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대학강의안

Search Result 40,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A Study on the knowledge sharing in the academic sector (효율적인 대학 강의안 공유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Lee Hyung-Mi;Kim Seo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2006.08a
    • /
    • pp.79-86
    • /
    • 2006
  • 최근 지식 정보화 사회로의 이행이 급속도로 진행됨에 따라 과거에 비해 대학에서는 강의와 여구 활동에 대한 정보요구의 증가가 계속되고 있으며, 또한 대학의 연구나 교과목들이 점차 학제적 성격을 띄게 됨으로써 동료와의 지식공유에 대한 중요성이 날로 부각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학 내에서의 강의안 공유에 초점을 두고 강의안 공유를 활성화 할 수 있는 요인들을 규명하고 이들 사이의 영향관계를 실증분석을 통해 밝혀 내고자 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해 평가와 보상, IT인프라기반의 의사소통채널, 인지성, 신뢰도, 개방적인 의사소통, 협력도를 대학 내 강의안 공유에 대한 영향요인으로 하여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연구모형의 검증은 모 대학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얻어진 71개의 설문지 데이터를 중심으로 가설검증이 수행되었다. 연구결과 구조적 요인인 평가와 보상, 그리고 관계적 요인에서의 인지성만이 대학의 강의안 공유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 PDF

Constructing a Metadata DB to Facilitate Retrieval of Faculty Syllabi on the Internet (인터넷 대학강의안의 검색을 위한 Metadata DB 구축)

  • 오삼균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16 no.2
    • /
    • pp.149-164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troduce and discuss a newly-constructed metadata database system that facilitates the retrieval of faculty syllabi available on the Internet. This gateway system aims to provide users with one-stop access to syllabi posted by the faculty of the institutes of post-secondary education from all around the world. Several elements of the Dublin Core (DC) and other supplementary elements were used for cataloging the syllabi. The conceptual schema of all the selected elements of the syllabi was developed following the entity-relationship model. The metadata of the syllabi was then stored in a relational database system. Various searching and browsing interfaces were implemented to facilitate effective retrieval. The prototype, named as Gateway to Faculty Syllabi (GFS), is available at http:/Ais.skku.ac.kr/gfs/.

  • PDF

Design and Evaluation of a Gateway to Faculty Syllabi in Computer Science (인터넷 대학강의안 전산학분야 메타데이터 시스템 구축 및 평가)

  • 이은경;오삼균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18 no.1
    • /
    • pp.65-84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ign and evaluate a metadata system for internet-based syllabi in computer science. The study constructed two prototype systems for the experiment. One was constructed using only Dubline Core (DC) elements and the other was a DC-expanded system with additional eight elements that are not the part of DC elements. The thlrty subjects were chosen from those who majored in Computer Science. Two retrieval tasks were assigned to them. One was to find syllabi in which they are' interested and the other was to find relevant course syllabi for a given course title. After the search, they were asked to evaluate the systems in terms of efficiency, accuracy, and their satisfaction of the system. The result of the first experiment indicates that DC-based system performed significantly better in terms of search time and DC-expanded system in terms of satisfaction measure. An additional experiment was conducted to test efficiency of the browsing categories. The interview with subjects was carried out to find any difficulties associated with the current browsing scheme. The subjects expressed much1 satisfaction about assigning a course to multiple browsing categories.

  • PDF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a Lecture Evaluation Tool in Higher Education -A case of improvement of a lecture evaluation questionnaire in "A" university- (대학 강의평가 도구 개선 방안 연구 -"A" 대학의 강의평가 문항 개선 사례-)

  • Park, Hye-Rim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3 no.11
    • /
    • pp.5033-5043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lement the problem of lecture evaluation items and to improve the lecture evaluation items to fit to original purpose of lecture evaluation to enhance the lecture's quality. For this, meanings of good teaching, lecture evaluation domains and elements of preceding study, the contents and problems of lecture evaluation tools in A college were searched, and in this foundation, an improved lecture evaluation tool was suggested. As the result of this study, important features of the improved tool are followed: First, the compositions of evaluation domains, evaluation elements, and evaluation items were reconstituted. Second, to acquire the important information for the better lecture, the items were devised according to the features of good teaching in colleges. Third, the items concerned of evaluation elements which is commonly suggested by the lecture evaluation tools of preceding study were developed. Forth, if there is the information which is required for the enhancement of the lecture quality, the items were developed though the result could not be presented in the arithmetical means. Fifth, evaluation items to improve the problems of lecture evaluation tools which had been carried out in A college were developed.

Design and Evaluation of a Gateway to Faculty Syllabi in Computer Science (인터넷 대학강의안 전산학분야 메타데이터 시스템 구축 및 평가)

  • 이은경;오삼균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2000.08a
    • /
    • pp.53-58
    • /
    • 2000
  • 본 연구의 목적은 인터넷 전산학분야 대학강의안을 대상으로 메타데이터 요소를 달리하여 두 개의 시스템 - DC기반 시스템과 DC확장 시스템 - 을 구축한다. 이 두 시스템의 평가를 위하여 검색실험을 수행하여 검색의 효율성, 검색결과의 정확률, 이용자 만족도를 측정, 비교함으로써 각 시스템에서 채택한 메타데이터 요소들을 평가한다. 또한 시스템의 브라우징 검색 실험을 통하여 메타데이터에 대한 분류체계의 자체평가를 수행하고자 한다.

  • PDF

Online-based Lecture Evaluation System Web (온라인 기반의 강의평가 시스템 웹)

  • Heo, Tai-Sung;Kim, Dong-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1.07a
    • /
    • pp.465-466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강의평가 시스템을 이용하여 주된 이용자인 학생들에게 수업에 앞서 강의에 대한 전반적인 학습 분위기와 강의를 들었던 학생들의 평점을 제안한다. 이 시스템은 강의평가를 효율적으로 보여주어 수강 신청의 접근성을 최대화하고, 각 강의의 안내와 정보를 취득하는 데 도움을 준다. 또한, 이 시스템은 네 가지의 평점을 부여하여 이를 바탕으로 종합적인 평점을 할당한다. 이때 강의평가에 대한 평가를 곁들이면서, 평점을 제시하여 강의평가를 보려는 다른 이들에게 뚜렷한 정보력과 어떤 강의가 좋은지 잘 보여준다. 본 논문에서는 동적 웹 페이지를 사용하여 가시성이 뛰어난 강의평가 시스템을 제공하는 면에서 우수함을 보인다.

  • PDF

Improvement and Change of Acoustic Performance of University Small Hall Remodeled as Exclusive for Lecture Room : Based on the case of the W University (강의전용 공간으로 리모델링된 대학 소공연장의 음향성능 개선 및 변화 : W대학의 사례를 바탕으로)

  • Kim, Min-Ju;Kim, Jae-Soo
    • The Journal of Sustainable Design and Educational Environment Research
    • /
    • v.19 no.2
    • /
    • pp.21-31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ntents of the sound environment among the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that directly or indirectly affect the quality of education through the remodeling of the small hall of the College of Humanities at W University. Before remodeling into a lecture room, the small hall of the College of Humanities at W University, which is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designed to create an indoor sound environment suitable for a lecture room by recognizing differences in acoustic performance between the performance halls that require adequate sound quality and the lecture rooms where the clarity of voice is important.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present examples of improved acoustic performance in lecture rooms by remodeling through the stages of measuring acoustic performance before remodeling, presentation of a change in finishing materials through sound simulation, and measurement of sound performance after remodeling. It is expected that this process can be used as an example of securing indoor acoustic performance suitable for educational space, such as lecture rooms, by changing the finishing materials.

Investigating Educational Effects of Flipped Learning in Real-time Online Programming Course (실시간 온라인 프로그래밍 교육에서 플립러닝의 학습효과 연구)

  • Kim, Ji Sim;Ahn, You Jung;Kim, Kyoung Ah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0.07a
    • /
    • pp.591-592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대학교육에서 전면적으로 실시되고 있는 온라인 강의 환경에서 플립러닝의 학습효과를 규명하였다. 실시간 온라인 프로그래밍 수업에서 85명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분석한 결과, 학습내용이해도에 대해서는 학습활동의 적절성이, 만족도에 대해서는 교수자지원과 학습내용의 적절성이, 역량향상도에 대해서는 교수자지원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프로그래밍교육을 위한 실시간 온라인 강의에서 플립러닝 설계 및 운영 전략에 대한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 PDF

A Qualitative Study on the Improvement of Online Physical Education in the COVID-19 Situation (코로나-19 상황에 따른 온라인 체육교육 개선에 관한 질적 연구)

  • Jung, Hyun;Ahn, Chan-Woo
    • Journal of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 /
    • v.15 no.4
    • /
    • pp.217-227
    • /
    • 2021
  • The study aims to explore the rapidly changing university sports-related lecture environment from the perspective of professors and seek comprehensive and practical improvements in the online lecture environment for both professors and learner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six professors related to physical education at the university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used for about four months from September 2020 to December 2020. Examples of the problems, counterplans, and the improvement plans of professors who related to sports were shown as the results. First, the difficulties faced by professors have been divided into online and offline lecture problems, which are Internet and media possession, online lecture place amulet, professor-learner communication disorder, attendance verification and evaluation, COVID-19 infection, and face-to-face lecture place restriction since the outbreak of COVID-19. Second, professors' response to online and offline lecture problems was diversification of communication media, telecommuting, providing online learning videos, replacing and reinforcing practical classes, which were found to be somewhat lacking in government and school support systems. Finally, since the COVID-19 outbreak, Sports-related lecture's continuous problems and the professor's responses require the improvements such as government-level guidelines, university-level expansion of the venues for on- and off-line lecture, devising online lecture programs that enhance professor's convenience, and adjusting the number of participants for on- and off-line lecture.

A Study and Development of instruction-Seaming planning document with ICT on Nation Language Art in University of Education (교육대학에서 국어과 ICT 교수 학습 과정안 개발 연구)

  • Im, Cheon-Taek;Joo, Kang-Sik;Lee, Jae-Mu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01a
    • /
    • pp.458-467
    • /
    • 2004
  • 본 연구 개발은 초등학교 예비 교사에게 국어과 ICT 교수 학습에 대한 이해와 과정안 개발 및 수업에서의 활용 능력을 길러주고, 아울러 향후 ICT를 활용한 국어과 교육을 교육과정에 반영할 경우 제기될 수 있는 문제점을 짚어보고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연구 개발의 내용은 국어과 ICT 활용 교육 관련 문헌 및 자료 탐색, 자료 및 수업 운영 실태 분석, 국어과 국어과 6학년 1, 2학기 180차시에 대한 학습 내용 및 목표 분석과 국어과 6학년 1, 2학기 180차시에 대한 ICT 교수 학습 과정안 개발, ICT 교수 학습과정안 개발 결과물의 수정 검토 및 서버 탑재, ICT 교수 학습 과정 개발 과정의 교육과정 적용 방안 모색이다. 본 연구 개발을 위하여 2003년 2학기 강좌인 '국어과 교재 연구(2학점)'와 통합하여 교수 학습 과정안 개발을 추진하였다. 본 강좌에서는 과정안 개발에 필요한 모형 안내, 과정안 작성 방법 지도, ICT 활용 수업의 분석, 과정안 개발에 필요한 컴퓨터 소양 교육이 이루어졌으며 과정안의 개발은 학기 과제로 추진하였다. 본 연구 개발 과제의 수행을 통하여 최종적으로 국어과 6학년 ICT 교수 학습 과정안 180차시와 연구 보고서 1종을 산출하였다. 본 연구 개발의 성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 교사에게 국어과 ICT 교수 학습 모형 및 과정안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교수 학습 과정안의 작성 능력을 길러주었다. 둘째, 연구 보고서에 제시된 국어과 ICT 자료 개발 및 활용 실태, 예비 교사의 ICT 교수 학습 과정안 개발을 위한 강의 계획과 개발을 위한 실제 지도 과정은 향후 관련 강의나 연구를 설계하고 교육과정을 마련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셋째, 예비 교사들이 개발한 자료는 현장 교사들이 국어과 수업을 운용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 본 연구 개발 결과 드러난 문제점과 보다 나은 연구와 강의를 지향하기 위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 교사의 특성과 개발 내용에 비추어 볼 때 ICT 교수 학습 과정안 개발 기간이 짧았다. 따라서 강의 시수를 늘리는 방안, 관련 강좌를 추가로 개설하는 방안, 기존 강좌를 통합하여 운영하는 방안을 고려해 보아야 한다. 둘째, 예비 교사의 수준을 고려할 때 여러 가지 '부가 자료'를 포함하는 ICT 교수 학습 과정안을 1인 1차시씩 개발하도록 하는 것은 학생들에게 상당한 부담을 안겨 주었다. 대안으로는 개발 관련 강자를 1년 단위로 계획하여 운용하는 방법, 학생 4-5명 당 1차시씩 개발하도록 하는 방법, ICT 교수 학습 과정안 자체만 개발하고 학습지, 교사연구자료, 자율학습 자료 등은 생략하는 방법 등이 있다. 셋째, 학생들의 컴퓨터 소양 기능이 부족한 상태에서 ICT 교수 학습 과정안 개발을 과제로 부과할 경우 좋은 결과물을 기대할 수 없다. 따라서 현재 교육대학의 교육 과정 편성 체제를 감안하면 컴퓨터 강좌와 교과 교육 강좌를 통합 강좌 형태로 운영하는 방법을 고려해 볼 만하다. 넷째, 교수 학습 모형의 경직성과 실제 교수 학습 변인을 고려한 활용이나 변형에 대한 탐구가 여전히 부족했다는 점이다. 앞으로는 이를 몇 가지의 모형 틀 속으로 자꾸 끓어 내려고 하는 것보다는 기존의 모형을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도록 그 틀을 열어줄 필요가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