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대학(교)교육

검색결과 167건 처리시간 0.026초

예비화학교사가 수강한 과학교육 과목이 학습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he Influence of Science Education Courses on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View of Learning)

  • 고은정;최병순
    • 대한화학회지
    • /
    • 제58권1호
    • /
    • pp.105-117
    • /
    • 2014
  • 이 연구의 목적은 예비화학교사들이 사범대학에서 수강한 과학교육 과목은 학습관과 어떠한 관련성을 갖는지를 고찰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예비교사 3인의 학습관 및 수강한 과학교육 과목과 관련한 설문과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교사들은 과학교육 과목의 수강을 통해 자신의 학습관을 변화, 수정하거나 유지, 강화하는 모습을 보였다. 과학교육 과목을 수강하기 전에 지녔던 예비교사 K와 P의 전통적 학습관은 과학교육 과목의 수강을 통해 구성주의적 학습관으로 변화하였다. 그러나 구성주의 학습관은, 학교 현장 실제성에 바탕을 둔 과학교육 과목 수강 이후에 다시 현장의 수업 상황을 고려하여 수정되고 변형되었다. 예비교사 H는 이전부터 지녔던 구성주의적 학습관에 전통적 학습관을 추가하여 지니게 되었다. 이로부터 정도와 방향의 차이는 있지만 예비교사 K, P, H 모두 과학교육 과목의 수강을 통해 학습관을 고찰하고 수정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이론의 현장 적용을 강조한 과학교육 과목이 예비교사들로 하여금 자신의 학습관을 고찰하고 수정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으로써, 교원 양성대학의 과학교육 과목의 내용에 현장성이 많이 반영되어야 할 것이며, 예비교사별 맞춤식 교수활동 및 학습관 정립을 위한 예비교사의 반성적 사고과정이 포함되어야 할 것임을 시사한다.

예비유아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대학생활 적응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ocial Support and Adaptability to College Life on Teacher's Efficacy)

  • 최인숙;박유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7호
    • /
    • pp.332-340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의 사회적지지, 대학생활 적응과 교사 효능감의 수준과 관계를 분석하고 사회적지지 및 대학생활 적응이 교사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전라북도와 충청북도에 소재하고 있는 3년제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 유아교사 394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 된 연구도구는 사회적지지 척도, 대학생활 적응 척도, 교사효능감 척도(STEBI)를 예비유아교사에게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사회적지지 및 대학생활 적응, 교사효능감은 모두 3점 이상으로 전체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사회적지지 및 대학생활 적응, 교사효능감 간에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예비유아교사의 사회적지지 및 대학생활 적응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본 결과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법 향상을 위한 인지적 도제 모델형 원격 교사 연수 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 Cognitive Apprenticeship Based Distance Teacher Training System for Improvement of Teaching Method)

  • 구정모;박종오;임진숙;김성식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2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29 No.1 (B)
    • /
    • pp.718-720
    • /
    • 2002
  • 현재 교사를 위한 다양한 인격 연수가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연수 내용을 살펴보면 교사 연수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교수법 향상에 관련된 내용보다는 교과의 전문지식이나 기능적인 부분에 대해 더 많이 다루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교사들은 대학에서 뿐만 아니라 교육 현장에서 자기 연수 혹은 연수 기관을 통해 끊임없이 교수법 향상을 위해 노력해야한다 연수 기관에서 그룹별 토의 시스템, 동영상 동기화 교수-학습 지도안 제작 도구, 교수학습 DB 등으로 구성된 인지적 도제 모델형 원격 연수 시스템을 이용한다면 좀 더 나은 교수법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國內導入 NC工作機械의 運용實態와 그의 效率的인 使용方案 硏究

  • 변문현
    • 기계저널
    • /
    • 제20권3호
    • /
    • pp.218-232
    • /
    • 1980
  • 이 조사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국내에 도입된 NC공작기계(절삭가공)1973 년도부터 도입되기 시작하여 1979년도까지에는 10개국에서 9개기종 669대에 5,371만불어치가 도입되었으며 90개이상의 생산 업체에 들어가 있다. 2) NC공작기계를 도입한 업체는 5종류의 부류로 나눌 수 있다. 즉 (1) NC공작기계를 도입하여 그대로 방치하여 두고 있거나 설치만을 하여 둔체 아무런 준비도 하지 않고 있는 업체 (2) 설치는 하여 놓았으나 일거리가 없는 업체. (3) 일 거리는 있으나 기술미숙으로 인하여 잘 사용하지 못하고 있는 업체, (4) 유효하게 잘 사용하고 있는 업체, (5) 이제는 개발 생산하고 있는 업체 3)파아트 프로그래머의 수준높은 교 육이 더 필요하다. 4) 자동프로그래밍을 조속히 이용하여 국제수준에 가야한다. 5) 고장수리와 보수능력을 조속히 키워야 한다. 6) 재래식 공작기계에 의한 가공방법과 항상 비교하여 우위를 지키는지 검토해야 한다. 7) 경영자, 관리자, 기계운전공, 프로그래머, 및 보소수리상당자가 일체가 되어 유효하게 쓰도록 노력해야 한다. 8) 대학 및 공고생들에게 NC공작기계와 그 가공법에 관한 교육을 해야 한다.

  • PDF

안전 주행형 무인기의 설계 및 제작을 통한 실천 공학 교육에 관한 연구 (EA Study on Practical Engineering Education through the Design and Configure of Safe Running Type Drones)

  • 조영명;이상권;장은영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7-13
    • /
    • 2017
  • 종합 설계 교과를 이수하고 성과 결과물로 졸업 조건 만족하기 위한 작품제작이 연결되는 전공중심의 학습활동을 통해 공학교육의 실천 방안을 제시한다. 설계 구성된 주제는 초음파 센서의 장애물 감지 기능을 이용하여 주행 도중 최소 안전거리를 측정하고, 가속도 자이로 센서의 측정값을 기반으로 회피 알고리즘을 수행하는 것으로 한다. 드론과 주변 사물, 사람의 피해를 최소화하며 공중 이동 성능을 향상 시키는 접근 감시 시스템을 제안한다. 실험 결과 5개의 초음파센서를 통해 드론 주변의 장애물을 감지하며, 드론 각각의 모터에 출력값의 차이가 적용되고, 장애물 회피를 확인하였다. 또한 공학교육인증 프로그램의 학습성과 성취도 측정을 위한 자료의 내용과 수준으로 과정에서 얻어진 결과를 사용하였고, 4년제 공과대학 졸업예정자에게 요구되는 공학문제수준설명에 부합함을 확인하였다.

온라인 소프트웨어 교양 교육의 만족도와 효과성에 관한 연구 (Satisfaction and Effectiveness of Online Software Liberal Arts Education)

  • 최진호;심재륜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6권6호
    • /
    • pp.930-935
    • /
    • 2022
  • 소프트웨어를 활용하는 능력은 현대 사회의 필수 역량이라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초등학교부터 대학교까지 프로그래밍 교육이 진행되고 있다. 대학의 교양 교과에서 진행되는 비전공자를 위한 프로그래밍 교육의 경우 양질의 콘텐츠를 이용하여 온라인으로 진행한다면, 전문성을 갖춘 교수자의 부족문제 및 실습시간 제약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수강생에게는 충분한 시간동안 생각하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시간적인 여유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온라인으로 진행된 소프트웨어 교양 교과의 강의 전과 후 설문조사를 통하여 온라인 강의의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설문결과로부터 온라인으로 소프트웨어 강의를 진행하더라도 컴퓨터적 사고력 및 문제해결 능력의 향상이라는 소프트웨어 교육의 목표를 충분히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구강건강 인식에 미치는 영향과 흡연여부 연계성 조사 (Convergence study of Effects on Oral Health Awareness and Smoking Status)

  • 김일신
    • 산업융합연구
    • /
    • 제21권2호
    • /
    • pp.73-77
    • /
    • 2023
  • 본 논문연구는 20-40대 성인을 대상으로 흡연 유.무에 따른 구강환경 변화에 관한 지식수준을 파악하여 성인에 대한 구강보건교육 시 치주질환과 흡연과의 연관성 및 금연에 관한 교육 병행의 중요성에 대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실시되었다. 2022년 8월과 9월에 걸쳐 편의표본 추출된 대상 500명에게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주관적인 구강상태 분석에서 비흡연자 가운데 매우 좋거나 좋다고 생각한 비율은 65.4%, 흡연자 그룹은 59.0%를 보였다. 또한, 비흡연자와 흡연자 그룹 모두에서 비흡연자의 청결도가 더 높을 것으로 생각한다는 답변이 가장 많았다. 금연교육을 받아본 적이 있느냐는 질문에 비흡연자 그룹의 63.9%, 흡연자 그룹의 76.1%가 '있다'라고 답하였다. '흡연 유무에 따라 구강환경에 변화를 보인다.'는 교육은 비흡연자군에서는 '없다'가, 흡연자군에서는 '있다'가 각각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로 구강보건교육시 흡연과의 연관성 및 예방을 위한 구체적이고 적극적인 교육방법이 수반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초등학교에서의 영어 발음 및 청취 교육

  • 정인교
    • 대한음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음성학회 1997년도 7월 학술대회지
    • /
    • pp.248-248
    • /
    • 1997
  • 오늘날 영어교육은 교과과정령에 엄연히 명시된 네 가지 기능(four skills) 즉 듣기, 말하기, 원기, 쓰기라는 정당하고도 보편 타당성 있는 명분 하에 어떻게 가르쳐 왔는가 를 반문해 보면 많은 아쉬움이 남는다. 그간 6년간의 중등과정, 심지어는 대학에서 환 두해까지 영어를 이수한 사람틀 중에는 문자를 통해서는 상당한 수준, 그것도 영어 토박이들조차 놀랄 정도의 영어를 이해하지만, 소리를 통해 들을 때는 ---말하는 것은 두말 할 것도 없고---아주 간단한 내용의 영어조차 알아듣기 힘든 경험을 한 사람이 많다는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그 이유는 명백하다. 즉, 문자를 대할 때는 시각적 자극의 형태가 두뇌 속에 저장된 정보---가공할 문법적 지식---와 일치하기 때문에 쉽게 이해를 할 수 있는 반면, 소리를 들을 때는 청각적 자극의 형태가 두뇌 속에 저장된 정보---극히 불완전한 발음사전, 또는 모국어의 음운체계에 의한 영어발음--- 와 차이가 있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므로 적어도 말소리를 매체로 하는 의사소통에 있어서는 영어의 본토박이 발음을 정확히, 아니면 적어도 매우 근접하게 나마 터득하여(습관화하여)두뇌에 저장하는 일이 가장 중요한 일이다. 따라서 영어교사는 모국어의 음운체계에 대한 정확하고도 상세한 지식을 토대로 하여 영어의 음운체계와 '언어학적으로 의미 있는 (linguistically significant)' 대초분석의 방법으로 발음을 지도한다면 보다 나은 학습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국어의 발음이 외국어의 발음에 간섭을 유발하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1. 분절음체계가 서로 다를 때 2. 한 언어의 음소가 다른 언어의 이음(allophone)일 때 3. 유사한 음의 조음장소와 방법 이 다를 때 4. 분절음의 분포 또는 배열이 다를 때 5. 음운현상이 다를 때 6. 언어의 리듬이 다를 때 위의 여섯 가지 경우를 중심으로 영어와 한국어의 발음특성을 대조하여 '낯선 말투(foreign accent)' 또는 발음오류를 최소로 줄이는 것이 영어교사의 일차적인 목표이다.

  • PDF

교과 키워드 분석을 통한 문헌정보학과 교육 주제 연구 - 한국·미국 정보기술관련 교과 중심으로 - (Identifying Topics of LIS Curricula by Keyword Analysis - Focused on Information Technology Classes of US and Korea)

  • 최상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43-60
    • /
    • 2019
  • 데이터베이스, 네트워크 등 다양한 정보기술이 도서관에 도입되면서 도서관의 업무와 서비스는 크게 변화하고 있다. 이에 문헌정보학과 도서관학을 교육하는 대학에서는 정보기술 발전 동향을 반영하여 교과과정에 수용하는 노력을 꾸준히 해오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미국과 한국의 문헌정보학과에 개설되어 있는 교과목을 수집하여 정보기술과 관련된 교과를 분석하였다. 수집한 교과목의 내용 분석을 위해서는 교과 제목 키워드와 과목설명 키워드를 추출하여 통계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한국과 미국 모두 유사하게 중요도가 높게 나타나는 키워드는 '시스템', '데이터베이스', '네트워크', '프로그래밍', '웹' 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도서관'은 한국에서만 출현빈도가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유아교사의 음악에 대한 태도와 감성리더십이 음악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Music Attitude and Emotional Leadership on Music Teaching Efficacy)

  • 이미숙;조성연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25-144
    • /
    • 2019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music attitude and emotional leadership on their music teaching efficacy in the music education. Methods: 301 early childhood teachers answered the music attitude scale, music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emotional leadership scale, and questionnaire for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music experiences. Data were analyzed by t-test, one-way ANOVA, Pearson's productive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Results: First, early childhood teachers had a higher music teaching efficacy in case of at least 10 years of teaching experiences period, having a post-graduate degree, having a music training experience, enjoying learning musical instruments and singing and listening to music during regular music lessons, and having a long music training experience. Similar results were derived from the subfactors of music teaching efficacy. Second,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r=.172-.659, p < .001) in the total and subfactors scores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music attitude, emotional leadership, and music teaching efficacy. Lastly, early childhood teachers' music attitude and their emotional leadership were explained at 39~52 percent for their music teaching efficacy.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important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their belief, knowledge and feeling about music education.