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대학도서관서비스

검색결과 533건 처리시간 0.029초

오픈 사이언스 시대에 대비한 대학도서관의 새로운 학술커뮤니케이션 지원 서비스 (University Library's New Research Support Service Focusing on Scholarly Communication in Open Science Era)

  • 김순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7-30
    • /
    • 2019
  • 공공 연구기금을 지원받아 산출된 연구 성과물을 온라인상에 디지털 형태로 공개하여 이용자가 보다 쉽게 접근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오픈 사이언스 프로젝트가 해외에서 활발히 진행되면서, 미국 대학도서관에서는 이에 부응하는 연구지원 서비스에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OECD가 제시하는 오픈 사이언스 프로젝트 3대 이행 수단 중에서 '역량강화'는 도서관의 연구지원 서비스를 통해 효과적으로 준비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학술커뮤니케이션을 바탕으로 미국 13개 유수 대학도서관에서 시행하고 있는 연구지원 서비스 정책에 대해 최근 문헌과 웹사이트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기반으로 미국 대학도서관의 연구지원 모범 서비스 사례를 소개하고 국내 19개 연구중심대학의 도서관 홈페이지와 관련 이해 당사자들의 의견을 분석하였다. 국내 대학도서관은 미국 대학도서관과 비교했을 때 오픈액세스나 연구 데이터관리 등에 대한 서비스 개발 경험과 전문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 대학도서관의 우수 사례를 기반으로 국내 대학도서관의 학술커뮤니케이션 관련 연구지원 서비스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대학도서관에서 오픈 사이언스 시대에 필요한 연구지원 서비스 계획 수립 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국제적으로 경쟁력 있는 연구지원 서비스를 도입하여 국내 연구자들의 연구력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대학도서관의 이용자참여형 서평서비스에 관한 연구 (User-Participation Book Review Service on University Libraries in Korea)

  • 이혜영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55-172
    • /
    • 2015
  •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에서의 이용자참여형서비스 중의 하나인 서평서비스의 사례 조사와 사서 대상의 설문지 조사를 통해 서평서비스의 현황과 문제점 및 개선점 제시를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문헌정보학과 소재 4년제 대학도서관 35곳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이 중 서평서비스 자체를 제공하지 않는 7곳을 제외하고 나머지 28곳을 3개의 내용으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서평서비스는 대학도서관에서의 홍보여부 및 방법과 이벤트 여부가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유는 도서관 참여율을 높이거나 이용자들의 독서활동을 증진시키기 위함이며 대학도서관에서의 서평서비스는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서들은 서평서비스의 활발한 이용을 위해서는 적극적인 홍보와 매력적인 이벤트 실시, 학교 차원에서의 지원, 사서의 의지, 토론문화로의 확대 방안, 대학 간 서평 통합 제공 그리고 다른 기관 독서프로그램과의 연계 방안에 관한 의견을 제시하였다.

대학도서관 학술정보서비스의 미래 예측을 위한 시나리오기법의 적용 (Future Scenarios of Scholarly Information Services in Academic Libraries)

  • 차미경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37-153
    • /
    • 2004
  • 정보기술 발전의 영향으로 대학도서관 정보서비스는 변화하여왔다. 본 연구는 모바일 커뮤니케이션과 유비쿼터스 컴퓨팅으로 대표되는 미래 정보 환경에서의 학술정보유통과 대학도서관 학술정보서비스를 예측하여 대비하기 위한 기초를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미래 연구 방법 가운데 하나인 시나리오 기법을 도입하여 미래 학술정보유통 환경의 변화의 주요 동인을 파악하고, 각각의 가능성과 대안적 상황들을 정리한 후, 각 환경 속에서 출판사, 대학도서관, 이용자 세 집단의 정보서비스 관련 행위들을 예측하였다.

  • PDF

대학도서관의 모바일 서비스 사례 분석 및 웹 접근성 평가에 관한 연구 (An Analysis and Web Accessibility Assessment of Mobile Service of University Libraries)

  • 구중억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75-101
    • /
    • 2011
  • 스마트폰이 대중화되면서 도서관 정보에 대한 모바일 수요가 증가하고 있고, 모바일 도서관 서비스는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4개 대학도서관 및 미국 ARL 소속 56개 대학도서관이 구축한 모바일 웹, 국내 대학 및 대학도서관이 개발한 모바일 앱 42개, 미국 ARL 소속 대학 및 대학도서관이 개발한 모바일 앱 18개를 대상으로 모바일 도서관 서비스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국내 4개 대학도서관 및 미국 ARL 소속 56개 대학도서관의 모바일 웹사이트를 대상으로 모바일OK 테스트를 실시하여 모바일 웹 접근성을 평가하였다. 국내 대학도서관은 이용자의 모바일 정보 수요를 반영한 핵심 콘텐츠 위주로 모바일 웹사이트를 구축하고 이용자가 사용하는데 불편이 없도록 모바일 웹 접근성 확보를 제안하였다.

대학도서관 e-Learning 콘텐츠 현황 분석 (Analysis of current status about e-Learning contents in university libraries)

  • 김성아;최민정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2015년도 제22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71-75
    • /
    • 2015
  • 정보기술의 발전은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학습자와 전문가의 상호작용을 이루어주는 온라인 기반 교육서비스인 이러닝을 대학도서관에서 이용자에게 온라인 서비스로 제공하기 시작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도서관에서 제공하는 이러닝 콘텐츠의 현황을 설립유형, 지역별, 규모별로 구분하여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오늘날 대학도서관에서 중점적으로 제공하는 이러닝 콘텐츠를 파악하여 향후 이용자의 대학도서관 이러닝 콘텐츠 선호도와 만족도 등의 연구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대학생의 도서관 이용 만족도가 대학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Effects of College Students' Library Satisfaction on College Life Satisfaction)

  • 유병희;박소연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67-87
    • /
    • 2017
  • 본 연구는 대학 도서관 이용 만족도가 대학생의 대학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 소재 두 곳의 사립 대학교 대학생들 360명을 대상으로 두 차례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일차 조사 결과, 시설 만족도와 교육 서비스 만족도의 영향을 통제한 상황에서, 대학 도서관 이용 만족도가 대학 생활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차 조사에서는 도서관 서비스 품질 변수를 세 가지 차원(직원, 자원 및 서비스, 시설 및 환경)으로 추가하였으며, 분석 결과, 도서관 서비스 품질이 도서관 이용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도서관 이용 만족도는 대학 생활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재확인되었다. 또한 두 집단 분석 결과, 도서관 이용 수준이 높은 집단에서 낮은 집단보다 도서관 이용 만족도가 대학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우리 나라 대학도서관의 지식관리시스템 도입현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urrent Situations of Knowledge Management Systems Introduction in Korean University Libraries)

  • 손창식;신호균
    • 한국산업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업정보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459-470
    • /
    • 2002
  • 본 논문은 대학도서관 지식관리시스템 도입의 구성요인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국$.$공립 대학도서관 지식관리시스템의 도입 현황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도서관 지식관리시스템의 구성요인을 예비조사를 통하여 도출하고, 웹사이트 분석과 설문 및 인터뷰를 통하여 대학도서관 지시관리시스템의 현황을 조사하였다. 조사 대상으로 선정된 33개 대학도서관에서는 본 연구에서 제시한 11개의 지식관리시스템 구성요인 중 온라인 참고서비스, 전자우편서비스, 원문정보 구축 등은 조사 대상 도서관 중 거의 모든 도서관에서 제공하고 있었으나 그 외의 서비스는 모두 절반 이하의 도서관에서 제공하고 있어 정보교육, SDI(Selective Dissemination of Information) 등 도서관 서비스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서비스를 적극 시행함과 아울러 e-Book과 무선서비스 제공 등을 비롯한 새로운 시스템들의 도입도 서둘러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 도서관들은 도서관 예산과 사서직원 수 및 조직의 혁신 정도에 비례하여 지식관리시스템을 도입한 것으로 나타나 도서관 서비스 향상에 조직의 정책과 문화, 사서직원의 증원, 관련 예산의 확보가 지식관리시스템 도입의 가장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대학생의 모바일 서비스 이용 요인에 기초한 도서관 모바일 서비스 활용 연구 (A study on the use of mobile services for academic libraries based on the factors influencing the mobile service usage)

  • 곽지혜;김현희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2015년도 제22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87-91
    • /
    • 2015
  • 스마트폰이 보편화되고 스마트폰으로 정보를 습득하고자 하는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모바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학도서관도 증가하고 있다.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학도서관이 증가하면서 모바일 서비스로 제공되는 콘텐츠에 대한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학도서관 2곳을 선정하여, 대학생들이 모바일 서비스를 이용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알아보고 모바일 서비스의 이용도에 따라 상 중 하 집단으로 나누어 각 집단이 선호하는 콘텐츠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대학생의 학년과 모바일 서비스에 대해 인지된 유용성, 유비쿼터스 접속성이 모바일 서비스 이용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료 검색', '시설 예약', '대출사항 조회' 등의 콘텐츠들이 자주 이용되며 이용자 집단 간의 차이는 대학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 PDF

대학도서관의 주제전문사서제 운영방안 연구 - 3개 대학도서관의 서비스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Operational Plan of Subject Specialist Librarian at Academic Libraries : Focus on Case Analysis of Three Academic Libraries)

  • 정재영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119-136
    • /
    • 2009
  • 대학이 학문적 주제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대학도서관의 서비스도 주제를 기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최근 몇몇 대학도서관을 중심으로 주제전문사서제가 도입되고 적용 사례가 소개되고 있지만, 제공서비스에 대한 충분한 장 단점 분석과 도입에 따른 방향성이 점검되고 있지는 못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주제전문사서제를 도입한 3개 대학도서관에 대한 사례 분석을 통해 적용을 위한 선결과제와 효과적인 운영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주제전문사서제를 도입한 3개 대학도서관은 역할, 인사, 평가 등에서 도입초기에 따른 다양한 문제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향후 이에 대한 보완이 시급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주제전문사서제의 도입을 위해서는 도서관내부의 합의과정과 교내 구성원에 대한 홍보가 필수적이며, 지속적인 주제전문사서 충원 및 평가, 보상체계의 마련과 함께, 장기적으로는 서비스의 지속성과 효과를 담보할 수 있는 주제전문사서 및 서비스 제공대학 간 협력체계가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 PDF

가상교육의 성공적 지원을 위한 대학도서관의 역할 및 기능 (The Role and Function of Academic Library to Support Cyber Education Successfully)

  • 최상기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265-292
    • /
    • 2002
  • 대학의 가상교육이 성공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대학도서관의 효과적인 지원을 필요로 한다. 원격학생들이 학습에 필요한 모든 정보자료 및 도서관서비스를 원활하게 지원 받을 때, 학습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가상교육의 성공적인 지원을 위해 대학도서관이 추구해야 할 역할 및 기능에 관하여 외국의 선행연구를 통하여 살펴보고, 대학도서관이 가상교육을 성공적으로 지원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을 사서 도서과서비스, 디지털도서관, 도서관 정책 및 운영 측면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