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대학수업

Search Result 1,588,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What Do Students Want In The Classroom? (컴퓨터관련 대학 수업에서 학습자가 원하는 것)

  • An, Dong-Kyu;Choi, Jung-Wo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07a
    • /
    • pp.155-156
    • /
    • 2016
  • 대학 교육현장에서 수많은 비정형화된 데이터가 생산되고 있는데 그중 관심 있게 볼 부분은 학생들의 서술적 강의평가이며, 본 논문에서는 대학에서 시행하는 서술적 강의평가를 활용하여 컴퓨터를 활용하는 수업에서 학생들이 원하는 상호작용을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빅데이터에서 활용하는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였으며 분석결과 컴퓨터관련 관련 수업에서 필요한 학습자 상호작용은 주로 흥미, 기회, 열정, 재미, 참여, 유익, 친절 등으로 나타났다. 현재 5점 척도로 보여 지는 강의평가 점수는 진정 학습자가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파악이 어렵기 때문에 관련 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하다. 또한 향후 컴퓨터를 활용하지 않은 수업과 비교함으로써 대학 컴퓨터 관련 수업의 특징을 구분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 PDF

The Converged Analysis of the Effect of Physical Education Class Satisfaction on the College Life Satisfaction and Academic Persistence (교양체육수업의 만족이 대학생활만족도 및 학업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의 융합적 분석)

  • Park, Jae-Ahm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0 no.3
    • /
    • pp.257-264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physical education class satisfaction on the college life satisfaction, and academic persistence to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for the effective higher education policy increasing the academic persistence. By analyzing a total of 185 surveys from college students that take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this study found followings. First, physical education class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the college life satisfaction(+). Second, college life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the academic persistence(+). Third, physical education class satisfaction didn't had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the academic persistence. Fourth, physical education class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indirect effect on the academic persistence mediated by the college life satisfaction.

An Analysis of Differences in Learning Participation and Presence according to Academic Achievement in the Flipped Learning-based Non-Face-To-Face Classes (플립러닝 기반 비대면 수업에서 학업성취도에 따른 학습참여 및 실재감 차이 분석)

  • Kim, Kyong-Ah;Kim, Ji Sim;Ahn, You 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01a
    • /
    • pp.139-140
    • /
    • 2022
  • 코로나 팬더믹의 장기화에 따른 비대면 환경에서 대면 수업의 실재감을 제공하는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실제 수업 현장에서는 대면수업과 다른 환경에서 학습자의 수준과 특성에 맞는 수업 설계의 필요성 또한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플립러닝을 기반으로 한 비대면 프로그래밍 수업에서 학업성취도에 따른 학습 참여 수준과 실재감의 차이를 분석하여, 맞춤형 학습역량 강화를 위한 교수 방안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강의 동영상 수업과 상호작용을 포함한 플립러닝 기반 실시간 수업을 혼합하여 수업한 후 설문을 통해 학업성취도에 따른 학습자들의 학습 참여 수준, 교수 실재감과 학습 실재감을 조사한 결과, 학업성취도 가장 높은 학습자일수록 학습 참여도 높고, 다음 수준의 학습자들이 교수 실재감과 학습 실재감은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분석되었다. 이를 통해 학업성취도에 기반하여 학습자별 맞춤형 교수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Study on the Method for the Review to improve Learning Efficiency (학습 효율을 높이기 위한 복습 지원 교수학습 방법 연구)

  • Oh, Suk;Kim, Kyoung Ah;Ahn, You Jung;Kim, Ji-Sim;Jin, Myung So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9.07a
    • /
    • pp.343-344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교수자에게 큰 부담을 주지 않으면서 학습 효과를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문제풀이 기반의 자발적 복습을 지원하는 교수학습 모형을 제안하고 이를 수업 운영에 적용하였다. 학습자들에게 배포한 수업내용을 복습할 수 있는 문제들로 구성한 유인물은 단순히 해당 요일의 수업을 되풀이하여 익히는 소극적 의미에서의 복습이 아니라 이전 수업 내용들 간의 연관성을 이해할 수 있도록 문제를 구성하고 학습자들의 복습시 발생하는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도록 교수 전략을 수립한다.

  • PDF

The Effects of Team-Based Learning(TBL) for Edutainment Activation in Nursing Students (간호대학생의 에듀테인먼트 활성화를 위한 팀기반학습(TBL) 효과)

  • Kim, Yu-Jeong
    • Journal of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 /
    • v.13 no.7
    • /
    • pp.397-408
    • /
    • 201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eam-based learning(TBL) program on problem solving ability, self-directed learning and learning motivation of nursing students in a adult nursing course. Methods: This study was quasi-experimental study by using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Participants were 132 nursing students consisting of each experiment group 66 and control group 66. The experiment group was provided TBL program for 2 hours per session during 6 sessions and control group was provided lecture. Data were collected by questionnaires from April 20 to June 19, 2018. Data was analyzed by a chi-square test, t-test and ANCOVA using IBM SPSS 21.0 program. Results: The mean scores of problem solving ability(F=9.179, p=.003), self-directed learning(F=7.447, p=.007) and learning motivation(F=7.974, p=.006)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experiment group than those in control group. Conclusion: TBL program in a adult nursing course was effective in problem solving ability, self-directed learning and learning motivation of nursing students.

Satisfaction Analysis of Learners in Non-face-to-face Team Project Classes (비대면 팀 프로젝트 수업의 학습자 만족도 분석)

  • Ahn, You Jung;Shim, Han-mo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01a
    • /
    • pp.395-397
    • /
    • 2022
  • 대면 수업에서와 유사한 교수자와 학습자, 학습자들 사이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지식습득뿐만 아니라 문제해결능력, 창의적 사고력, 협동학습능력을 양성하기 위해 프로그램 개발 수업에 팀 프로젝트 수업을 적용하여 운영하였다. 수업 운영 후 참여 학생들을 대상으로 만족도 설문을 실시하여 비대면 팀 프로젝트 수업에 대한 만족도와 수업에서 만족하는 부분 그리고 불만족한 경우에 그 원인에 대해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분석된 개선 사항을 차년도 수업에 반영함으로써 팀 프로젝트 수업에 대한 학습자들의 만족도를 향상시키는데 연구의 목적을 둔다.

  • PDF

Students' Perceptions of Good Teaching in College -the course evaluations-review of College students- (전문대학교육 현장에서의 '좋은 수업'에 대한 학습자 인식 - 강의평가 주관식 문항 분석 중심으로-)

  • Kim, Soo-Hyu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1.05b
    • /
    • pp.645-647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좋은 수업에 대한 전문대학 현장에서 학습자들 인식을 살펴봄으로써 전문대학 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특히 강의평가의 주관식 문항을 분석하여 좋은 강의의 개념과 가이드 라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질적 분석을 통하여 나타나 결과를 정리해 보면 첫째, 몰입할 수 있는 수업, 둘째, 공정한 평가로 동기유발을 할 수 있는 수업, 셋째, 교수와 학생, 학생과 학생의 원활한 상호작용이 있는 수업, 넷째, 교수자의 열정을 느낄 수 있는 수업을 좋은 강의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강의개선안 및 강의평가 방안 개발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는데 의의가 있다.

  • PDF

An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Communication between Learners in Non-face-to-face Team Project Classes (비대면 팀 프로젝트 수업에서 학습자간 소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Ahn, You Jung;Kim, Kyong Ah;Kim, Ji Sim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01a
    • /
    • pp.133-134
    • /
    • 2022
  • 팀 프로젝트 수업에서 학습자들 간의 소통은 프로젝트 성패에 중요한 요인이면서 동시에 가장 큰 갈등 요소이기도 하다. 특히 비대면 수업이 장기화되면서 비대면으로 운영되는 팀 프로젝트의 경우 팀원들끼리 소통할 수 있는 기회나 방법이 더 제한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팀원들 간의 소통의 원활성을 지원하는 요소에 대해 분석하고자 2년간 실시한 비대면 팀 프로젝트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소통을 지원하는 여러 가지 방법들을 적용해보고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결과를 비교 분석해보았다.

  • PDF

Factor Derivation of Course Evaluation and Priority Analysis Using Analytic Hierarchy Process (계층분석법을 이용한 강의평가 요인도출과 우선순위분석)

  • Su-Hyun Ahn;Sang-Jun Lee
    • Journal of Practical Engineering Education
    • /
    • v.14 no.3
    • /
    • pp.513-522
    • /
    • 2022
  • Course evaluation serves as helpful information to improve the quality of college education and improve lectures. This study derived the factors through preceding research and FGI to explore the factors that constitute course evaluation and identified the relative importance and priority of the factors through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For this, it derived five factors and 15 evaluation items as follows. To secure expertise and fairness in the factor development of course evaluation, the researcher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ing students and teachers and collected a total of 20 valid data. The weight of each evaluation item was calculated based on the data that had been verified for consistency. The analysis concluded that students rated class content, class method, class operation, class evaluation, and class plan as the critical factors in the order of importance, while teachers evaluated class content, class operation, class method, class evaluation, and class plan as important, in that order.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 hope that various analyses and studies will be conducted to improve the efficiency and reliability of course evaluation for the quality management of college education.

Analysis of the Effect of the Havruta Method in Engineering Education (공학교육에서 하브루타 수업방식의 효과 분석)

  • Eom, Mi Ri;Lee, Young In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 /
    • v.10 no.1
    • /
    • pp.149-157
    • /
    • 2020
  •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change of engineering students' competencies through the havruta class. In the havruta class, engineering students' competencies were compared with pre-test and post-test. The research tool was developed by selecting learning readiness, academic self-efficacy, and communication ability as the learner's competence in the havruta class. Finally, 105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21.0 for windows. Firs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learning readiness. Seco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cademic self-efficacy. Thir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ommunication ability.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positive change of competencies in learning readiness ability and communication ability in the havruta class. Although the findings are difficult to generalize to all majors, these results will be a useful basis for instructors who want to apply the havruta cla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