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데이터 전환

검색결과 988건 처리시간 0.022초

웹 기반 한영자동전환 모델 및 구현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Web-based Automatic Conversion Technology between Korean and English)

  • 김태상;박정현;정강현;이긍해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8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5 No.1 (B)
    • /
    • pp.150-155
    • /
    • 2008
  • 컴퓨터에 입력하는 데이터에는 한글과 영어가 혼합되어 있다.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흔히 키보드의 한/영 전환키를 사용하여 입력되는 언어에 맞게 수동으로 입력모드를 전환하는데 잘못된 모드에서 데이터를 입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어서 자동으로 입력 모드를 전환해주는 한영자동전환기술에 관한 연구가 있었다. 인터넷에서의 데이터 입력시에도 사용자가 데이터를 잘못된 입력 모드에서 입력하여 원하는 검색결과를 얻지 못하는 일도 자주 발생한다. 본 논문은 인터넷 검색과 같이 분산환경에서 데이터를 입력할 때에 이용될 수 있는 웹기반 한영 자동전환 모델 및 구현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 하기 위해 기존의 응용프로그램에서 동작하는 한영자동전환 기술을 분산환경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본 논문에서 설명하는 방법을 이용하면 웹 응용에서 기존의 다른 구현보다 편리하게 한영 자동전환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으며 웹 검색에 적용할 경우 검색결과의 정확성이 증가된다.

  • PDF

레파지토리 및 프로세스 기반의 데이터 전환 자동화 도구 (Data Conversion Automation Tool based on Repository and Processes)

  • 허민석;김동수;김희완
    • 서비스연구
    • /
    • 제10권2호
    • /
    • pp.17-29
    • /
    • 2020
  • 데이터를 운영하는 운영시스템은 비지니스의 변경, 고객 요구와 IT 기술의 발달로 정보시스템 재구축 프로젝트는 주기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기업의 자산인 데이터의 정합성과 무결성을 보장하는 데이터 전환은 중요하다. 데이터 전환의 목표는 현재의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운영 환경을 이해하고, 사용 중인 DBMS의 특성을 파악하여, 최적의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유지하며, 신 시스템이 최상의 성능을 발휘하도록 해야 한다. 기존 정보시스템에 존재하는 축적된 과거자료를 추출하여 새로운 정보시스템의 개선된 테이블로 옮기는 과정을 말한다. 데이터 전환은 사전에 설계/계획된 규칙에 따라 최종 목적 테이블로 전환하는 전체 과정이다. 따라서, 기존 정보시스템에서 사용하고 있는 데이터를 차세대 시스템 구축 사업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데이터의 이행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차세대 시스템 통합 프로젝트 중 중요한 부분인 데이터 전환을 위한 자동화 도구를 설계하였다. 본 연구에서 기존 데이터 전환 방식의 문제점을 분석하여 데이터 전환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 레파지토리와 프로세스 기반의 효율적인 데이터 전환 자동화 도구를 제안하고 실제 차세대 프로젝트의 적용사례를 통해 그 효율성을 검증하였다.

장면전환 탐지와 예측을 통한 비디오 자료의 전송 제어 (Transmission Control of Video Data through Prediction and Shot Transition Detection)

  • 이근수;김원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5권6호
    • /
    • pp.59-66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MPEG 비디오 데이터를 GoP 단위로 분할하여 장면전환 특성을 파악하고 그에 따라 칼만필터를 사용하여 비디오 데이터의 전송량을 예측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비디오 데이터의 정확한 장면전환을 파악하기 위해서 압축 도메인에서 고속으로 장면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는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급진적 장면전환 유형과 점진적 장면전환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분류된 정보는 칼만필터의 세부 인자로 사용되어 비디오 데이터의 전송량을 예측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은 압축 도메인에서 장면전환 탐지와 비디오 데이터의 전송량을 예측하여 처리 시간을 감소시키고자 하였다. 세 종류의 서로 다른 비디오 데이터 911개의 1프레임을 사용한 실험에서 96.2- 97.6%로 전송량을 예측하였다.

  • PDF

전통적 환경과 빅데이터 환경의 데이터 자원 관리 비교 연구 (A Study on Data Resource Management Comparing Big Data Environments with Traditional Environments)

  • 박주석;김인현
    • 한국빅데이터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91-102
    • /
    • 2016
  • 전통적인 환경에서 데이터 생명주기는 데이터-정보-지식-지혜 전환과정으로 요약된다. 반면에 빅데이터 환경에서 데이터 생명주기는 데이터-통찰-실행 전환과정으로 요약된다. 이러한 전환과정의 차이점은 데이터 생명주기를 지원하는 데이터 자원 관리에도 변화를 요구한다. 본 논문에서는 전통적인 데이터 자원 관리와 비교하여 빅데이터 환경을 위한 데이터 자원 관리를 연구한다. 특히 빅데이터 자원관리를 위한 주요 구성요소를 제안한다.

  • PDF

홀트-윈터스 가법모형에 의한 전국 학생수 예측 (Forecasting number of student by Holt-Winters additive model)

  • 김종태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0권4호
    • /
    • pp.685-694
    • /
    • 2009
  • 본 연구는 전국 초 중 고등학교 학생수 데이터를 계절성과 추세성을 가지는 시계열 데이터로 전환하는데 있다. 시계열 데이터로의 전환방법은 학년의 진급에 따라서, 초등1학년에서 고3학년까지 12년 한 주기로 하는 모형 A의 시계열 데이터 전환과, 각 학년을 한 주기로 하는 모형 B의 시계열 데이터 전환방법을 사용하였다. 전환된 시계열 데이터, 모형 A와 모형 B를 가지고, 홀트-윈터스의 가법모형을 이용하여 학생수를 예측하였다. 2019년까지의 전국 초.중.고등학교의 학생수를 예측하고, 교육과학기술부의 교육인적자원 통계서비스의 2007년에 예측한 2019년까지의 학생수 예측과 비교분석 하였다.

  • PDF

농업·농촌 디지털 전환을 위한 빅데이터 활성화 방안 연구 (Big Data Activation Plan for Digital Transformation of Agriculture and Rural)

  • 이원석;손경자;전대호;신용태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9권8호
    • /
    • pp.235-242
    • /
    • 2020
  •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우리 농업·농촌의 디지털 전환을 추진하고 다가오는 인공지능 시대를 대비하기 위하여, 필요한 양질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해서 활용할 수 있는 체계와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농업인이나 농정담당자 등 다양한 이해 관계자들이 느끼는 문제점이나 이슈들을 조사·분석하여, 공동 활용을 위한 빅데이터 플랫폼 확충, 지속 가능한 빅데이터 거버넌스 구축 그리고 수요자 기반의 빅데이터 활용 기반 활성화 등 우리 농업·농촌의 디지털 전환을 추진하기 위해서 반드시 선결되어야 할 빅데이터 활성화를 위한 전략적 방안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장면 전환 검출을 이용한 수면 향상 (Improved Sleep using Scene Transition Detection)

  • 신성윤;신광성;조광현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4년도 제69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32권1호
    • /
    • pp.433-434
    • /
    • 2024
  • 본 논문에서는 잠을 자는 침실의 수면 환경 데이터를 수집하고, 얻은 조건 데이터들과 수면 사이의 관계를 분석한다. 또한 잠을 자는 사람의 영상에서 장면 전환을 검출하여 육체의 상황과 수면과의 반응 및 신체감각과 자극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고속도로 교통데이터(FTMS, TCS)를 이용한 경로전환율 분석: 서해안고속도로 매송~발안 구간을 중심으로 (Analysis of Diversion Rate using Expressway Traffic Data(FTMS, TCS): Focusing on Maesong~Balan IC at Seohaean Expressway)

  • 고한검;최윤혁;오영태;최기주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1-41
    • /
    • 2012
  • VMS, 교통방송(라디오), SNS 등 교통정보제공을 통한 교통량 분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교통정보에 대한 운전자의 반응행태 및 효과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FTMS 및 TCS 데이터가 구축되어 있는 전국 고속도로 본선부를 분석 대상으로, FTMS 데이터와 TCS 데이터를 이용하여 경로전환 교통량과 그에 따른 경로전환율을 추정하는 방법론을 제시하고, 실제 대상구간의 경로전환율을 산출하여 시간 및 공간적 경로 전환율 변동에 대한 특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교통정보 제공 이후, 해당 시간대의 평균 유출교통량에 비해 유출교통량이 일시적으로 증가한 경우 이 편차(도로교통상황의 동적인 특성으로 인한 편차 고려)는 교통정보 제공으로 인한 경로전환 교통량이라 정의하고, 본선 교통량과의 비율을 경로전환율로 계산하였다. 시간흐름에 따른 경로전환율 변화를 분석한 결과, 혼잡상황에 대한 교통정보를 먼저 얻게 되는 상류부 IC에서의 초기 경로전환율(유출교통량) 변화는 일시적으로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후 공간적 시간적 흐름에 따라 상류부 IC에서의 경로전환율의 변화는 하류부 IC에서의 경로전환에 영향을 미치고, 이는 다시 상류부 IC에서의 변화를 유도하는 등의 경로전환 순환체계(feedback control loop)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압축된 MPEG 비디오 시퀀스에서 B 프레임의 특징을 이용한 빠른 장면전환 검출 알고리즘 (A Fast Scene Change Detection Algorithm Using Feature Of B Frame in Compressed MPEG Video Sequence)

  • 김중헌;김신형;박두영;장종환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1년도 제14회 신호처리 합동 학술대회 논문집
    • /
    • pp.195-198
    • /
    • 2001
  • 비디오 데이터의 효율적인 저장, 관리를 위해서는 장면진환 검출을 통한 비디오 분할 기술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MPEG 압축 비디오 상의 B(Bidirectional) 프레임의 특성을 복호화 과정을 거치지 않고 직접 추출하여 I(Intra), P(Predictive), B(Bidirectional) 프레임에 제안받지 않고 장면전환을 검출해 내는 방법을 제안한다. 장면전환 검출을 위해 복호화 하지 않고 필요한 데이터만을 추출해 내어 B 프레임의 특징만을 이용해 검출하므로 빠르면서도 정화한 장면전환을 검출한다. 또한 카메라 움직임이나 빛의 변화 같은 잡음에 강건한 방법을 제안한다.

  • PDF

차량 항법용 원도로 활용하기위한 교통 주제도 데이터 모델 전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ata Model Migration for Transportation Digital Map to be available as a Raw Database of Car Navigation System)

  • 함창학;주용진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67-74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차량항법용 지도데이터 중 가장 핵심이 되는 NDRM을 구축하기위해 현행 교통주제도 데이터 모델의 전환(Migration) 방안을 제시하고 데이터 모델을 설계 구축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제시된 교통 주제도의 데이터 모델은 공공부분에서 구축된 교통목적의 범용 도로망을 이용하여 경로안내 서비스에 활용 가능한 데이터의 제공이 가능하고, 보다 효율적이고 경제적으로 항법 서비스용 맵을 생성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