹사이트의 사용성 평가와 관련된 연구에 적용된 기준을 비교${\cdot}$분석하여, 우리나라 디지털도서관의 웹사이트 평가에 적용 가능한 일반적인 웹사이트 사용성 평가기준을 도출함으로써 향후 이용자 서비스의 품질향상을 통한 효율적인 웹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기 위한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디지털도서관 웹사이트를 대상으로 한 사용성 평가기준은 서로 다른 수많은 특성과 목적을 가지고 운영되는 웹사이트에 일률적으로 적용되어질 수는 없다. 적용대상에 따라 평가 기준이 달라지거나 최소한 각 평각기준의 비중이 달라져야 할 것이다. 디지털도서관 웹사이트의 경우 대학도서관, 공공도서관, 전문도서관, 학교도서관 등 해당 분야별로 특성에 따른 웹사이트가 구축되어진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디지털도서관 웹사이트 사용성 평가기준(안)은 일반적으로 준수해야 할 항목에서의 기준이라 할 수 있다.

학교도서관 정책 평가모형 개발과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olicy Evaluation Models for School Libraries)

  • 이재원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55-84
    • /
    • 2007
  • 본 연구는 학교도서관 정책을 평가하기 위하여 정책학에서 제시한 기준을 토대로 평가모형을 개발하고 이 평가모형에 '학교도서관 활성화 종합방안'을 적용하여 학교도서관 정책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였다. 학교도서관 정책을 평가하기 위한 기준은 여러 학자가 제시한 이론 중에서 교육정책과 학교도서관 정책에 관한 선행 평가모형을 근거로 하였다. 선정된 평가기준은 평가자에게 배부한 설문지와 전화인터뷰를 통하석 검증하였다. 학교도서관 정책에 대한 평가결과는 대체로 긍정적이었나 일부 정책개선 노력이 필요하다는 내용이 제기되었다.

대학도서관 서비스 품질 평가 기준 개발에 관한 연구 (A Development of Service Quality Evaluation Criteria for Academic Libraries in Korea)

  • 이응봉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49-69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학술도서관 서비스 품질에 대한 국내 외의 최근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지난 2010년과 2011년에 각각 실시된 '대학도서관 시범 평가'와 '전문대학도서관 시범 평가'를 진단하고, 2015년 3월 27일 공포(법률 제13222호)된 "대학도서관진흥법"과 2015년 9월 28일 제정(대통령령 제26547호)된 "대학도서관 진흥법시행령"의 시행에 따른 향후 '대학도서관 평가'에 대해 전망하였다. 그리고 국내 외의 대학도서관 서비스 품질 평가 기준의 사례 분석을 통해 그리고 우리나라의 대학도서관 서비스 품질 평가 기준 개발에 있어서 참고하거나 적용해야 할 주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미국의 사서교사 전문성 평가기준과 도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Standards and Tools of the Performance of School Librarians in the United States)

  • 김성준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03-121
    • /
    • 2013
  • 이 연구는 미국의 사서교사 전문성과 관련된 기본 배경을 이해하고, 현재 미국에서 활용되고 있는 국가 수준과 주정부 수준의 사서교사 평가기준과 도구 그리고 자기평가 도구를 분석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설정하고 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미국은 국가 수준의 학교도서관 기준에 맞추어 사서교사 양성, 자격기준, 평가기준의 일관성 있는 전문성 계발 구조를 갖추었으며, 국가 수준의 사서교사 전문성 기준은 미국 전문교사자격 기준위원회의 자격기준과 미국학교도서관협회에서 발표한 "평생교육을 위한 학습" 기준의 사서교사 평가도구가 대표적으로 제시되고 있다. 미국의 여러 주정부에서는 국가 수준의 학교도서관 기준을 바탕으로 주정부의 실정에 맞는 사서교사 평가기준과 도구를 개발하여 실제 평가에 활용하고 있다. 더불어 미국학교도서관협회는 2012년에 사서교사의 자기평가 도구인 "사서교사 평가의 21세기 접근법"을 발표하여, 사서교사가 국가수준의 기준에서 제시한 전문성에 도달할 수 있는 실천적 방향을 안내하고 있다.

웹 기반 도서관 이용자교육 프로그램의 설계기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sign Criteria for Web-based Library Instruction Program)

  • 신경훈;최상기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61-183
    • /
    • 2004
  • 현재 국내 대학도서관에서는 웹을 통한 도서관 이용자교육이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문헌에서 나타난 웹 사이트 평가기준과 웹 기반 도서관 이용자 교육 프로그램의 평가기준을 종합한 평가 요소들을 도출하여 국내ㆍ외 대학도서관의 웹 기반 도서관 이용자 교육 프로그램을 비교ㆍ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웹 기반 도서관 이용자교육 프로그램의 설계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여 향후 웹기반 도서관 이용자 교육 프로그램의 설계에 있어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미국의 대학평가인정기준에 나타나는 대학도서관 평가기준의 최근 경향 (Recent Trends of the Assessment of Academic Library Services in the Context of American Regional Accreditation Standards)

  • 서혜란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55-270
    • /
    • 2004
  • 미국의 대학평가인정제를 개관하였다. 그리고 2000년을 전후하여 대폭적으로 개정된 여섯 개 지역별 대학평가 인정기준을 대학도서관에 대한 평가기준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여섯 가지 특징적 변화 경향을 파악 하였다. 즉 목적 기반의 평가, 성과 중심의 정성적 평가, 학생의 학습성과 강조, 도서관의 가르치는 역할 강조, 원격교육 서비스 강화, 그리고 규범성과 구체성의 후퇴가 그것이다. 연구자는 이러한 최신 경향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대학평가기준 중 도서관 관련 평가항목이 지향해야 할 방향을 제안하였다.

  • PDF

공공도서관 장애인서비스 기준의 현황 및 과제 (The Current Status and Issues of the Standards of the Public Library Service for the Disabled)

  • 배경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379-400
    • /
    • 2015
  • 도서관 장애인서비스의 중요성이 확산되는 상황에서 수요자 중심의 도서관 장애인서비스 제공을 위해 현실적인 운영기준 마련이 시급하다. 따라서 이 연구는 국내 외 도서관 장애인서비스의 운영기준 등을 조사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국내 외 도서관 장애인서비스 운영기준을 분석한 결과 법적 기준과 관련 기관의 운영기준 모두 현실을 반영한 실질적인 기준으로서 개정이 시급한 상황이었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과제는 우선 도서관 장애인서비스의 최소기준과 세부기준을 별도로 고려하는 것이다. 그중에서도 최소기준으로 활용할 수 있는 도서관법 시행령의 조속한 개정에 대한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또한 이와 같은 기준이 현실적으로 적용되기 위해서는 도서관장애인서비스 통계 및 평가지표와 연계되어야 하며, 평가업무 연계에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해서 기준 적용의 당사자인 장애인도서관 및 장애인이용자의 의견 수렴이 1차적으로 선행되어야 함을 제시하였다.

공공도서관 계획과 평가에 있어서 도서관기준의 유용성: 미국 공공도서관장 인식조사를 중심으로 (The Utility of State Public Library Standards for Planning and Evaluation: A Survey of Public Library Directors' Perceptions)

  • 차미경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69-88
    • /
    • 1999
  • 지난 100여년 동안 미국 대부분의 주에서는 공공도서관의 계획과 평가를 위한 도구로 도서관기준을 개발 보급해 왔다. 본 연구는 이러한 주(州)공공도서관기준의 유용성을 도서관의 계획과 평가에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공공도서관 관장들의 인식조사를 통하여 알아보았다. 주도서관기준이 개별 도서관의 계획과 평가활동에 유용한지, 유용하다면 기준 항목의 어느 영역이, 그리고 구체적으로 어떤 활동에 유용한지를 파악하였다 공공도서관 관장의 인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들도 검토되었다. 연구결과 공공도서관장들이 도서관기준의 유용성을 도서관과 지역의 환경을 고려하여 이해하고 확인되었다. 그러므로 도서관기준의 개정시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한 도서관의 계획과 봉사가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

  • PDF

디지털 도서관 평가기준: 이용자들이 원하는 것은 무엇인가? (Digital Library Evaluation Criteria: What do Users Want?)

  • Xie, Iris;Joo, Soohyung;Matusiak, Krystyna K.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5-18
    • /
    • 2014
  • 기존의 여러 연구들에서 디지털 도서관 평가를 위한 기준들이 제시되어 왔으나, 대부분의 연구에서 평가기준에 대한 이용자 관점을 이해하려는 노력이 부족하였다. 본 연구는 디지털 도서관 평가 기준들에 대한 이용자들의 의견을 미국 내 5개 대학교에서 10명의 교수 이용자와 20명의 학생 이용자에게 설문을 통해 직접 조사하였다. 설문 참여자들은 본 연구진에 의해 제시된 8개 영역 (장서, 정보조직, 맥락 등) 내 평가 기준들의 중요성에 대해 7점 척도로 응답하였다. 설문의 결과는 이용자들이 장서의 이용과 품질, 서비스와 관련된 항목들을 도서관 운영항목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음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이용자 중심의 디지털 도서관 개발과 관련하여 이용자의 요구와 선호를 반영하는 도서관 평가체계 구축에 도움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