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mprovement and Change of Acoustic Performance of University Small Hall Remodeled as Exclusive for Lecture Room : Based on the case of the W University

강의전용 공간으로 리모델링된 대학 소공연장의 음향성능 개선 및 변화 : W대학의 사례를 바탕으로

  • Received : 2020.05.07
  • Accepted : 2020.06.30
  • Published : 2020.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ntents of the sound environment among the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that directly or indirectly affect the quality of education through the remodeling of the small hall of the College of Humanities at W University. Before remodeling into a lecture room, the small hall of the College of Humanities at W University, which is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designed to create an indoor sound environment suitable for a lecture room by recognizing differences in acoustic performance between the performance halls that require adequate sound quality and the lecture rooms where the clarity of voice is important.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present examples of improved acoustic performance in lecture rooms by remodeling through the stages of measuring acoustic performance before remodeling, presentation of a change in finishing materials through sound simulation, and measurement of sound performance after remodeling. It is expected that this process can be used as an example of securing indoor acoustic performance suitable for educational space, such as lecture rooms, by changing the finishing materials.

본 연구는 교육품질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환경요소 중 음환경에 대한 내용을 W대학 인문대 소공연장의 리모델링 사례를 통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인 W대학 인문관의 소공연장은 강의전용 공간으로 리모델링하기에 앞서 적당한 울림이 필요한 공연장과 상대적으로 음성의 명료성이 중요한 강의실의 음향성능 차이를 인지하고 강의전용 공간에 적합한 실내 음환경을 조성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리모델링 전 음향성능 측정, 음향 시뮬레이션을 통한 마감재료 변경안 제시, 리모델링 후 음향성능 측정의 단계를 거쳐 리모델링에 따른 강의전용공간의 음향성능 개선안의 사례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과정은 추후 마감재 변경을 통한 강의전용 공간 등 교육공간에 적합한 실내 음향성능 확보의 사례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재수(2014). 건축음향.
  2. 정아영,김재수(2015). 리모델링 전 옛 춘천여고의 음향성능 평가, 대한설비공학회 학술발표대회.
  3. 남승훈,김재수(2015). 리모델링에 따른 대학 공연장의 음향 성능 변화. 대한설비공학회 학술발표대회.
  4. 남승훈,김재수(2015).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대학 공연장의 음향성능 개선. 대한설비공학회 학술발표대회.
  5. 김민주,윤지성,김재수(2018). 리모델링 전 대학 소공연장의 음향성능 실태 분석. 대한설비공학회 학술발표대회.
  6. 정민현,김민주,김재수(2018). 음향시뮬레이션을 이용한 대학 소공연장의 음향성능 개선. 대한설비공학회 학술발표대회.
  7. 김민주,김재수(2018). 대학 소공연장을 강의전용 공간으로 리모델링 시 음향성능 개선 및 변화. 대한설비공학회 학술발표대회.
  8. 서민호,정근주(2013). 대학 강의실의 실내 환경요소 및 학습효율 조사 분석.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9(4).
  9. John iley & Sons,Inc(1948). F.R.atson, Acoustics of Buildings.
  10. Elsevier Applied Science(1991). Heinrich Kuttruff, Room Acoustics.
  11. Leo Beranek(1996). Concert and Opera Halls.
  12. M.David Egan(1972). Concepts in Architectural Acoustics.
  13. Michael Barron(1993). Auditorium Acoustics and Architectural Design.
  14. Yochi Ando(1998). Architectural Acous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